목차
1. 기본 계획
【1】교지계획
【2】교사계획
2. 평면 계획
【1】학교 운영 방식의 종류
【2】이용률과 순수율
【3】블록 플랜(block plan)결정 조건
3. 세부 계획
【1】교실
【2】강당
【3】체육관
【4】급식실․식당
【5】변소․수세장
【6】복도․계단
【1】교지계획
【2】교사계획
2. 평면 계획
【1】학교 운영 방식의 종류
【2】이용률과 순수율
【3】블록 플랜(block plan)결정 조건
3. 세부 계획
【1】교실
【2】강당
【3】체육관
【4】급식실․식당
【5】변소․수세장
【6】복도․계단
본문내용
학교
1. 기본 계획
【1】교지계획
⑴ 교지 선정상 주의할 점
① 학생이 통학 지역 내 중심이 될수 있는 곳이 좋다.
② 간선 도로 및 번화가의 소음으로부터 격리되어야 한다.
③ 학교의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 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④ 의도하는 학교 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부지형과 지형을 택한다.
⑤ 필요한 일조 및 여름철 통풍이 좋은 곳이어야 한다.
⑥ 도시의 서비스 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⑦ 기타 법규적 제한을 받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⑵ 교지 형태와 면적
① 교지의 형태
- 정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이 유리하며, 이 때 장변과 단변의 비는 4:3 정도로 한다.
- 운동장의 장축 : 남북방향
② 교지의 면적 : 학교의 규모에 따른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표와 같다.
학생 1인당 교지의 점유 면적
학교의 종류
규모 학교 시설
학생 1인당 점유 면적
초등학교
12학급 이하
20㎡
13학급 이상
15㎡
중학교
학생수 480명 이하
30㎡
학생수 481명 이상
25㎡
고등학교
보통과, 상업과, 가정에 관한 학과를 둔 학교
110㎡
농업, 수산, 공업에 관한 학과를 둔 학교
70㎡
대학교
60㎡
【2】교사계획
⑴ 교사의 범위 : 정남, 남남동, 남남서
⑵ 교사의 배치형
① 폐쇄형 : 운동장을 남쪽에 확보하여 부지의 북쪽에서 건축하기 시작해서 ㄴ자형에서ㅁ자형으로 완결지어 가는 종래의 일반적인 형이다.
㉮ 장점 : 부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 단점
- 화재 및 비상시에 불리하다.
- 일조 , 통풍 등 환경 조건이 불균등하다.
- 운동장에서 교실에서의 소음이 크다.
- 교사 주변에 활용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② 분산 병렬형 : 일종의 핑거 플랜(finger plan)이다.
㉮ 장점
- 일조, 통풍 등 교실의 환경이 조건이 균등하다.
- 구조 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이 편리하다.
- 각 건물 사이에 놀이터와 정원이 생겨 생활 환경이 좋아진다.
㉯ 단점
-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 편복도로 할 경우 복도 면적이 커지고 길어지며 단조로와 유기적인 구성을 취하기 어렵다.
⑶ 교사의 면적
① 학생 1인당 교사의 점유 면적
구 분
1인당 소요면적(㎡)
초등학교
3.3~4.0
중학교
5.5~7.0
고등학교
7.0~8.0
대학교
16
<문제 1> 학교 건축에 있어서 교지 선정에 필요한 유의 사항 중 틀린 것은 다음 어느 것인가?
㉮ 학생의 통학 구역내 중심이 될 수 있는 곳.
㉯ 간선 도로나 번화가에 인접할 것.
㉰ 학교의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 면적을 고려할 것.
㉱ 양질의 지하수, 상수도 확보 등 도시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곳.
<문제 2> 교지 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단변, 장변의 비가 3 : 4 정도가 가장 좋은 교지의 형이다.
㉯ 초등 학교 1인당 교지 면적은 30㎡이다.
㉰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 교지는 일조가 좋아야 하고, 교사에 의하여 운동장에 그늘이 지지 않아야 한다.
<문제 3> 학교의 배치 형태 중 폐쇄형이 아닌 것은?
㉮ 일조, 통풍 등 환경 조건이 불균등하다.
㉯ 상당히
1. 기본 계획
【1】교지계획
⑴ 교지 선정상 주의할 점
① 학생이 통학 지역 내 중심이 될수 있는 곳이 좋다.
② 간선 도로 및 번화가의 소음으로부터 격리되어야 한다.
③ 학교의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 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④ 의도하는 학교 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부지형과 지형을 택한다.
⑤ 필요한 일조 및 여름철 통풍이 좋은 곳이어야 한다.
⑥ 도시의 서비스 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⑦ 기타 법규적 제한을 받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⑵ 교지 형태와 면적
① 교지의 형태
- 정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이 유리하며, 이 때 장변과 단변의 비는 4:3 정도로 한다.
- 운동장의 장축 : 남북방향
② 교지의 면적 : 학교의 규모에 따른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표와 같다.
학생 1인당 교지의 점유 면적
학교의 종류
규모 학교 시설
학생 1인당 점유 면적
초등학교
12학급 이하
20㎡
13학급 이상
15㎡
중학교
학생수 480명 이하
30㎡
학생수 481명 이상
25㎡
고등학교
보통과, 상업과, 가정에 관한 학과를 둔 학교
110㎡
농업, 수산, 공업에 관한 학과를 둔 학교
70㎡
대학교
60㎡
【2】교사계획
⑴ 교사의 범위 : 정남, 남남동, 남남서
⑵ 교사의 배치형
① 폐쇄형 : 운동장을 남쪽에 확보하여 부지의 북쪽에서 건축하기 시작해서 ㄴ자형에서ㅁ자형으로 완결지어 가는 종래의 일반적인 형이다.
㉮ 장점 : 부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 단점
- 화재 및 비상시에 불리하다.
- 일조 , 통풍 등 환경 조건이 불균등하다.
- 운동장에서 교실에서의 소음이 크다.
- 교사 주변에 활용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② 분산 병렬형 : 일종의 핑거 플랜(finger plan)이다.
㉮ 장점
- 일조, 통풍 등 교실의 환경이 조건이 균등하다.
- 구조 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이 편리하다.
- 각 건물 사이에 놀이터와 정원이 생겨 생활 환경이 좋아진다.
㉯ 단점
-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 편복도로 할 경우 복도 면적이 커지고 길어지며 단조로와 유기적인 구성을 취하기 어렵다.
⑶ 교사의 면적
① 학생 1인당 교사의 점유 면적
구 분
1인당 소요면적(㎡)
초등학교
3.3~4.0
중학교
5.5~7.0
고등학교
7.0~8.0
대학교
16
<문제 1> 학교 건축에 있어서 교지 선정에 필요한 유의 사항 중 틀린 것은 다음 어느 것인가?
㉮ 학생의 통학 구역내 중심이 될 수 있는 곳.
㉯ 간선 도로나 번화가에 인접할 것.
㉰ 학교의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 면적을 고려할 것.
㉱ 양질의 지하수, 상수도 확보 등 도시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곳.
<문제 2> 교지 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단변, 장변의 비가 3 : 4 정도가 가장 좋은 교지의 형이다.
㉯ 초등 학교 1인당 교지 면적은 30㎡이다.
㉰ 규모에 따른 장래의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 교지는 일조가 좋아야 하고, 교사에 의하여 운동장에 그늘이 지지 않아야 한다.
<문제 3> 학교의 배치 형태 중 폐쇄형이 아닌 것은?
㉮ 일조, 통풍 등 환경 조건이 불균등하다.
㉯ 상당히
추천자료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음악교육) 내용체계와 지도중점,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음악교육) 국...
초등학교 5학년의 교육과정 운영계획, 초등학교 5학년의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의 ...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체...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교육특성과 이론적 기초,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수준별...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교육과정변천과 역할,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지도원칙, 초등...
고등학교평준화정책(고교평준화제도)과 학교선택제, 자립형사립고, 고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
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 자질과 역할, 특수학교교사(장애인학교교사) 교육실습, 특수학...
초등학교 1학년 우리들은1학년과 바른생활 교과 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과 즐거운...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수준별학습과 글짓...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기본내용, 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 ...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편성, 고등학교 영어과 단...
초등학교교육과정의 방향, 초등학교2학년의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초등학교2학년의 교과...
고등학교 진로교육(진로지도), 고등학교 직업교육(직업지도), 고등학교 철학교육, 고등학교 ...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특성과 역사,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