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보처리이론이란
2. 정보저장소
1) 감각 등록기(감각 기억)
2) 단기 기억(작동 기억)
3) 장기 기억
3. 정보처리과정
1) 자극에의 주의
2) 자극의 부호화
3) 저장과 인출
4. 수업을 위한 원리
1) 수업의 성격과 기본 가정
2) 수업원리
5. 학교수업에의 적용
1) 수업의 실제
6. 정보처리이론의 개괄 및 평가
1) 이론의 개괄
2) 이론의 한계점
2. 정보저장소
1) 감각 등록기(감각 기억)
2) 단기 기억(작동 기억)
3) 장기 기억
3. 정보처리과정
1) 자극에의 주의
2) 자극의 부호화
3) 저장과 인출
4. 수업을 위한 원리
1) 수업의 성격과 기본 가정
2) 수업원리
5. 학교수업에의 적용
1) 수업의 실제
6. 정보처리이론의 개괄 및 평가
1) 이론의 개괄
2) 이론의 한계점
본문내용
들어 “webb”이라는 단어를 익힐 때 거미줄(cobweb)과 관련시켜 익히는 것이다.
시연(rehearsal)은 작동기억 안에서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으로서, 정보를 소리내어 읽든지 속으로 되풀이 하든지 간에 그것의 형태와 관계없이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기억 안으로 들어온 정보는 시연을 통해 파지(retention)가 되기도 하고 장기기억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시연은 작동기억 안에서 의도한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시연을 통한 장기기억으로의 전이는 내용을 충분히 반복해서 시연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이는 아동이 가장 처음 사용하게 되는 장기기억으로의 전이 방법이다
- 스키마 : 우리가 책을 읽거나 남과 이야기할 때 접하는 되는 모든 정보들은 이미 우리가 머리에 저장하고 있는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해석하게 된다. 스키마는 새로운 자극을 유의미한 구조로 정교화시키기 때문에 부호화에 도움이 된다. 어떤 자료를 학습할 때 학습자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스키마를 장기 기억속에 활성화시키고, 자료의 내용을 스키마 공간에 맞추려 한다.
3) 저장과 인출
부호화 과정의 목적은 장기 기억고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함이다. 후의 접근과 회상은 그 정보의 저장 형태와 장기 기억 내의 선행 정보의 범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프로 체스 기사와 초보자는 체스판의 회상 능력에 크게 차이가 있어서, 프로 기자는 체스판의 70~80%를 회상하지만 초보자는 단지 몇 조각을 회상할 뿐이다. 두 집단의 차이는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 청크의 크기와 정보가 부호화되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 망각 : 망각(forgetting)은 기억한 것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잊어버리는 것들 말한다. 그런데 망각의 원인으로는 우선 학습한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아있는 기억의 흔적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배운 것을 연습함으로써 기억력을 살리는 것이 좋다. 둘째, 기억용량이 차 있는데 새로운 것이 들어와 오래된 것이 나감으로써 오래된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반복연습에 의해 막을 수 있다. 셋째, 새 정보와 옛 정보가 서로 맞부딪쳐 인출을 방해함으로써 망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인출의 단서를 좋게 할수록 기억이 더 좋아진다.
4. 수업을 위한 원리
1) 수업의 성격과 기본 가정
학습과 관련된 정보처리론에 깔린 기본 가정은 인간 기억 체제의 본질과 기억 내에서의 지식의 표상을 기술하는 것이었다. 정보처리 이론을 교실 상황에 적용하는 문제 역시 인간 기억을 새로운 정보나 학습해야 할 기술을 선택하고 조직화하며 저장을 위해 부호화하는 능동적인 체제로 파악하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인지 이론가들이 동의하는 최우선적 가정은 성공적인 학습은 환경보다는 학습자 자신의 활동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 원리도 환경을 조작하여 학습이 일어나게 하기보다는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변화와 갈등을 일으키려는 방안과 관련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 이론가들은 장기기억 장치에 정보를 저장하는 정확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려고 했다. 그러나 인지 심리학자들은 학습자의 정보저장을 인지구조로 설명한다. 인지구조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들은 때때는 습득된 지식의 질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2) 수업원리
①새로운 자극의 수용지도
인간 기억 체제는 주의를 기울일 환경 자극을 선택한다. 수용 과정은 선택된 자극에 주의하고 자극을 부호화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수용에서 교수는 학습자의 주의가 학습되어야 할 관련 정보에 쏠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필요한 대표적인 교수 기술에는 행동적 목표와 선행조직자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학습 목표는 학습자에 의해 습득되어야 할 구체적 기술과 그것이 관련된 환경적 맥락을 설명해 준다. 이것들을 통해 학생들을 새 자료에 주의 집중시킨다. 하지만 지나치게 상세히 진술되면 학습자로 하여금 중요한 개념은 빠진 세부적 정보의 회상에만 주의하게 할 수도 있다.
②부호화 과정의 촉진
학습할 때의 부호화의 기능은 장기 기억에 저장되도록 새로운 정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나중에 쉽게 회상되도록 정보의 변형을 요구한다. 이러한 부호화를 위한 교수는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장기 기억에 지식을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새로운 정보와의 통합을 위해 단기 기억으로 정착지를 전이시키는 일이다. 새로운 정보는 그것을 통합하는데 유용하다면 유의미하다고 여겨진다. 학습자의 기존의 인지 구조에 새로운
시연(rehearsal)은 작동기억 안에서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으로서, 정보를 소리내어 읽든지 속으로 되풀이 하든지 간에 그것의 형태와 관계없이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기억 안으로 들어온 정보는 시연을 통해 파지(retention)가 되기도 하고 장기기억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시연은 작동기억 안에서 의도한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시연을 통한 장기기억으로의 전이는 내용을 충분히 반복해서 시연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이는 아동이 가장 처음 사용하게 되는 장기기억으로의 전이 방법이다
- 스키마 : 우리가 책을 읽거나 남과 이야기할 때 접하는 되는 모든 정보들은 이미 우리가 머리에 저장하고 있는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해석하게 된다. 스키마는 새로운 자극을 유의미한 구조로 정교화시키기 때문에 부호화에 도움이 된다. 어떤 자료를 학습할 때 학습자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스키마를 장기 기억속에 활성화시키고, 자료의 내용을 스키마 공간에 맞추려 한다.
3) 저장과 인출
부호화 과정의 목적은 장기 기억고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함이다. 후의 접근과 회상은 그 정보의 저장 형태와 장기 기억 내의 선행 정보의 범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프로 체스 기사와 초보자는 체스판의 회상 능력에 크게 차이가 있어서, 프로 기자는 체스판의 70~80%를 회상하지만 초보자는 단지 몇 조각을 회상할 뿐이다. 두 집단의 차이는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 청크의 크기와 정보가 부호화되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 망각 : 망각(forgetting)은 기억한 것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잊어버리는 것들 말한다. 그런데 망각의 원인으로는 우선 학습한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아있는 기억의 흔적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배운 것을 연습함으로써 기억력을 살리는 것이 좋다. 둘째, 기억용량이 차 있는데 새로운 것이 들어와 오래된 것이 나감으로써 오래된 것을 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반복연습에 의해 막을 수 있다. 셋째, 새 정보와 옛 정보가 서로 맞부딪쳐 인출을 방해함으로써 망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인출의 단서를 좋게 할수록 기억이 더 좋아진다.
4. 수업을 위한 원리
1) 수업의 성격과 기본 가정
학습과 관련된 정보처리론에 깔린 기본 가정은 인간 기억 체제의 본질과 기억 내에서의 지식의 표상을 기술하는 것이었다. 정보처리 이론을 교실 상황에 적용하는 문제 역시 인간 기억을 새로운 정보나 학습해야 할 기술을 선택하고 조직화하며 저장을 위해 부호화하는 능동적인 체제로 파악하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인지 이론가들이 동의하는 최우선적 가정은 성공적인 학습은 환경보다는 학습자 자신의 활동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 원리도 환경을 조작하여 학습이 일어나게 하기보다는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변화와 갈등을 일으키려는 방안과 관련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 이론가들은 장기기억 장치에 정보를 저장하는 정확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려고 했다. 그러나 인지 심리학자들은 학습자의 정보저장을 인지구조로 설명한다. 인지구조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들은 때때는 습득된 지식의 질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2) 수업원리
①새로운 자극의 수용지도
인간 기억 체제는 주의를 기울일 환경 자극을 선택한다. 수용 과정은 선택된 자극에 주의하고 자극을 부호화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수용에서 교수는 학습자의 주의가 학습되어야 할 관련 정보에 쏠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필요한 대표적인 교수 기술에는 행동적 목표와 선행조직자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학습 목표는 학습자에 의해 습득되어야 할 구체적 기술과 그것이 관련된 환경적 맥락을 설명해 준다. 이것들을 통해 학생들을 새 자료에 주의 집중시킨다. 하지만 지나치게 상세히 진술되면 학습자로 하여금 중요한 개념은 빠진 세부적 정보의 회상에만 주의하게 할 수도 있다.
②부호화 과정의 촉진
학습할 때의 부호화의 기능은 장기 기억에 저장되도록 새로운 정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나중에 쉽게 회상되도록 정보의 변형을 요구한다. 이러한 부호화를 위한 교수는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장기 기억에 지식을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새로운 정보와의 통합을 위해 단기 기억으로 정착지를 전이시키는 일이다. 새로운 정보는 그것을 통합하는데 유용하다면 유의미하다고 여겨진다. 학습자의 기존의 인지 구조에 새로운
추천자료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학습이론,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동물생태학이론, 인지...
[광고주 관점][비판][브랜드파워][삼성전자][제일기획]광고주 관점으로 본 정보처리이론, 광...
[문자메시지]문자메시지(문자메세지)와 광고문자, 문자메시지(문자메세지)와 심상처리정보, ...
휴리스틱과 바이어스 (잉그리치의 실험, 이중 프로세스 이론, 운동선수의 휴리스틱, 정보처리...
기초 학습 기능 검사 _ 기초 학습 기능 검사의 구성, 소검사의 측정 내용(정보처리, 셈하기, ...
교육심리학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한글공부법, 에릭슨과 콜버그의 사회·정서적 발달 가드너의...
조직구조, 조직구조 설계의 응용, 조직구조의 형태,공식적보고체계,조직구조에 대한 정보처리...
인지이론(認知理論) : 인지학습이론에서의 인지이론 인지적접근론 {인지이론의 배경, 통찰성,...
[영유아infants발달]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교육적 적용(뇌 발달이론, Piaget 이론, 정보처...
[영유아infants발달] 아동의 인지발달 - 뇌 발달이론, Piaget의 인지발달이론(보존개념, 유목...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의 이론 - 학습이론(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
인지주의 학습이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유와 함께 선택한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아동수학지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각 이론이 수학교육에 기여한 점 - 행동주의이론, ...
[보건교육] 행동주의이론, 인지주의이론, Pavlov 의 고전적 조건형성, Thorndike의 도구적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