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의 의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펜하겐 기후변화협약의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치른 터여서였을까? 누군가 “협상단과 시위대도 구분 못하면 합의는 불가능하다”라고 외치자 회담장 곳곳에서는 폭소가 터졌다.
덴마크 정부는 코펜하겐 기후회의에 역사상 최대 규모인 경찰 6500명을 동원했다. 옛 칼스버그 양조장 주변에 설치된 1000명 수용 가능한 유치장, 벨라센터 주변에 둘러쳐진 강철 펜스와 콘크리트 바리케이드, 시위대 진압용 물대포 등에 덴마크 정부가 쓴 돈은 총 1억2200만 달러였다.
지구를 구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 목요일과 금요일
12월17일(목요일)과 18일(금요일)은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하이라이트였다. 중국 등 개도국들이 협상을 지연시키면서 “코펜하겐은 시간낭비였다”라는 비판이 높아지는 가운데, 코펜하겐에 도착한 정부 수반들의 연설과 기자회견이 이어졌다.
가장 먼저 분위기 반전을 꾀한 사람은 인도네시아의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이다. 그는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검증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자”라고 호소했다.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미국은 2020년까지 선진국이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위해 1000억 달러를 지원하는 계획에 합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태도 변화도 감지되기 시작했다. 허야페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으로부터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지만 않는다면 대화와 협력을 할 용의가 있다”라는 발언이 나왔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도 핵심 쟁점에 대한 완전한 타결을 이끌어내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회담 마지막 날인 12월18일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와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에 세계인들의 이목이 쏠렸지만 그뿐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1.1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