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사정도구
3. 간호진단
4. 임상검사
5. NST검사
6. 사용약물
7. 임부의 산전관리
8. 퇴원교육
2. 사정도구
3. 간호진단
4. 임상검사
5. NST검사
6. 사용약물
7. 임부의 산전관리
8. 퇴원교육
본문내용
사. 식욕부진. 발진. 두드러기. 발열, 두통, 경련, 어지러움, 복시, 근시와 같은 일시적인 시각장애, 국소반응으로 정맥 혈전증, 호중구 감소, 무과립증.
이미다졸 유도체에 과민반응자, 혈액질환 또는 기왕력자, 말초신경병증 환자, 임신 3개월 이내의 임부, 미졸라스틴을 투여중인 환자.
임부투여 안전성 여부
- 호주 ADEC 분류
분류
설명
A
다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 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B1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에서 태아 손상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없었다.
B2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 자료는 부적절하거나 부족했지만 이용가능한 자료를 검토시 태아 손상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없었다.
B3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 자료 검토 결과, 태아 손상 발생 증가가 있었지만 인체에서의 유의성은 불확실한 것으로 고려된다.
C
약물 자체의 약물학적인 작용기전에 의해 태아 또는 신생아에 기형 발생없이 유해한 작용을 일으켰거나 일으킨다고 의심되는 약물. 이러한 효과는 가역적일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봉된 설명서를 참조해야 한다.
D
태아의 기형 또는 비가역적인 손상의 빈도 증가를 일으켰거나 일으킨다고 의심되었거나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는 약물. 이러한 약물은 또한 부정적인 약물학적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봉된 설명서를 참조해야 한다.
X
태아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높은 약물로 임신중 또는 임신의 가능성이 있을 때 사용해서는 안된다.
- 미국 FDA 분류
분류
설명
A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한 대조임상시험에서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없음이 증명되었다
B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없었다; 그러나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또는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나타났지만 대조임상시험에서는 증명되지 않았다.
C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부정적인 작용이 증명되었으나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또는 조절된 동물실험 또는 임상시험이 실시되지 않았다.
D
대조임상시험 결과, 태아에 대한 부정적인 작용이 증명되었으나, 약물 사용의 유익성이 위험성 보다 크다.
X
임신중 여성에 대해서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다.
초기
중기
말기
7주
14주
21주
30주
32주
체 중
65kg
71kg
75kg
79kg
82kg
혈 압
140/90
160/100
150/100
170/120
140/100
단백뇨
3+
2+
태아 심음
150회/분
169회/분
144회/분
144회/분
자궁저부 높이
pelvis
배꼽 직하부
배꼽 위
xyphoid process 3cm ↓
태위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불
편
감
입 덧
6주부터 10주까지 약하게 함
無
無
無
無
가슴앓이
無
無
無
無
無
변비, 치질
無
변비 有
변비 有
변비 有
변비 有
하지부종
無
약간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하지경련
無
無
無
無
無
호흡곤란
無
無
無
짧은호흡
짧은호흡
요 통
無
無
약간
약간
약간
빈 뇨
無
6회
6회
7~8회
9~11회
질대하증
無
無
無
無
無
초음파검사
12주에 첫 검사
Vx, HR:144
Wt: 2170g
제대 :3v.
태반:fundal, 양수:moderate
내아심음감시
NST
無
無
無
reactive
reactive
7. 임부의 산전관리
8. 퇴원교육
- 산욕기 산모교육 계획표 -
교육내용
1. 자가간호
① 회음부 관리
- stitch out : 분만 일주일 후 접수하지 않고, 2층 산부인과 외래에서 하도록 한다.(공휴일은 제외) Median으로 회음 절개시, mediolatem이어도 continuous하게 suture한 경우 예외.
- sitz bath
1일 3회 2주일간 실시토록. 따뜻한 물 1000cc가량(대야1/3 정도)에 지노베타딘 용액 15-20cc를 혼합한 후 환부를 담그고 10분 정도 앉아 있은 후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켜 준다.
② 좌욕
1일 2~3회 정도 2주간 실시한다. 양은 대야에 1/3정도 물을 끓여 40도 정도로 식으면(대야 밖에서 만져서 약간 따뜻할 때) 지노베타딘 용액 15~20cc를 혼합한 후 환부를 담그고 10분 정도 앉아 있으면 된다. 좌욕 실시 후에는 환부를 헤어드라이기 등을 이용해 건조시킨다. 배분 후에는 한 번 더 좌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③ 목욕 및
개인위생
목욕은 분만 1주일 후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며, 분만 4주 이전에는 샤워를 하는 것이 좋고, 통목욕과 대중 목욕탕 이용은 4주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④ 유방 관리
분만 2~3일 후 초유가 분비되며, 색깔은 Yellowish 하며 가슴이 단단해지려고 하면 타올에 따뜻한 물을 적셔 충분히 마사지 해서 울혈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인공 수유시에는 탄력붕대를 이용하여 가승ㅁ을 단단히 감은 후 필요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수유 억제제를 복용하면 된다.(민간요법으로 식혜나 엿기름, 인삼, 홍차, 율무, 생강 등을 먹는다.)
⑤ 운동
<산후 운동의 효과>
○ 분만 시 늘어난 복벽과 골반 및 근육의 수축회복을 촉진시키고 체력을 길러준다.
○ 혈액순환을 좋게 해 준다.
○ 소변의 배출과 자궁수축을 도와 준다.
○ 산후긴장을 풀어주고 피로회복의 효과가 있다.
○ 모유의 분비를 촉진히켜 준다.
○ 변비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 근육통을 해소하고 전싱을 편히 쉬게 한다.
1. 호흡운동(1일째)
배를 불리며 심호흡을 해서 숨을 들이쉰다. ‘쉬이’ 소리를 내며 천천히 숨을 내뱉는다.
이미다졸 유도체에 과민반응자, 혈액질환 또는 기왕력자, 말초신경병증 환자, 임신 3개월 이내의 임부, 미졸라스틴을 투여중인 환자.
임부투여 안전성 여부
- 호주 ADEC 분류
분류
설명
A
다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 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B1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에서 태아 손상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없었다.
B2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 자료는 부적절하거나 부족했지만 이용가능한 자료를 검토시 태아 손상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없었다.
B3
제한된 수의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에 투여시 기형이나 태아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인 유해 작용의 빈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약물. 동물실험 자료 검토 결과, 태아 손상 발생 증가가 있었지만 인체에서의 유의성은 불확실한 것으로 고려된다.
C
약물 자체의 약물학적인 작용기전에 의해 태아 또는 신생아에 기형 발생없이 유해한 작용을 일으켰거나 일으킨다고 의심되는 약물. 이러한 효과는 가역적일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봉된 설명서를 참조해야 한다.
D
태아의 기형 또는 비가역적인 손상의 빈도 증가를 일으켰거나 일으킨다고 의심되었거나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는 약물. 이러한 약물은 또한 부정적인 약물학적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봉된 설명서를 참조해야 한다.
X
태아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높은 약물로 임신중 또는 임신의 가능성이 있을 때 사용해서는 안된다.
- 미국 FDA 분류
분류
설명
A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한 대조임상시험에서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없음이 증명되었다
B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없었다; 그러나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또는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위험성이 나타났지만 대조임상시험에서는 증명되지 않았다.
C
조절된 동물실험 결과, 태아에 대한 부정적인 작용이 증명되었으나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또는 조절된 동물실험 또는 임상시험이 실시되지 않았다.
D
대조임상시험 결과, 태아에 대한 부정적인 작용이 증명되었으나, 약물 사용의 유익성이 위험성 보다 크다.
X
임신중 여성에 대해서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다.
초기
중기
말기
7주
14주
21주
30주
32주
체 중
65kg
71kg
75kg
79kg
82kg
혈 압
140/90
160/100
150/100
170/120
140/100
단백뇨
3+
2+
태아 심음
150회/분
169회/분
144회/분
144회/분
자궁저부 높이
pelvis
배꼽 직하부
배꼽 위
xyphoid process 3cm ↓
태위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longitudinal lie (평행)
불
편
감
입 덧
6주부터 10주까지 약하게 함
無
無
無
無
가슴앓이
無
無
無
無
無
변비, 치질
無
변비 有
변비 有
변비 有
변비 有
하지부종
無
약간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얼굴과 손가락까지 부종
하지경련
無
無
無
無
無
호흡곤란
無
無
無
짧은호흡
짧은호흡
요 통
無
無
약간
약간
약간
빈 뇨
無
6회
6회
7~8회
9~11회
질대하증
無
無
無
無
無
초음파검사
12주에 첫 검사
Vx, HR:144
Wt: 2170g
제대 :3v.
태반:fundal, 양수:moderate
내아심음감시
NST
無
無
無
reactive
reactive
7. 임부의 산전관리
8. 퇴원교육
- 산욕기 산모교육 계획표 -
교육내용
1. 자가간호
① 회음부 관리
- stitch out : 분만 일주일 후 접수하지 않고, 2층 산부인과 외래에서 하도록 한다.(공휴일은 제외) Median으로 회음 절개시, mediolatem이어도 continuous하게 suture한 경우 예외.
- sitz bath
1일 3회 2주일간 실시토록. 따뜻한 물 1000cc가량(대야1/3 정도)에 지노베타딘 용액 15-20cc를 혼합한 후 환부를 담그고 10분 정도 앉아 있은 후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켜 준다.
② 좌욕
1일 2~3회 정도 2주간 실시한다. 양은 대야에 1/3정도 물을 끓여 40도 정도로 식으면(대야 밖에서 만져서 약간 따뜻할 때) 지노베타딘 용액 15~20cc를 혼합한 후 환부를 담그고 10분 정도 앉아 있으면 된다. 좌욕 실시 후에는 환부를 헤어드라이기 등을 이용해 건조시킨다. 배분 후에는 한 번 더 좌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③ 목욕 및
개인위생
목욕은 분만 1주일 후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며, 분만 4주 이전에는 샤워를 하는 것이 좋고, 통목욕과 대중 목욕탕 이용은 4주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④ 유방 관리
분만 2~3일 후 초유가 분비되며, 색깔은 Yellowish 하며 가슴이 단단해지려고 하면 타올에 따뜻한 물을 적셔 충분히 마사지 해서 울혈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인공 수유시에는 탄력붕대를 이용하여 가승ㅁ을 단단히 감은 후 필요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수유 억제제를 복용하면 된다.(민간요법으로 식혜나 엿기름, 인삼, 홍차, 율무, 생강 등을 먹는다.)
⑤ 운동
<산후 운동의 효과>
○ 분만 시 늘어난 복벽과 골반 및 근육의 수축회복을 촉진시키고 체력을 길러준다.
○ 혈액순환을 좋게 해 준다.
○ 소변의 배출과 자궁수축을 도와 준다.
○ 산후긴장을 풀어주고 피로회복의 효과가 있다.
○ 모유의 분비를 촉진히켜 준다.
○ 변비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 근육통을 해소하고 전싱을 편히 쉬게 한다.
1. 호흡운동(1일째)
배를 불리며 심호흡을 해서 숨을 들이쉰다. ‘쉬이’ 소리를 내며 천천히 숨을 내뱉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 모성간호학 분만실 케이스
모성간호학 분만실 간호과정 (case study)
분만실 간호진단
[간호학과]중년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분만실에서의 자간전증 관련 간호과정 레포트.
여성 건강 간호
분만실 산부간호 자가학습
분만실 정상분만 CASE 간호과정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간호학]분만실에서의 간호
여성 건강 간호학의 철학 요약
[여성 분만실] 제왕절개분만 c-sec (cesarean section)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여성, 모성간호학 실습- 전치태반 case study 컨퍼런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