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HTP 검사
1) HTP란?
2) HTP 검사의 발달과정
3) HTP 검사의 내용
4) HTP 검사의 장점
5) 주의사항
Ⅱ. HTP의 실시방법
Ⅲ. HTP의 해석
1) 구조적/ 표현적 요소
2) 내용적 요소
(1) 집 그림의 구조적 해석
(2) 나무 그림의 구조적 해석
(3)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참고자료 >
1) HTP란?
2) HTP 검사의 발달과정
3) HTP 검사의 내용
4) HTP 검사의 장점
5) 주의사항
Ⅱ. HTP의 실시방법
Ⅲ. HTP의 해석
1) 구조적/ 표현적 요소
2) 내용적 요소
(1) 집 그림의 구조적 해석
(2) 나무 그림의 구조적 해석
(3)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터 만족을 추구하는 능력이 높음을 의미
위쪽으로 향하는 가지 - 현실에서 만족을 취하는 데서 두려움을 느껴 환상 속의 만족으로 대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높은 목표를 두고 있는 사람들이나 정신분열증적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남
종의 끝에 의해 위가 잘린 나무 - 지나친 환상 탐닉을 의미함
아래쪽을 향하는 가지 - 우울이나 과거에 고찰된 경향을 나타냄
가지 끝이 열려 있는 경우 - 충동 통제의 곤란을 반영
부러진 가지나 끝이 잘린 가지 - 외상의 느낌을 표현
가지 끝을 동글동글한 솜 모양으로 그린 경우 - 부드러운 매너의 사람으로 비난받지 않으려는 경향
해에 닿으려고 애쓰는 가지 - 애정 욕구가 좌절된 아동에게서 때로 나타남
④ 기타 중요한 지표들
열쇠구멍 모양의 나무 - 부정적이고 거부적인 피검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검사 지시에 최소한의 동조만 한 경우
Split tree - 나무가 갈라져서 통합되지 않게 그려진 경우, 성격 와해를 반영, 정신분열증의 강력한 지표
비바람이나 폭풍우에 부러진 나무 - 치명적인 환경의 압력을 반영
⑤ 나무 그림의 주제
죽은 나무
- 심한 절망감이나 부적응 상태를 반영. 나무가 죽은 이유에 대해 확인해야 함.
- 기생충, 바람, 번개 등에 의해서 죽었다는 식의 외적 이유를 말하면 외상적인 경험이 있었을 가능성을 살펴봐야 함
- 뿌리나 몸통, 가지가 말라 죽었다는 식의 내적 이유를 말하면 부적절감이 깊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 정신분열증, 우울증, 철회된 내담자, 심한 신경증적 장애에서 볼 수 있음
다른 사람이 자를 것 같은 나무 - 임박한 상해에 대한 두려움
과일나무 - 임산부에게 흔함. 어린이에게 과일나무는 어머니 상이다. 어머니로부터 거절당한 느낌이 있는 아이는 떨어진 사과로 자신을 표현함
버드나무 - 우울감을 반영함
나무의 나이 - 주관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사회적, 성적 성숙을 반영
(3)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① 머리
머리는 자아의 자리이며, 지적 공상적 활동, 충동과 정서의 통제, 사회적 의사소통 등의 중추이다.
큰 머리 - 아동, 강한 지적 노력, 지적 성취에 대한 압박, 공격성, 자기 중심적인 태도, 편집증
작은 머리 - 강박증 환자들, 지적 부족감
② 얼굴
◇ 얼굴은 개인 적 만족이나 불만족을 전하고, 상호 전달 할 수 있는 중추이다
◇ 이목구비의 생략 - 정신증/ 회피적인 것/ 심리 치료의 예후가 좋지 않음
㉠ 입 - 관능적 만족의 원천으로, 아동의 그림에서 머리와 입이 가장 어려서부터 나타난다.
입의 강조 - 퇴행적 방어/ 구강 의존적 성격
생략한 경우 -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거부하는 것/ 애정의 욕구를 부인하는 것
㉡ 입술
남자가 두툼한 입술을 그림: 나약/ 우유부단
㉢ 턱 - 전형적으로 힘과 결단력을 상징한다.
큰 턱 - 강한 요구/ 공격적 경향
㉣ 눈 -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관이다.
동공을 생략한 경우 - 내향적이고 자기에 빠진 사람/ 히스테리적
크게 그린 눈 - 의심이나 편집증적 요소
㉤ 눈썹 - 머리카락의 의미와 같다고 분석
치켜 올린 눈썹 - 경멸/ 거만/ 의심
㉥ 귀 - 정상인의 경우 빼놓는 경우가 흔함
귀의 강조나 확대 - 사회적 비평에 대한 과민성/ 편집증적인 경향
㉦ 머리카락 - 육체적 욕구와 관계가 있음. 간접적인 성적인 에너지 나타냄
머리카락의 강조 - 공격적/ 자기애적
㉧ 코 - 성적 상징으로 생각되고 있다.
큰 코 - 성적인 어려움/ 공격적인 경향
생략한 경우 - 부끄럽고, 위축되어 있으며, 우울한 경향
③ 목
목 - 신체(충동)와 머리(지적 통제)의 연결부위로서의 의미가 있다.
긴 목 - 이성과 감정의 분리/ 경직된 성격을 가진 사람
짧고 굵은 목 - 방종/ 충동적 표현
목의 생략 - 자기애적인 충동과 미성숙한 정신상태와 관련이 있다.
④ 사지
㉠ 팔 - 물리적 환경의 통제자로, 자아발달과 환경의 접촉, 대인관계, 사회적 적응
짧은 팔 - 접촉의 제안/ 수동 의존적
긴 팔 - 성취욕/ 획득욕
뒷짐지고 있는 팔 - 대인 접촉에서 물러나 있음/ 죄책감
㉡ 손
큰 손 - 자격지심에 대한 보상
작은 손 - 불안정감과 무기력감
주먹을 꽉 ▦ 것 - 공격성과 반항성
㉢ 손가락
손가락 - 환경과의 실제 접촉 지점이며 조작의 도구이다, 건설 ,파괴, 공격에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
매우 큰 손가락 - 공격성
손가락이 없는 경우 -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 다리와 발
다리와 발 - 안정감이나 불안정감, 신체적 심리적 이동성과 관련 있다.
다리가 긴 것 - 자율성에 대한 요구가 강하고, 이를 위해 추구하는 것.
다리가 짧은 것 - 움직일 수 없고 위축되었다는 느낌.
다리를 꼰 것 - 성적인 접근에 대해서 방어적인 것.
긴 발 - 안정감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
강조한 발 - 성적인 부적절감/ 공격저인 경향
발 생략 - 위축된 느낌/ 자유성 상실
㉤ 발가락
뾰족한 발가락 - 공격성
⑤ 나머지 신체부분
㉠ 몸통 - 기본 추동과 관련 된다
둥근 몸통 - 여성적/ 비공격적/ 미성숙
가는 몸통 - 신체적 허약을 나타냄/ 분열성 성격일 가능성.
㉡ 젖가슴 - 가슴강조는 강한 구강기적 의존욕구
㉢ 어깨 -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를 드러내 준다.
딱 벌어진 어깨를 그리는 청소년: 신체적 부적절감을 과잉보상 하려는 시도.
㉣ 허리선
남자 - 신체적인 힘/ 성적인 기능 * 여자: 양육적인 요인/ 성적, 생산적 기능 상징
㉤ 해부적 표현
성기 - 청소년의 경우는 성적인 몰두와 호기심을 반영
⑥ 인물에 대한 조망
옆모습 - 지적성숙
머리만 옆모습 - 사회적 부적절감
뒷모습 - 편집증 경향
⑦ 의상
㉠ 옷 일반
누드(Nude) - 성기가 노출된 거친 누드라면 반사회성
㉡ 단추 - 의존적이고 유아적인 것
㉢ 주머니 - 사적 소유물을 보관하는 장소로, 물질적 애정적 박탈과 관련 있다.
㉣ 넥타이 - 성적 상징
< 참고자료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신민섭, 학지사 (2007)
「HTP와 KHTP 심리진단법」김동연, 동아문화사 (2002)
「마음을 읽는 미술치료」김선현, 넥서스BOOKS (2006)
위쪽으로 향하는 가지 - 현실에서 만족을 취하는 데서 두려움을 느껴 환상 속의 만족으로 대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높은 목표를 두고 있는 사람들이나 정신분열증적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남
종의 끝에 의해 위가 잘린 나무 - 지나친 환상 탐닉을 의미함
아래쪽을 향하는 가지 - 우울이나 과거에 고찰된 경향을 나타냄
가지 끝이 열려 있는 경우 - 충동 통제의 곤란을 반영
부러진 가지나 끝이 잘린 가지 - 외상의 느낌을 표현
가지 끝을 동글동글한 솜 모양으로 그린 경우 - 부드러운 매너의 사람으로 비난받지 않으려는 경향
해에 닿으려고 애쓰는 가지 - 애정 욕구가 좌절된 아동에게서 때로 나타남
④ 기타 중요한 지표들
열쇠구멍 모양의 나무 - 부정적이고 거부적인 피검자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검사 지시에 최소한의 동조만 한 경우
Split tree - 나무가 갈라져서 통합되지 않게 그려진 경우, 성격 와해를 반영, 정신분열증의 강력한 지표
비바람이나 폭풍우에 부러진 나무 - 치명적인 환경의 압력을 반영
⑤ 나무 그림의 주제
죽은 나무
- 심한 절망감이나 부적응 상태를 반영. 나무가 죽은 이유에 대해 확인해야 함.
- 기생충, 바람, 번개 등에 의해서 죽었다는 식의 외적 이유를 말하면 외상적인 경험이 있었을 가능성을 살펴봐야 함
- 뿌리나 몸통, 가지가 말라 죽었다는 식의 내적 이유를 말하면 부적절감이 깊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 정신분열증, 우울증, 철회된 내담자, 심한 신경증적 장애에서 볼 수 있음
다른 사람이 자를 것 같은 나무 - 임박한 상해에 대한 두려움
과일나무 - 임산부에게 흔함. 어린이에게 과일나무는 어머니 상이다. 어머니로부터 거절당한 느낌이 있는 아이는 떨어진 사과로 자신을 표현함
버드나무 - 우울감을 반영함
나무의 나이 - 주관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사회적, 성적 성숙을 반영
(3) 사람 그림의 구조적 해석
① 머리
머리는 자아의 자리이며, 지적 공상적 활동, 충동과 정서의 통제, 사회적 의사소통 등의 중추이다.
큰 머리 - 아동, 강한 지적 노력, 지적 성취에 대한 압박, 공격성, 자기 중심적인 태도, 편집증
작은 머리 - 강박증 환자들, 지적 부족감
② 얼굴
◇ 얼굴은 개인 적 만족이나 불만족을 전하고, 상호 전달 할 수 있는 중추이다
◇ 이목구비의 생략 - 정신증/ 회피적인 것/ 심리 치료의 예후가 좋지 않음
㉠ 입 - 관능적 만족의 원천으로, 아동의 그림에서 머리와 입이 가장 어려서부터 나타난다.
입의 강조 - 퇴행적 방어/ 구강 의존적 성격
생략한 경우 -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거부하는 것/ 애정의 욕구를 부인하는 것
㉡ 입술
남자가 두툼한 입술을 그림: 나약/ 우유부단
㉢ 턱 - 전형적으로 힘과 결단력을 상징한다.
큰 턱 - 강한 요구/ 공격적 경향
㉣ 눈 -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관이다.
동공을 생략한 경우 - 내향적이고 자기에 빠진 사람/ 히스테리적
크게 그린 눈 - 의심이나 편집증적 요소
㉤ 눈썹 - 머리카락의 의미와 같다고 분석
치켜 올린 눈썹 - 경멸/ 거만/ 의심
㉥ 귀 - 정상인의 경우 빼놓는 경우가 흔함
귀의 강조나 확대 - 사회적 비평에 대한 과민성/ 편집증적인 경향
㉦ 머리카락 - 육체적 욕구와 관계가 있음. 간접적인 성적인 에너지 나타냄
머리카락의 강조 - 공격적/ 자기애적
㉧ 코 - 성적 상징으로 생각되고 있다.
큰 코 - 성적인 어려움/ 공격적인 경향
생략한 경우 - 부끄럽고, 위축되어 있으며, 우울한 경향
③ 목
목 - 신체(충동)와 머리(지적 통제)의 연결부위로서의 의미가 있다.
긴 목 - 이성과 감정의 분리/ 경직된 성격을 가진 사람
짧고 굵은 목 - 방종/ 충동적 표현
목의 생략 - 자기애적인 충동과 미성숙한 정신상태와 관련이 있다.
④ 사지
㉠ 팔 - 물리적 환경의 통제자로, 자아발달과 환경의 접촉, 대인관계, 사회적 적응
짧은 팔 - 접촉의 제안/ 수동 의존적
긴 팔 - 성취욕/ 획득욕
뒷짐지고 있는 팔 - 대인 접촉에서 물러나 있음/ 죄책감
㉡ 손
큰 손 - 자격지심에 대한 보상
작은 손 - 불안정감과 무기력감
주먹을 꽉 ▦ 것 - 공격성과 반항성
㉢ 손가락
손가락 - 환경과의 실제 접촉 지점이며 조작의 도구이다, 건설 ,파괴, 공격에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
매우 큰 손가락 - 공격성
손가락이 없는 경우 -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 다리와 발
다리와 발 - 안정감이나 불안정감, 신체적 심리적 이동성과 관련 있다.
다리가 긴 것 - 자율성에 대한 요구가 강하고, 이를 위해 추구하는 것.
다리가 짧은 것 - 움직일 수 없고 위축되었다는 느낌.
다리를 꼰 것 - 성적인 접근에 대해서 방어적인 것.
긴 발 - 안정감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
강조한 발 - 성적인 부적절감/ 공격저인 경향
발 생략 - 위축된 느낌/ 자유성 상실
㉤ 발가락
뾰족한 발가락 - 공격성
⑤ 나머지 신체부분
㉠ 몸통 - 기본 추동과 관련 된다
둥근 몸통 - 여성적/ 비공격적/ 미성숙
가는 몸통 - 신체적 허약을 나타냄/ 분열성 성격일 가능성.
㉡ 젖가슴 - 가슴강조는 강한 구강기적 의존욕구
㉢ 어깨 -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를 드러내 준다.
딱 벌어진 어깨를 그리는 청소년: 신체적 부적절감을 과잉보상 하려는 시도.
㉣ 허리선
남자 - 신체적인 힘/ 성적인 기능 * 여자: 양육적인 요인/ 성적, 생산적 기능 상징
㉤ 해부적 표현
성기 - 청소년의 경우는 성적인 몰두와 호기심을 반영
⑥ 인물에 대한 조망
옆모습 - 지적성숙
머리만 옆모습 - 사회적 부적절감
뒷모습 - 편집증 경향
⑦ 의상
㉠ 옷 일반
누드(Nude) - 성기가 노출된 거친 누드라면 반사회성
㉡ 단추 - 의존적이고 유아적인 것
㉢ 주머니 - 사적 소유물을 보관하는 장소로, 물질적 애정적 박탈과 관련 있다.
㉣ 넥타이 - 성적 상징
< 참고자료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신민섭, 학지사 (2007)
「HTP와 KHTP 심리진단법」김동연, 동아문화사 (2002)
「마음을 읽는 미술치료」김선현, 넥서스BOOKS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