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앙아시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누란국 민족의 생활과 문화

▣ 탄구트족이 세운 서하왕국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에치나기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카시가르, 야르칸드, 호오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니야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첼첸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위구르마을 호오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투루판 분지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토크슨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천산 백성의 생활과 문화

▣ 쿠처 민족의 생활과 문화

▣ 스키타이, 흉노족의 생활과 문화

▣ 신강 위구르자치구 백성의 생활과 문화(우룸치)

▣ 천산의 백성 하자크족의 생활과 문화

▣ 초원의 키르기스족의 생활과 문화

▣ 파미르 주민 타지크족의 생활과 문화

본문내용

중앙아시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누란국 민족의 생활과 문화
☞ 약 2,000년전 서역에 누란이라는 작은 나라가 있었다. 누란이 동양역사에 그 이름을 나타낸 것은 기원전 120 ~ 30년께. 그 이름이 역사에서 사라진건 기원전 77년. 이로 미루어 보면 겨우 50년 정도의 짧은 기간, 누란왕국은 존재한 셈이다. 누란왕국은 타클라마칸 동북의 어떠한 샘물도 살수 없는 문자그대로 주검의 사막에 둘러싸인 페허다. 누란은 환상의 나라일 수밖에 없다. 양관에서 1,600리 떨어졌고, 장안에서는 6,100리나 떨어져있다. 호구수는 1,570호에 인구는 14,100명, 정병이 2,912를 헤아렸으며 도시의 주민은 아리아계출신이며 상당힌 높은수준의 문화민족인데 이지역에서 발굴된 사료인카로슈테이 문자의 목판, 헬레니즘양식의 목각등이 증명하고 있다. 염분이 많은 모래에 뒤덮여 농경지가 귀하고 옥이 생산되며 갈대, 성류, 호동, 백초가 많이 나온다. 주민은 목축에 종사하며 수초를 따라 생활한다. 노새를 기르고 낙타도 많다. 전쟁에 능하며 마치 약강과도 같다. 이곳 주민들은 중국 돈황 옥문관을 떠난 위치에 자리잡은 최초의 이민족 국가로 볼수 있다. 이나라의 번영은 동서무역의 중계지로서 중국과 가장 가까운 지리적인 잇점을 충분히 활용한 때문임인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이 서역을 국가로서 관계를 맺기 훨씬 전부터 타림분지의 남도와 북도의 여러나라들은 이미 중국과 서방쪽을 연결시키는 무역중계지로 번영해 왔다고 보는 것이 옳다. 누란은 퇴락하고 메마른 고장이며 평민의 의복은 조잡하고 한인을 닮았다. 국왕은 불교를 선봉하고 있었으며 승려는 4,000여명이었다. 모두가 소승불교였다.누란은 퇴락하고 메마른 고장이며 평민의 의복은 조잡하고 한인을 닮았다. 국왕은 불교를 선봉하고 있었으며 승려는 4,000여명이었다. 모두가 소승불교였다. 누란국의 후신인 선선국의 도음 우니성은 호수가 1570 인구가 14,000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국가라기보다는 도읍이나 정착지 정도로 보는 것이 좋을 것같다. 누란국의 도읍은 좀 특수한데가 있다. 이나라가 선선이라고 이름을 바꾼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대국 한나라의 정치적 압력으로 나라 이름을 선선국으로 바꾸게 된 것이다. 고대 누란국의 오아시스가 로프호라는 물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그 호수의 물을 수원으로 하는 타림강의 줄기를 따라 번영해 나갔다고 여겨진다. 4세기경에 로프노르가 이동하기 시작하였으며 호수와 맞붙어 있는던 누란은 그후 생명의 물을 잃고 모래 속 깊이 파묻혀버리고 말았다. 구구법을 적은 종이가 발견되었으며 부친의 유산을 두고 형제끼리 싸움을 한 것은 어느집이었을까란 글도 발견되었다.
▣ 탄구트족이 세운 서하왕국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서하왕국을 세운 것은 탄구트라고 불리는 티베트계 민족이었다. 그들은 본래 지금 사천성 서북부에 살고 있었는데 초당때 역시 티베트계 토번의 압력을 받아 감숙, 섬서의 북부에서 올도스로 이주했다. 서하는 당시 하서회랑에 있던 위구르족이 세운 나라를 정복하고 하서회랑을 손에 넣었으며 돈황도 지배하였다. 돈황 막고굴앞에 세워진 두 개의 불탑은 서하가 세운 것이다. 409굴의 동쪽벽에는 공양자로 서하왕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실크로드의 간선도로 하서회랑을 확보한 서하는 실크로드를 통하는 무역 이득을 취하면서 동서 쌍방의 영향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티베트계 밀교의 기반 위에 중국의 유교문화와 서방의 회교문화가 융합되어 독특한 새로운 탄구트문화가 발생한 것이다. 탄구트의 나라 서하는 여러민족이 모여 살았는데 중국, 몽고, 중앙아시아와 이어지는 지역을 영토로 삼았던 서하에는 한인, 위구르인, 티베트인, 몽고인, 터키인 등 실크로드 근교의 모든 민족이 살아있었다. 탄구트는 서하의 말로 경전을 썼으며, 법률 문서나 문학 작품까지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에치나기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 현재 몽고 자치구에 속해있다. 『기』는 우리나라『군』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다. 기련산맥에서 녹아내리는 얼음물이 모여 장액을 흐르는 흑하와, 주천을 흐르는 북대하가 합류하여 약수가 된다. 이 강물이 북쪽으로 흘러 소고노르와 기
  • 가격9,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03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