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2. Chomsky의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3.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4. Lorenz의 동물생태학이론
5.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6.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7. Freud의 정신분석이론
8.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9. 정보처리이론
10.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11.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12.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2. Chomsky의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3.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4. Lorenz의 동물생태학이론
5.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6.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7. Freud의 정신분석이론
8.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9. 정보처리이론
10.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11.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12.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능의 조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해ㆍ적응시켜가며 일을 수행해 나가는 것이 가드너의 주된 학습이론이다.
11.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삼원지능이론은 지적 행동의 세 측면이 있는데 핵심요소들은 정보-처리기술, 경험, 그리고 맥락이다. 삼원지능은 세 가지 하위이론으로 구성된다. 첫째, 요소하위이론으로 지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정보처리과정과 요인들을 다룬다. 둘째는 경험하위이론이다. 정보처리요소는 과제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는 경험수준에 따라 다르게 응용될 수 있다. 새로운 자극과 장면에 대처하는 능력이 지능의 중요한 측면이다. Stemberg는 지능의 이런 측면에 대하여 과제이해의 신기성과 과제실행의 신기성이 내재된 경우를 구분하였다. 셋째는 상황하위이론이다. 이 하위이론에 따르면, 실제생활 속의 환경과 만나는 세 가지 기본과정이 있다. 지능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장점과 환경과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적응, 조성, 선택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다. Sternbergd는 이상과 같이 삼원지능이론의 경험적 결과를 토대로 지능을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그리고 실제능력의 세 가지 단면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능력은 문제를 풀 때 사용하고, 창의능력은 새로운 자극과 장면에 대처하는 능력으로 어떤 문제를 풀지를 결정할 때 사용되며, 실제능력은 상황하위이론에 근거하는데 실제의 현실 생활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서 환경에 잘 적응하고 선택하며 조성하려는 시도로 이해된다.
12.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이다. 그 이유는 피아제 이론이 인간발달에서 인지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하였는데 피아제는 자연관찰 연구를 통해 아동의 행동 저변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사고과정을 연구하고, 아동이 능동적인 학습자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피아제 이론은 일반적 인지발달 분야뿐만 아니라 기억, 학습, 언어, 사회인지 등의 분야에서 갖가지 연구 성과를 제공해 주었으며 그것들은 교육철학이나 프로그램 발달 등에 많이 응용되었다. 즉 일상생활에서 아동이 보여주는 적응에 중점을 둔 피아제 이론은 생태학적으로도 타당한 이론이라 생각한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발달이론에서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Chomsky의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Lorenz의 동물생태학이론,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Freud의 정신분석이론,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정보처리이론,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등 모두를 정리하여 기술하고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위 이론들이 아동발달의 어떤 측면에 대해서 의견을 달리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이들 이론은 상반된다기보다 오히려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우리는 아동발달이라는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Ⅳ 참고자료
-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2012
- 이인정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12
-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울산대, 2007
- 송석재, “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대학원, 2003
- 최혁기, “사회적 인터렉션의 언어학습도구로서 장난감의 컨텐츠디자인에 대한 연구”, 동아대, 2009
- 정현희,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음악수업지도안 연구”, 동아대, 2009
- 나동진외,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학회, 2004
11.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삼원지능이론은 지적 행동의 세 측면이 있는데 핵심요소들은 정보-처리기술, 경험, 그리고 맥락이다. 삼원지능은 세 가지 하위이론으로 구성된다. 첫째, 요소하위이론으로 지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정보처리과정과 요인들을 다룬다. 둘째는 경험하위이론이다. 정보처리요소는 과제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는 경험수준에 따라 다르게 응용될 수 있다. 새로운 자극과 장면에 대처하는 능력이 지능의 중요한 측면이다. Stemberg는 지능의 이런 측면에 대하여 과제이해의 신기성과 과제실행의 신기성이 내재된 경우를 구분하였다. 셋째는 상황하위이론이다. 이 하위이론에 따르면, 실제생활 속의 환경과 만나는 세 가지 기본과정이 있다. 지능적인 사람들은 자신의 장점과 환경과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적응, 조성, 선택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다. Sternbergd는 이상과 같이 삼원지능이론의 경험적 결과를 토대로 지능을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그리고 실제능력의 세 가지 단면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능력은 문제를 풀 때 사용하고, 창의능력은 새로운 자극과 장면에 대처하는 능력으로 어떤 문제를 풀지를 결정할 때 사용되며, 실제능력은 상황하위이론에 근거하는데 실제의 현실 생활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서 환경에 잘 적응하고 선택하며 조성하려는 시도로 이해된다.
12.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이다. 그 이유는 피아제 이론이 인간발달에서 인지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하였는데 피아제는 자연관찰 연구를 통해 아동의 행동 저변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사고과정을 연구하고, 아동이 능동적인 학습자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피아제 이론은 일반적 인지발달 분야뿐만 아니라 기억, 학습, 언어, 사회인지 등의 분야에서 갖가지 연구 성과를 제공해 주었으며 그것들은 교육철학이나 프로그램 발달 등에 많이 응용되었다. 즉 일상생활에서 아동이 보여주는 적응에 중점을 둔 피아제 이론은 생태학적으로도 타당한 이론이라 생각한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발달이론에서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Chomsky의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Bandurad의 사회학습이론, Lorenz의 동물생태학이론,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Freud의 정신분석이론, 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 정보처리이론,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등 모두를 정리하여 기술하고 본인이 지지하는 이론과 그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위 이론들이 아동발달의 어떤 측면에 대해서 의견을 달리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이들 이론은 상반된다기보다 오히려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우리는 아동발달이라는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Ⅳ 참고자료
-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 2012
- 이인정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12
-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울산대, 2007
- 송석재, “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대학원, 2003
- 최혁기, “사회적 인터렉션의 언어학습도구로서 장난감의 컨텐츠디자인에 대한 연구”, 동아대, 2009
- 정현희,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음악수업지도안 연구”, 동아대, 2009
- 나동진외,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학회, 2004
추천자료
- 다중지능이론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다중지능이론과 특징
- 지능이론의 종류별 비교설명 및 적합한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이유 설명
- 다중지능이론에 비추어 자신이 갖고 있는 우세한 지능과 개발해야 될 지능을 기술하시오
- 다중지능이론에 비추어 자신이 갖고 있는 우세한 지능과 계발해야 될 지능을 기술하시오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다중지능이론교육 프로그램> 다중지능 이론의 개념, 다중지능...
- [아동수학지도] 영유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들 중에 Brner의 정보처리이론과 Gardner의 인...
- 교육심리학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다중지능이론의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 [아동수학지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각 이론이 수학교육에 기여한 점 - 행동주의이론, ...
- 전통적 지능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의 지능에 관한 입장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영역별 특징(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