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simple random sampling)
제 2절 층화표본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
제 3 절 군집표본추출법
제 4 절 표본크기의 결정
제 2절 층화표본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
제 3 절 군집표본추출법
제 4 절 표본크기의 결정
본문내용
본개념
- 모집단의 최근목록들을 얻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 이용: 선정될 지역에 있는 구성요소의 목록만 알면 가능
지역표본선정의 수행 방법의 예
1) 서울에 있는 모든 동의 목록 작성
2) 단순무작위포본추출법이나 체계적 표본추출법에 의해 n개의 동을 선정
3) 선정된 n개 동의 모든 가구에 대해 신문을 배부
(2) 다단계지역표본추출법(multi-area sampling)
- 조사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누어 표본 추출
(3) 기타 지역표본추출법
- 각 표본이 뽑힐 확률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1) 동일확률지역표본추출법(equal probability area sampling)
2) 비동일확률지역표본추출법(non-equal probability area sampling)
제 4 절 표본크기의 결정
- 조사내용, 조사의 정확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표본추출방법을 결정할 때 같이 결정
-자주 사용되는 방법 : 신뢰구간접근법과 가설검증접근법
1. 신뢰구간접근법
- 신뢰구간의 크기가 표본의 크기와 분산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역으로 이용(?)
-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다고 가정할 때 원하는 정확도의 정도를 결정하여 그에 따라 적정 표본의 크기를 산정
- 단순무작위추출법의 경우에 사용
2. 가설검증접근법
- 기본적인 논리는 신뢰구간접근법과 동일하나, TypeⅠ 오차와 TypeⅡ 오차의 최대허용치를 정하고, 이를 통하여 표본의 수를 결정하는 기법
3. 그 외의 고려사항
(1) 연구목적
(2) 시간제약
(3) 비용제약
(4) 자료분석상제약
- 모집단의 최근목록들을 얻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 이용: 선정될 지역에 있는 구성요소의 목록만 알면 가능
지역표본선정의 수행 방법의 예
1) 서울에 있는 모든 동의 목록 작성
2) 단순무작위포본추출법이나 체계적 표본추출법에 의해 n개의 동을 선정
3) 선정된 n개 동의 모든 가구에 대해 신문을 배부
(2) 다단계지역표본추출법(multi-area sampling)
- 조사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누어 표본 추출
(3) 기타 지역표본추출법
- 각 표본이 뽑힐 확률을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
1) 동일확률지역표본추출법(equal probability area sampling)
2) 비동일확률지역표본추출법(non-equal probability area sampling)
제 4 절 표본크기의 결정
- 조사내용, 조사의 정확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표본추출방법을 결정할 때 같이 결정
-자주 사용되는 방법 : 신뢰구간접근법과 가설검증접근법
1. 신뢰구간접근법
- 신뢰구간의 크기가 표본의 크기와 분산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역으로 이용(?)
- 모집단의 분산을 알고 있다고 가정할 때 원하는 정확도의 정도를 결정하여 그에 따라 적정 표본의 크기를 산정
- 단순무작위추출법의 경우에 사용
2. 가설검증접근법
- 기본적인 논리는 신뢰구간접근법과 동일하나, TypeⅠ 오차와 TypeⅡ 오차의 최대허용치를 정하고, 이를 통하여 표본의 수를 결정하는 기법
3. 그 외의 고려사항
(1) 연구목적
(2) 시간제약
(3) 비용제약
(4) 자료분석상제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