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3) 검사소견
5) 문헌고찰
6) 간호과정
7) 결론
2)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3) 검사소견
5) 문헌고찰
6) 간호과정
7) 결론
본문내용
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등을 투여하고, 네뷸라이져과 필요에 따라 타진법, 체위 배액, 흡인 튜브 또는 기관지경을 이용한 흡인 등을 병용한다. 진통제는 객담 배출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객담량이 많은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흉통 등은 호흡을 방해하므로 경증의 경우에는 습포를 사용하고, 심한 경우네는 진통제를 사용한다. 저산소혈증의 경우는 중증도에 따라 비강 캐뉼라, 마스크, 산소 텐트의 순서로 사용한다.
기초 질환에 만성 호흡기 질환을 지닌 환자의 경우는 산소 투여로 CO₂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식 상태를 관찰하면서 자주 동맥혈 가스 분석을 시행한다. 산소마스크 사용 하에서 PaO₂가 60 mmHg 이하인 경우나 CO₂중독이 의심되는 경우는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또한 영양불량 상태는 폐렴의 발생 및 악화와 회복을 방해하므로 충분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 고열을 동반하는 발한 등에 의해 탈수 상태에 빠지기 쉬우므로 충분히 수액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탈수로 종종 가래가 농축되어 객담 배출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과잉 수액은 심부전을 유발하여 폐렴 치료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히 심질환 환자나 노인은 주의가 필요하다.
7. 합병증
폐렴이 심한 경우 폐의 늑막사이에 염증이 생기는 늑막염이 생길 수 있으며 균이 전신으로 퍼져 폐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기도 폐색, 기관지 확장증, 중이염, 부비동염, 무기폐, 폐기종, 폐 섬유화증, 과민성 폐 질환, 늑막염, 농흉, 기흉이 생길 수 있으며 그 외에 중추 신경에는 뇌막염, 기타 장기에는 심막염, 관절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8. 예후
초기에 적극적으로 적절하게 치료하면 대개 잘 낫는다. 그러나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률은 증가한다. 50세 이후의 환자, 합병증이 생긴 환자, 심부전 등 다른 질병이 있는 환자에서 사망률이 높다. 합병증이 생기지는 않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보통 발병 후 7~10일 후에 위기가 오며 용해기를 경험한다. 위기 기간은 체온이 고열에서 급격하게 내려오는 기간이다. 폐렴 환자의 체온은 위기가 발생될 때까지 특이하게 상승된 채로 있다.
9. 예방
① 폐렴의 위험요인을 알게 한다.
②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다.
③ 상기도 감염이 있을 때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한다.
④ 적절한 기침과 체위변경, 심호흡운동을 하도록 한다.
⑤ 만약 환자가 가정에서 호흡 치료기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기구를 청결히 하도록 한다.
⑥ 먼지나 간접흡연, 분무기 같은 실내 오염물질을 피하도록 한다.
⑦ 금연하도록 권장한다.
⑧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⑨ 충분한 양의 수분을 취하도록 한다.
6) 간호과정
간호진단 :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사 정
<주관적 자료>
“아이가 호흡하는 것을 힘들어 해요”
“숨 쉴때 그르렁그르렁 소리가 나요”
<객관적 자료>
V/S BP 110/70, PR 140, RR 32 BT 38.2 check.
빈호흡을 보이며, 숨차한다.
호흡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
양쪽 lung sound를 들어본 결과 비정상적인 소리가 난다.
진 단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2월 13일까지 정상적인 호흡음을 유지한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1월 15일까지 정상적인 V/S을 보인다.
② 대상자는 1월 15일까지 비정상적인 lung sound가 없어진다.
③ 1월 15일까지 객담이 맑고 적어진다.
계 획
1.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2. 호흡기치료를 한다.
3. 보호자에게 physiotherapy를 교육한다.
4.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5.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폐확장이 되게 함)
6. 수분권장을 한다.
7. 가습기를 제공한다.
수 행
1. 처방된 Hokunalin patch 0.5mg, prospan syrup 1ml, copan syrup 1ml을 투여하였다.
2. 하루 4번(6시, 12시, 18시, 24시) nebulizer라는 기계로 ventolin 5mg/0.6ml와 N/S 2cc를 섞어서 투여한다.
3-①. physiotherapy의 중요성을 pt\'s 어머니에게 교육하였다.(타진과 진동요 법)
3-②. 대상자에게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 등을 쳐주도록 교육하였다.
4. 2시간마다 호흡수를 check 하였다. (호흡 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5. 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준다.
6. 미지근한 물을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7. 가습기를 환아의 침상 옆에 두고 습화된 공기를 제공하였다.
<이론적 근거>
1. 기관지 확장으로 호흡원활 및 폐내 객담 축적을 예방한다.
2. Nebulizer는 준비된 약을 폐포 깊숙한 부위에 까지 넣어 주기 위한 것으로 환자가 흡입을 하면 직접 폐로 전달 되어 호흡하는데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3. 직접적 영향을 주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호흡 안정을 돕는다. 기침을 하여 뱉어내거나 흡인할 수 있는 큰 기도로 분비물을 이동시켜 환자 기도를 유지한다.
5. semi-Fowler\'s position는 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체위이다.
6. 분비물을 액화 시켜준다.
7. 가습기로 적절한 습기를 유지시킴으로써 기도분비물을 좀 더 맑게 할 수 있다.
평 가
1. 1월 15일, 대상자는 Ventoline과 기관제확장제 투여 후 호흡을 편안하게 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2.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물리요법을 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3. 1월 15일, 환자의 어머니는 하루에 3번 physiotherapy를 하고 있다고 말 했다.
4. 1월 15일, 기침은 조금씩 하지만 호흡수가 26회 였으며 숨쉴 때 그르렁그르렁 거렸던 분비물이 많이 줄은 것을 볼 수 있었다.
5. 어머니께서 “숨쉴 때 가래 끓는 소리도 안 나고 편안해해요.”라고 말하셨다.
사 정
<주관적 자료>
“아이가 부들부들 떨어요”
“온 몸이 뜨거운데 열 좀 재주세요”
“애가 잠을 안자고 너무 보채요”
<객관적 자료>
1월 13일 16시에 PR: 90, RR: 30, BT: 38.3로 check
기초 질환에 만성 호흡기 질환을 지닌 환자의 경우는 산소 투여로 CO₂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식 상태를 관찰하면서 자주 동맥혈 가스 분석을 시행한다. 산소마스크 사용 하에서 PaO₂가 60 mmHg 이하인 경우나 CO₂중독이 의심되는 경우는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또한 영양불량 상태는 폐렴의 발생 및 악화와 회복을 방해하므로 충분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 고열을 동반하는 발한 등에 의해 탈수 상태에 빠지기 쉬우므로 충분히 수액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탈수로 종종 가래가 농축되어 객담 배출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과잉 수액은 심부전을 유발하여 폐렴 치료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히 심질환 환자나 노인은 주의가 필요하다.
7. 합병증
폐렴이 심한 경우 폐의 늑막사이에 염증이 생기는 늑막염이 생길 수 있으며 균이 전신으로 퍼져 폐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기도 폐색, 기관지 확장증, 중이염, 부비동염, 무기폐, 폐기종, 폐 섬유화증, 과민성 폐 질환, 늑막염, 농흉, 기흉이 생길 수 있으며 그 외에 중추 신경에는 뇌막염, 기타 장기에는 심막염, 관절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8. 예후
초기에 적극적으로 적절하게 치료하면 대개 잘 낫는다. 그러나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률은 증가한다. 50세 이후의 환자, 합병증이 생긴 환자, 심부전 등 다른 질병이 있는 환자에서 사망률이 높다. 합병증이 생기지는 않았지만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보통 발병 후 7~10일 후에 위기가 오며 용해기를 경험한다. 위기 기간은 체온이 고열에서 급격하게 내려오는 기간이다. 폐렴 환자의 체온은 위기가 발생될 때까지 특이하게 상승된 채로 있다.
9. 예방
① 폐렴의 위험요인을 알게 한다.
②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다.
③ 상기도 감염이 있을 때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한다.
④ 적절한 기침과 체위변경, 심호흡운동을 하도록 한다.
⑤ 만약 환자가 가정에서 호흡 치료기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기구를 청결히 하도록 한다.
⑥ 먼지나 간접흡연, 분무기 같은 실내 오염물질을 피하도록 한다.
⑦ 금연하도록 권장한다.
⑧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⑨ 충분한 양의 수분을 취하도록 한다.
6) 간호과정
간호진단 :
#1.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사 정
<주관적 자료>
“아이가 호흡하는 것을 힘들어 해요”
“숨 쉴때 그르렁그르렁 소리가 나요”
<객관적 자료>
V/S BP 110/70, PR 140, RR 32 BT 38.2 check.
빈호흡을 보이며, 숨차한다.
호흡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
양쪽 lung sound를 들어본 결과 비정상적인 소리가 난다.
진 단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청결
목 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2월 13일까지 정상적인 호흡음을 유지한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1월 15일까지 정상적인 V/S을 보인다.
② 대상자는 1월 15일까지 비정상적인 lung sound가 없어진다.
③ 1월 15일까지 객담이 맑고 적어진다.
계 획
1.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2. 호흡기치료를 한다.
3. 보호자에게 physiotherapy를 교육한다.
4.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5.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폐확장이 되게 함)
6. 수분권장을 한다.
7. 가습기를 제공한다.
수 행
1. 처방된 Hokunalin patch 0.5mg, prospan syrup 1ml, copan syrup 1ml을 투여하였다.
2. 하루 4번(6시, 12시, 18시, 24시) nebulizer라는 기계로 ventolin 5mg/0.6ml와 N/S 2cc를 섞어서 투여한다.
3-①. physiotherapy의 중요성을 pt\'s 어머니에게 교육하였다.(타진과 진동요 법)
3-②. 대상자에게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어 등을 쳐주도록 교육하였다.
4. 2시간마다 호흡수를 check 하였다. (호흡 깊이, 호흡음, 호흡수 사정)
5. 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준다.
6. 미지근한 물을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7. 가습기를 환아의 침상 옆에 두고 습화된 공기를 제공하였다.
<이론적 근거>
1. 기관지 확장으로 호흡원활 및 폐내 객담 축적을 예방한다.
2. Nebulizer는 준비된 약을 폐포 깊숙한 부위에 까지 넣어 주기 위한 것으로 환자가 흡입을 하면 직접 폐로 전달 되어 호흡하는데 원활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3. 직접적 영향을 주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호흡 안정을 돕는다. 기침을 하여 뱉어내거나 흡인할 수 있는 큰 기도로 분비물을 이동시켜 환자 기도를 유지한다.
5. semi-Fowler\'s position는 호흡곤란을 경감시키는 체위이다.
6. 분비물을 액화 시켜준다.
7. 가습기로 적절한 습기를 유지시킴으로써 기도분비물을 좀 더 맑게 할 수 있다.
평 가
1. 1월 15일, 대상자는 Ventoline과 기관제확장제 투여 후 호흡을 편안하게 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2.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물리요법을 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다.
3. 1월 15일, 환자의 어머니는 하루에 3번 physiotherapy를 하고 있다고 말 했다.
4. 1월 15일, 기침은 조금씩 하지만 호흡수가 26회 였으며 숨쉴 때 그르렁그르렁 거렸던 분비물이 많이 줄은 것을 볼 수 있었다.
5. 어머니께서 “숨쉴 때 가래 끓는 소리도 안 나고 편안해해요.”라고 말하셨다.
사 정
<주관적 자료>
“아이가 부들부들 떨어요”
“온 몸이 뜨거운데 열 좀 재주세요”
“애가 잠을 안자고 너무 보채요”
<객관적 자료>
1월 13일 16시에 PR: 90, RR: 30, BT: 38.3로 chec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