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구조와 기능 병태생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무기력, 근력 상실, 체중 감소 등 다양하다.
c. 황달이 뚜렷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빌리루빈은 농축되고 소변의 urobilinogen 수준은 상승될 수 있다.
d. 간세포 손상정도에 따라 간세포성 황달은 완전히 회복될 수도 있다.
라. 폐쇄성 황달
a. 담석, 염증성 과정, 종양이나 장기 증대로 인한 압력 등으로 담관이 폐색되어 초래될 수 있다.
b. 폐색은 간실질 내의 작은 담관을 침범하여 간내 폐색(intrahepatic obstruction)을 일으킬 수 있다.
c. 폐쇄성 황달은 담즙이 정상적으로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하고 간실질내로 역류되어 발생한다.
d. 간으로 역류된 담즙은 혈액 내로 재흡수되고 전신으로 운반되어 황달을 보인다.
e. 소변은 담즙으로 인해 짙은 오렌지색이 되고 거품이 많아지나 대변은 위장관으로 배출되는 담즙 감소로 인해 옅은 색을 띈다.
f. 담즙 분비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소화에 장애가 생겨 일시적 소화불량이나 지방음식에 대한 불내성이 초래 될 수 있다.
7. 담도의 감염
a. 염증과 폐쇄가 있을 때 담낭은 분비된 점액의 축적과 배농액으로 부어 오르게 되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 세균들이 담낭을 감염시키거나 괴저상태로 만든다.
8. 암모니아 독성
a. 간 기능이 저하되면 암모니아를 요소(urea)로 전화하는 능력에 손상이 온다.
b. 암모니아가 문맥성 고혈압으로 간을 경유하지 않고 측부 순환을 통해 전신순환을 하면 암모니아 독성이 생긴다.
c. 암모니아 독성은 간성 뇌질환을 나타내며 착락과 공격적 상태를 보이다 간성 혼수에 이르게 된다.
9. 간 기능과 관련된 영양의 변화
a. 간세포의 손상으로 담즙생산의 장애와 더불어 당원(glycogen)의 합성장애도 일어난다.
b. 식욕감퇴로 체중감소, 체온저하, 피로 등이 나타나고 칼로리 요구 충족을 위해 지방과 근육이 대사되고 담즙 감소로 지방흡수도 감소된다.
c. 복부는 복수로 팽창되고 메티오닌 아미노산의 대사가 적절치 못해 호흡시 아세톤이나 달콤한 냄새의 간성 악취(fetor hepaticus)가 난다.
d. 지방 흡수가 감소하면 지용성 비타민 A, D, E, K 가 부족해지고 야맹증, 골다공증, 혈액응고장애 등 여러 장애가 나타난다.
10. 체액량의 변화
a. 간이 생산하는 혈장 단백질 알부민은 혈장의 교질삼투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부족할 경우 교질삼투압이 유지되지 않아 의존성 부종이 생긴다.
b. 복수가 축적되면 횡격막에 압력을 가해 호흡곤란, 식욕감퇴, 포만감, 변비, 고창(flatulence), 제대 탈장(umbilical hernia)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1. 해독작용의 장애
a. 해독작용의 저하는 혈중 알도스테론과 ADH증가를 불러오게 되고 나트륨과 물을 정체시켜 부종을 더욱 악화시킨다.
b.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은 남성의 여성형 유방, 체모의 상실, 부드러운 피부, 고환의 위축, 성욕 감퇴, 불임증 등을 일으킨다.
c. 알코올, 항생제, 항고혈압같은 약물등도 간의 해독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체내에 독성수준까지 축적될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