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Ⅰ. 서론
1. 들어가며
2. 프로그램 선정기준과 이유
Ⅱ. 본론
1. 계층별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언어현상
1) 라디오에 나타난 10대 청소년들의 언어
(1) 타블로 조정린의 친한 친구
(2) God데니의 Kiss the Radio
(3) 옥주현의 별이 빛나는 밤에
2) 라디오에 나타난 20~ 30대들의 언어
(1) MBC 김원희 오후의 발견
(2) MBC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3) MBC 푸른밤, 그리고 성시경입니다
3) 라디오에 나타난 40~50대 중년층의 언어
(1) KBS 행복한 아침, 정한용 왕영은 입니다
(2) 이재용, 최유라의 라디오 세상
(3) 송승환, 양희은의 여성시대
2. 방송 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언어의 특징
1)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10대 청소년들의 언어의 특징
2)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20~30대 연령층의 언어의 특징
3)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40~50대 연령층의 언어의 특징
3. 10대, 20~30대, 40대 이후 연령층 비교 분석
1) 공통점
2) 차이점
3) 종합분석
Ⅲ. 결론
Ⅰ. 서론
1. 들어가며
2. 프로그램 선정기준과 이유
Ⅱ. 본론
1. 계층별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언어현상
1) 라디오에 나타난 10대 청소년들의 언어
(1) 타블로 조정린의 친한 친구
(2) God데니의 Kiss the Radio
(3) 옥주현의 별이 빛나는 밤에
2) 라디오에 나타난 20~ 30대들의 언어
(1) MBC 김원희 오후의 발견
(2) MBC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3) MBC 푸른밤, 그리고 성시경입니다
3) 라디오에 나타난 40~50대 중년층의 언어
(1) KBS 행복한 아침, 정한용 왕영은 입니다
(2) 이재용, 최유라의 라디오 세상
(3) 송승환, 양희은의 여성시대
2. 방송 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언어의 특징
1)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10대 청소년들의 언어의 특징
2)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20~30대 연령층의 언어의 특징
3) 방송진행 중, 사연에 나타난 40~50대 연령층의 언어의 특징
3. 10대, 20~30대, 40대 이후 연령층 비교 분석
1) 공통점
2) 차이점
3) 종합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이에서 ‘셈’, ‘삼’ ‘염’ 등의 문장 종결형 어미가 유행임
② ‘’을 첨가한 표기
예) 몇 명 이얌(몇 명이야)
하는고얌(하는 거야)
③ ‘ㅜ’를 첨가한 표기
예) 자존쉼(자존심), 그래야쥐(그래야지)
④ ‘O’ 을 첨가한 표기
예) 보려고(볼라공), 빨리(빨랑), 네(넹)
① 유행어
예) 다크서클의 압박
→ ~의 압박 속에 산다는 표현을 요즘 많이 사용
② 코미디 프로그램의 유행어 많이 사용
예) 뾰료룡~ 퓨전
③ 패션을 나타내는 용어에 외래어가 많이 등장
예) 로퍼 스타일, 쉬폰, 미니스커트, 플리츠스커트
④ 문법에 어긋난 표기
예) 담임선생님 →‘담임 쌤’으로 표기
2) 라디오에 나타난 20 ~ 30대들의 언어
(1) MBC 김원희 오후의 발견 (MBC FM4U 91.9 오후 12시~ 오후 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퇴근시간, 1시간 남았어요”를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2월 1일
12월 8일
12월 15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발음, 음운 변동현상
예) 언능(얼른), 추카추카(축하해)
② 준말사용
예) 강퇴(강제퇴장), 남친(남자친구), 여친(여자친구) 등
③ 외래어의 사용
예) 리메이크, Family day, 퀴즈, Hey DJ!, 데이터 등
④ 움라우트 어형으로 발음
예) 이 노래 쥑인다.(죽인다). 아부쥐(아버지)
⑤ 방언의 사용
예)우째이런일이, 겁나 느리게 도는 거 있잖아요.
⑥ 반말체 사용
예) 나 삐졌어.
① 말음 ‘-여’의 사용
예) 사연 많이 보내주세여. 저녁드세여 로 발음
② ‘흑흑’ ,‘엉엉’, 과 같은 과장된 의성어 사용.
③ 반말어투 사용
예) 사연을 읽으면서 조언을 해줄 때 반말어투를 사용. 진행자끼리도 반말을 하기도 함.
④ 방송용어 아닌 말 사용
예) 아이 나참.
⑤ 일본어 사용
예) 행복이 만땅(가득), 앗사리(산뜻하게)
① 외래어의 사용.
예)간지있게 옷을 입는다
(간지->느낌으로 수정)
볼륨 등
② 비어의 사용
예) 드라마가 ‘쫑’이나고..
(쫑->끝이나고)
③ 유행어의 사용
예) 쪼아~ 가는거야!
④ 말음첨가 현상
예) 빨랑 가도록해요.
(빨랑->빨리)
⑤ 축약어의 사용
예) 오늘 간만에 해보도록 합니다.(간만에->오래간만에)
⑥ 잘못된 어휘 사용
예) 문제를 맞치도록 해요(맞치다->맞추다)
사
연
에
서
나
타
난
언
어
① ‘님’의 사용
예) 혜정님은 뭐하시나요?
② 속어
예) 지금 제가 잠시 땜빵중입니다.(대신해 주고)
③ 잘못된 어휘 사용
예) 날개를 들고 날라야 해요(‘날아야 해요’로 수정해야함)
①단어의 부정확한 사용
예) 두꺼운 팔뚝, 얇은 허리(두터운 팔뚝, 가는허리 가 맞음)
②잘못된 조사사용
예) ‘날더러’는 잘못된 사용.
‘더러’는 ‘~에게’를 뜻하는 조사이므로 ‘나’에 붙여야 함(나더러)
① 잘못된 단어사용
예) 제가 성대묘사를 할 수 있거든요(성대묘사->성대모사) 어리버리->어리바리가 맞는 표현임.
② 약어의 사용
예) 강추(강력추천). 방제(대화방의 제목)
③ 외래어의 사용
일본어: 우와기(깨끗하게)
영어: 볼륨, 세트 (여기에서는세트를 셋뚜로 발음)
(2) MBC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MBC FM4U 91.9 오후 10시~ 오후 1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이병진의 고민상담소”를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1월 29일
12월 6일
12월 13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외래어의 사용
예) 커버가 안될 것 같고,
콤플렉스에 자신감을....커플, 데이트, 패션, 남자솔로 앨범 중에서.. 등
② 음절생략 현상
예) ‘마이’ 속상했겠다
(마이->많이)
③ ‘완전’ 이라는 표현 사용
예) 완전 똑똑해요
완전 추워요
④ 비어 사용
예) 요쿠르트를 ‘떡이되게’마시고,,,(떡이되게->많이)
좋은건 ‘낼름’ 가져오는
(낼름->냉큼, 바로)
① 비표준어의 사용
예) 얼로(어디로), 목이 메이는(목이 메는), 놀래키다(놀래다) 등
② 외래어의 남용
예) 웰컴 투 코리아, 팝 뮤직스타, 리플, 이모티콘 등
③ 형태소의 생략
예) 김샘~ (김선생님)
④ 은어의 사용
예) 와~ 뚜껑열리네...(와~진짜 화가나네)
⑤ ‘-고’를 ‘-구’로 사용
예) 데리구 오세요. (데리구->데리고) 가지구 가자.(가지구->가지고) 등
① 불필요한 외래어의 사용
예) 베스트 쑤리~(쑤리도 맞는 표기법이 아님: 쓰리라고 해야함)
② 반말체의 어투의 사용
예) 헛! 뭐야~, 먼저 고백하면 어쩔건데~. 그랬냐? 등의 방송과는 맞지 않는 말들이 표현됨.
③ 방언형의 언어 사용
예) 참말로(정말로), 추접스러운게(지저분한게)
④ 서술어의 부정확성(생략)
예) 난 더 많은 고민을 했다는거. (뒤에 서술어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음)
사
연
에
서
나
타
난
언
어
① 비어의 사용
얼짱(얼굴이 ‘예쁘다’라는 뜻 이외에 얼굴이 ‘크다’라는 뜻으로 쓰임.
② 외래어의 사용
아르바이트, 패밀리레스토랑
③ 축약어 사용
예)알바(아르바이트)
④ 과장된 수식어 사용
예) ‘디따’ 많어~ (디따->매우)
① 후음화의 언어변형
예) 아공, 조아라 (아이 좋아라)
② ‘으’를 ‘이’로 발음함
예) 촌스러운->촌시러운
③ 과장된 수식어 사용
예) 리플이 ‘잔뜩’ 들어왔어요.
④ 방언의 사용
예) 여간해서는(왠만해서는)
① 은어의 사용
예) 남친, 여친, 킹카, 꿀꿀하다 등.
② 반말체의 어투 사용
예) 나 삐졌어...
③ 방송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되는 과한 어투의 사용
예) 늦게 오는 인간한테는.......
(3) MBC 푸른밤, 그리고 알렉스입니다 (MBC FM4U 91.9 오전 12시~ 오전 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푸른밤은 통화중”을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1월 5일
12월 6일
12월 13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간간히보이는 줄임말은어
예) 정줄 놓다(정신줄을 놓다), 남자에게 디이다, 잠수를 타다
② 진행자의 딱딱한 언어사용
예) 다,나,까
③ 게스트와 대화하는
듯한 진행
예)체리필터의 과거 이야기를 상담해주는 식의 진행
④ 말 끝에 방언을 섞어서 조금더 흥미 유발
① 한국어에 외래어가
② ‘’을 첨가한 표기
예) 몇 명 이얌(몇 명이야)
하는고얌(하는 거야)
③ ‘ㅜ’를 첨가한 표기
예) 자존쉼(자존심), 그래야쥐(그래야지)
④ ‘O’ 을 첨가한 표기
예) 보려고(볼라공), 빨리(빨랑), 네(넹)
① 유행어
예) 다크서클의 압박
→ ~의 압박 속에 산다는 표현을 요즘 많이 사용
② 코미디 프로그램의 유행어 많이 사용
예) 뾰료룡~ 퓨전
③ 패션을 나타내는 용어에 외래어가 많이 등장
예) 로퍼 스타일, 쉬폰, 미니스커트, 플리츠스커트
④ 문법에 어긋난 표기
예) 담임선생님 →‘담임 쌤’으로 표기
2) 라디오에 나타난 20 ~ 30대들의 언어
(1) MBC 김원희 오후의 발견 (MBC FM4U 91.9 오후 12시~ 오후 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퇴근시간, 1시간 남았어요”를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2월 1일
12월 8일
12월 15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발음, 음운 변동현상
예) 언능(얼른), 추카추카(축하해)
② 준말사용
예) 강퇴(강제퇴장), 남친(남자친구), 여친(여자친구) 등
③ 외래어의 사용
예) 리메이크, Family day, 퀴즈, Hey DJ!, 데이터 등
④ 움라우트 어형으로 발음
예) 이 노래 쥑인다.(죽인다). 아부쥐(아버지)
⑤ 방언의 사용
예)우째이런일이, 겁나 느리게 도는 거 있잖아요.
⑥ 반말체 사용
예) 나 삐졌어.
① 말음 ‘-여’의 사용
예) 사연 많이 보내주세여. 저녁드세여 로 발음
② ‘흑흑’ ,‘엉엉’, 과 같은 과장된 의성어 사용.
③ 반말어투 사용
예) 사연을 읽으면서 조언을 해줄 때 반말어투를 사용. 진행자끼리도 반말을 하기도 함.
④ 방송용어 아닌 말 사용
예) 아이 나참.
⑤ 일본어 사용
예) 행복이 만땅(가득), 앗사리(산뜻하게)
① 외래어의 사용.
예)간지있게 옷을 입는다
(간지->느낌으로 수정)
볼륨 등
② 비어의 사용
예) 드라마가 ‘쫑’이나고..
(쫑->끝이나고)
③ 유행어의 사용
예) 쪼아~ 가는거야!
④ 말음첨가 현상
예) 빨랑 가도록해요.
(빨랑->빨리)
⑤ 축약어의 사용
예) 오늘 간만에 해보도록 합니다.(간만에->오래간만에)
⑥ 잘못된 어휘 사용
예) 문제를 맞치도록 해요(맞치다->맞추다)
사
연
에
서
나
타
난
언
어
① ‘님’의 사용
예) 혜정님은 뭐하시나요?
② 속어
예) 지금 제가 잠시 땜빵중입니다.(대신해 주고)
③ 잘못된 어휘 사용
예) 날개를 들고 날라야 해요(‘날아야 해요’로 수정해야함)
①단어의 부정확한 사용
예) 두꺼운 팔뚝, 얇은 허리(두터운 팔뚝, 가는허리 가 맞음)
②잘못된 조사사용
예) ‘날더러’는 잘못된 사용.
‘더러’는 ‘~에게’를 뜻하는 조사이므로 ‘나’에 붙여야 함(나더러)
① 잘못된 단어사용
예) 제가 성대묘사를 할 수 있거든요(성대묘사->성대모사) 어리버리->어리바리가 맞는 표현임.
② 약어의 사용
예) 강추(강력추천). 방제(대화방의 제목)
③ 외래어의 사용
일본어: 우와기(깨끗하게)
영어: 볼륨, 세트 (여기에서는세트를 셋뚜로 발음)
(2) MBC 이소라의 FM 음악도시 (MBC FM4U 91.9 오후 10시~ 오후 1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이병진의 고민상담소”를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1월 29일
12월 6일
12월 13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외래어의 사용
예) 커버가 안될 것 같고,
콤플렉스에 자신감을....커플, 데이트, 패션, 남자솔로 앨범 중에서.. 등
② 음절생략 현상
예) ‘마이’ 속상했겠다
(마이->많이)
③ ‘완전’ 이라는 표현 사용
예) 완전 똑똑해요
완전 추워요
④ 비어 사용
예) 요쿠르트를 ‘떡이되게’마시고,,,(떡이되게->많이)
좋은건 ‘낼름’ 가져오는
(낼름->냉큼, 바로)
① 비표준어의 사용
예) 얼로(어디로), 목이 메이는(목이 메는), 놀래키다(놀래다) 등
② 외래어의 남용
예) 웰컴 투 코리아, 팝 뮤직스타, 리플, 이모티콘 등
③ 형태소의 생략
예) 김샘~ (김선생님)
④ 은어의 사용
예) 와~ 뚜껑열리네...(와~진짜 화가나네)
⑤ ‘-고’를 ‘-구’로 사용
예) 데리구 오세요. (데리구->데리고) 가지구 가자.(가지구->가지고) 등
① 불필요한 외래어의 사용
예) 베스트 쑤리~(쑤리도 맞는 표기법이 아님: 쓰리라고 해야함)
② 반말체의 어투의 사용
예) 헛! 뭐야~, 먼저 고백하면 어쩔건데~. 그랬냐? 등의 방송과는 맞지 않는 말들이 표현됨.
③ 방언형의 언어 사용
예) 참말로(정말로), 추접스러운게(지저분한게)
④ 서술어의 부정확성(생략)
예) 난 더 많은 고민을 했다는거. (뒤에 서술어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음)
사
연
에
서
나
타
난
언
어
① 비어의 사용
얼짱(얼굴이 ‘예쁘다’라는 뜻 이외에 얼굴이 ‘크다’라는 뜻으로 쓰임.
② 외래어의 사용
아르바이트, 패밀리레스토랑
③ 축약어 사용
예)알바(아르바이트)
④ 과장된 수식어 사용
예) ‘디따’ 많어~ (디따->매우)
① 후음화의 언어변형
예) 아공, 조아라 (아이 좋아라)
② ‘으’를 ‘이’로 발음함
예) 촌스러운->촌시러운
③ 과장된 수식어 사용
예) 리플이 ‘잔뜩’ 들어왔어요.
④ 방언의 사용
예) 여간해서는(왠만해서는)
① 은어의 사용
예) 남친, 여친, 킹카, 꿀꿀하다 등.
② 반말체의 어투 사용
예) 나 삐졌어...
③ 방송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되는 과한 어투의 사용
예) 늦게 오는 인간한테는.......
(3) MBC 푸른밤, 그리고 알렉스입니다 (MBC FM4U 91.9 오전 12시~ 오전 2시)
※ 이 프로그램의 고정 코너인 “푸른밤은 통화중”을 3주 동안 청취하여 특징 분석
11월 5일
12월 6일
12월 13일
방
송
진
행
중
에
사
용
된
언
어
① 간간히보이는 줄임말은어
예) 정줄 놓다(정신줄을 놓다), 남자에게 디이다, 잠수를 타다
② 진행자의 딱딱한 언어사용
예) 다,나,까
③ 게스트와 대화하는
듯한 진행
예)체리필터의 과거 이야기를 상담해주는 식의 진행
④ 말 끝에 방언을 섞어서 조금더 흥미 유발
① 한국어에 외래어가
추천자료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
국어과 듣기 지도 및 듣기교육통론
사교육 경감방안으로서의 EBS 교육방송에 관하여
보는 커뮤니케이션
[광고학] 광고속 섹스어필요소분석
희곡 분석 및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작품 및 등장인물 분석) [A++]
영상매체를 통한 문학감상
내 교과가 가지고 있는 가치는 무엇인가?
인지적 관점에서의 어휘지도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2장 크리에이티브의 제작: 아트와 카피)
국어과 매체교육 교사용 지도서 - 만화와 광고를 중심으로
[국어교재A+] 매체 텍스트를 통한 국어지식 영역 지도 -7학년 <4.국어 생활의 반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의 의미와 활용(교육공학의 개념정의, 교육공학의 영역, 교육공학의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