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 1
2. 통신언어의 실태 ······················· 2
3. 통신언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 ············· 5
3.1 일상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 ················ 6
4. 해결방안··························· 6
4.1 사회측면에서의 해결방안·················· 6
4.2 교육측면에서의 해결방안·················· 7
5. 맺음말 ··························· 7
<참고문헌>
【도표】
[표 1] 한국 인터넷 주당 사용 시간(통계청, 2001~2002) ···· 1
[그림 1] 온라인 게임관련 게시판 ··············· 4
2. 통신언어의 실태 ······················· 2
3. 통신언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 ············· 5
3.1 일상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 ················ 6
4. 해결방안··························· 6
4.1 사회측면에서의 해결방안·················· 6
4.2 교육측면에서의 해결방안·················· 7
5. 맺음말 ··························· 7
<참고문헌>
【도표】
[표 1] 한국 인터넷 주당 사용 시간(통계청, 2001~2002) ···· 1
[그림 1] 온라인 게임관련 게시판 ··············· 4
본문내용
분위기를 반영한다. 현재 우리 생활 곳곳에 퍼져있는 통신 언어의 사용은 우리의 언어생활과 생활패턴 사고방식까지 바꿔놓을 만큼의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통신언어는 인터넷으로 대표되어지는 공간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메시지나 일상생활에 까지 깊숙히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박동근(2001)은 “90년대 초 PC 통신 가입이 일반화되면서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였던 대화방을 매개로 급속도로 생겨난 새로운 의사 소통 방식이다.”로 통신언어의 시작을 정의하였다. 통신언어는 일상에서 쓰는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완전 새로운 소리나 표현방법 기존 언어를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어 왔다. 그 결과 통신 신조어, 은어나 비속어, 경제성을 중시한 함축 언어 등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언어는 사용자 언어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대다수 청소년들이 인터넷과 휴대전화·온라인 게임등을 접한다는 기정사실을 염두해 보면, 통신언어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청소년(10~19세) 주당 인터넷 이용시간 통계를 보면 14~20시간(18.8%), 21~27시간(6.2%), 28~34시간(3.3%)등이며, 일주일 평균이용시간은 11.5시간으로 집계되었다.(2001~2002년 집계) 이는 하루 평균1.5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다. 통계청(http://www.kosis.kr)
[표 1] 한국 인터넷 주당 사용 시간(통계청, 2001~2002)
연령별
14~20
시간(%)
21~27
시간(%)
28~34
시간(%)
35~41
시간(%)
42시간
이상(%)
일주일 평균이용
시간
6~9세
11.6
2.5
0.7
0.4
0.2
8.0
10~19세
37.6
12.4
6.7
2.9
2.3
11.5
20~29세
18.3
6.1
5.6
4.3
6.4
15.5
30~39세
14.8
4.4
4.4
2.6
3.4
12.0
40~49세
13.3
4.1
3.5
2.6
1.9
10.4
50~59세
13.9
5.5
3.1
2.0
1.2
10.1
60세 이상
10.2
3.2
3.6
1.8
0.4
9.1
통신 언어가 자주 문제가 되고 이슈가 되는 이유는 통신 언어가 통신 상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사용되어 일상 언어와 자주 충돌을 일으키는데 있다. 이런 문제는 국어의 본질적인 속성를 흐트러뜨리고 한글이 아닌 글로써 파생되어진다. 이를 흔히 외계어라 하는데, 특히 완벽하게 언어적 습득이 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이런 점은 크게 작용한다. 청소년들의 언어는 그들의 생각과 문화를 담는 그릇이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중요한 도구라는 것을 생각할때, 거칠고 바르지 못한 언어는 정서적으로 메마르고 수준 낮은 문화를 만들며 정체성 확립에 혼란을 가져올 수밖에 없으니 청소년기의 언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것이다.
커다란 문화적 컨텐츠로 자리매김한 인터넷과 통신언어가 우리에게 어떤 방식으로 스며들어 있는지 특히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와 통신언어의 관계성과 실태, 그로 인해 통신언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적으로 알아보고, 개선방안과 앞으로의 행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통신언어의 실태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99.9%의 경이로운 인터넷 사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으로 대표되어지는 통신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청소년들의 주된 통신활동은 컴퓨터 채팅, 게시판, 개인 블로그, 미니홈페이지 관리, 컴퓨터 온라인 게임 등이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통신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통신상에서 뿐만아니라 휴대폰 문자 메시지나 일반적인 대화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통신언어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냉면먹고싶내여 ▶ㅠㅠ Emoticon(우는 모습을 나타냄)
돌아온남중딩 ▶아놔 노래다운크리 크리란 용어는 영어의 크리티컬(critical)을 줄인 말로 순간적으로 몇배의 피해를 입히다는 뜻이다. 본 글에서 사용된 노래다운크리는 음악 다운로드로 인하여 피해를 보았다로 해석된다.
ㅠㅠ
보석파니꺅 ▶제사물함오셔서 문제풀고 짤방녀구경하고 가세요
웃대왜이래요 ▶ㅋ
보석파니꺅 ▶난 냉면집에서 냉면먹고있는데 어떤 아줌마랑 아들이랑 냉면을 먹고있었어 근데 아줌마가 아들 냉면 잘라주려고 가위를 입에 바짝 붙여서 잘라주려는데 모르고 혀잘라서 피가 철철 슈밤
봤다 진짜
웃대왜이래요 ▶헐... 혀 잘리면 안죽나요? ]
장윤주의29 ▶빠
박동근(2001)은 “90년대 초 PC 통신 가입이 일반화되면서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였던 대화방을 매개로 급속도로 생겨난 새로운 의사 소통 방식이다.”로 통신언어의 시작을 정의하였다. 통신언어는 일상에서 쓰는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완전 새로운 소리나 표현방법 기존 언어를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어 왔다. 그 결과 통신 신조어, 은어나 비속어, 경제성을 중시한 함축 언어 등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언어는 사용자 언어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대다수 청소년들이 인터넷과 휴대전화·온라인 게임등을 접한다는 기정사실을 염두해 보면, 통신언어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청소년(10~19세) 주당 인터넷 이용시간 통계를 보면 14~20시간(18.8%), 21~27시간(6.2%), 28~34시간(3.3%)등이며, 일주일 평균이용시간은 11.5시간으로 집계되었다.(2001~2002년 집계) 이는 하루 평균1.5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다. 통계청(http://www.kosis.kr)
[표 1] 한국 인터넷 주당 사용 시간(통계청, 2001~2002)
연령별
14~20
시간(%)
21~27
시간(%)
28~34
시간(%)
35~41
시간(%)
42시간
이상(%)
일주일 평균이용
시간
6~9세
11.6
2.5
0.7
0.4
0.2
8.0
10~19세
37.6
12.4
6.7
2.9
2.3
11.5
20~29세
18.3
6.1
5.6
4.3
6.4
15.5
30~39세
14.8
4.4
4.4
2.6
3.4
12.0
40~49세
13.3
4.1
3.5
2.6
1.9
10.4
50~59세
13.9
5.5
3.1
2.0
1.2
10.1
60세 이상
10.2
3.2
3.6
1.8
0.4
9.1
통신 언어가 자주 문제가 되고 이슈가 되는 이유는 통신 언어가 통신 상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사용되어 일상 언어와 자주 충돌을 일으키는데 있다. 이런 문제는 국어의 본질적인 속성를 흐트러뜨리고 한글이 아닌 글로써 파생되어진다. 이를 흔히 외계어라 하는데, 특히 완벽하게 언어적 습득이 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이런 점은 크게 작용한다. 청소년들의 언어는 그들의 생각과 문화를 담는 그릇이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중요한 도구라는 것을 생각할때, 거칠고 바르지 못한 언어는 정서적으로 메마르고 수준 낮은 문화를 만들며 정체성 확립에 혼란을 가져올 수밖에 없으니 청소년기의 언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것이다.
커다란 문화적 컨텐츠로 자리매김한 인터넷과 통신언어가 우리에게 어떤 방식으로 스며들어 있는지 특히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와 통신언어의 관계성과 실태, 그로 인해 통신언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적으로 알아보고, 개선방안과 앞으로의 행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통신언어의 실태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99.9%의 경이로운 인터넷 사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으로 대표되어지는 통신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청소년들의 주된 통신활동은 컴퓨터 채팅, 게시판, 개인 블로그, 미니홈페이지 관리, 컴퓨터 온라인 게임 등이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통신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는 통신상에서 뿐만아니라 휴대폰 문자 메시지나 일반적인 대화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통신언어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냉면먹고싶내여 ▶ㅠㅠ Emoticon(우는 모습을 나타냄)
돌아온남중딩 ▶아놔 노래다운크리 크리란 용어는 영어의 크리티컬(critical)을 줄인 말로 순간적으로 몇배의 피해를 입히다는 뜻이다. 본 글에서 사용된 노래다운크리는 음악 다운로드로 인하여 피해를 보았다로 해석된다.
ㅠㅠ
보석파니꺅 ▶제사물함오셔서 문제풀고 짤방녀구경하고 가세요
웃대왜이래요 ▶ㅋ
보석파니꺅 ▶난 냉면집에서 냉면먹고있는데 어떤 아줌마랑 아들이랑 냉면을 먹고있었어 근데 아줌마가 아들 냉면 잘라주려고 가위를 입에 바짝 붙여서 잘라주려는데 모르고 혀잘라서 피가 철철 슈밤
봤다 진짜
웃대왜이래요 ▶헐... 혀 잘리면 안죽나요? ]
장윤주의29 ▶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