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곤충의 일반특징과 기본구조
1. 곤충이란
2. 곤충의 기원
3. 곤충의 형태
4. 곤충의 한살이
Ⅱ. 곤충과 인류와의 관계
1. 곤충과 인류
2. 해충과 유용곤충
3. 환경변화와 곤충보호
Ⅲ. 곤충의 종류
1. 곤충의 분류
2. 주요 곤충류의 목(目)별 특징
참고문헌
1. 곤충이란
2. 곤충의 기원
3. 곤충의 형태
4. 곤충의 한살이
Ⅱ. 곤충과 인류와의 관계
1. 곤충과 인류
2. 해충과 유용곤충
3. 환경변화와 곤충보호
Ⅲ. 곤충의 종류
1. 곤충의 분류
2. 주요 곤충류의 목(目)별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시 또는 유시, 앞가슴은 짧고 가운데, 뒷가슴은 가늘고 길지만 뒷가슴은 제1배마디와 밀착, 다리는 3쌍 모두 같은 모양, 미모는 짧고 마디는 없다. 대부분 식식성이며, 야간에 주로 활동한다. 전세계적으로 3과 2,500종, 우리나라에서는 3과 5종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stick insects, leaf insects, walking insects).
<다듬이벌레목>16) 다듬이벌레목(교충목, Poscoptera)
몸길이는 1~10mm의 미소 내지 소형곤충으로 머리는 크고 자유로우며 두개선이 다소 명료하다. 대개 잡식성, 나무줄기, 돌표면, 실내, 새집 등에서 발견된다. 어떤 종들은 저장식품, 시약장, 동식물 표본이나, 도서관의 책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성충은 단독생활을 하지만 교미시기에는 군무를 하면서 암컷에 구애행동을 한다. 일부종에서는 암컷이 구애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전세계적으로 35과 3,000여종, 국내에서는 5과 12종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psocids, boolice).
17) 새털이목(Mallophaga)
성충의 크기는 2~5 mm정도이다. 머리는 대형이며 구기는 하구식이다. 주로 조류 및 포유류의 외부기생성이며 전세계적으로 3,000여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Biting Lice, Bird Lice).
18) 이목(Anoplura)
고시군, 신시류에 속하며 성충의 크기는 0.5~mm정도이다. 대부분 포유류 외부기생성이나 일부는 조류 외부기생성(ectoparasitic) 곤충으로서 전 생애를 숙주의 몸에서 보낸다. 전세계에 5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6과 10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lice, sucking lice).
19) 매미목(Homoptera)
매미, 매미충, 멸구, 진딧물, 깍지벌레 등이 포함되는 미소 내지 대형의 곤충으로 크기는 다양하지만 대개 작은 종류들이 많으며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머리는 후구식이며 주둥이는 머리 뒤쪽 또는 앞다리의 밑마디사이에서 발생한다.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살기 때문에 식물병의 매개충, 농업해충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약 4만4천종, 우리나라에서 1,049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cicadas, planthoppers, leafhoppers, psyllids, aphids, scale insects, whiteflies).
20) 노린재목(Hemiptera)
<광대노린재>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몸길이가 1.5mm~100mm에 이른 경우도 있다. 주둥이는 머리의 정점에서 시작하여 머리의 아래쪽 후방을 향해 뻗어 있다. 불완전변태를 하며 주로 땅위에 살지만 일부 물속이나 물표면에 사는 종들도 있다. 대개는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고 살며, 다른 곤충이나 소형무척추동물을 잡아먹고 살기도 한다. 농작물의 주요 해충종들이 많으며 일부 위생곤충도 포함되어 있다. 때로는 식물에 해로운 병을 매개한 매개충도 있으며, 해충을 잡아먹는 유익한 종류도 있다. 세계적으로 약 3만5천여종, 우리나라에서는 33과 300여종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bugs).
21)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작고 날씬하며 체장은 0.5~15mm 정도이며 입틀은 다른 곤충과 비슷하나 밖으로 뒤집을 수 있고 관 모양으로서 먹이를 빨아들이도록 변형되었다. 날개가 총채와 같은 술이 여러개 달린 특징으로 목이름이 붙여졌다. 성충은 사회성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시형은 비행을 하지만 무시형은 물체의 끝으로 기어 올라가거나 가지에 올라가 바람에 의해 분산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6,000종이 기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아목, 3과 50종이 알려져 있으나 금후 많은 종의 추가가 예상된다(영명: thrips).
22) 풀잠자리목(Neuroptera)
대부분 익충으로 물속에서 사는 종들은 담수어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육서종들은 진딧물, 개미, 미소곤충 등을 포식하는 천적이다. 또한, 명주잠자리와 같이 유충의 모래땅에 서식하며 함정을 파고 그 속에서 개미를 사냥하는 특이한 습성도 있다. 전세계에 21과 4,500여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11과 30속 40여종이 있다(영명: lacewings, antlion, dobsonflies, snakeflies, camelneck flies).
23) 딱정벌레목(Coleoptera)
동물계중에서 가장 큰 목임과 동시에 곤충 중에서는 약40%를 차지하는 거대한 분류군이다. 완전변태(完全變態)를 하며 1년에 1~4세대를 나는 종에서부터 수년에 1세대를 경과하는 종 등 다양하나 보통 년 1세대를 난다. 이들은 흙 속에서 사는 토양서식성, 땅위를 기어다니며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 지표성, 나무줄기 속을 뚫고 살거나 잎을 갉아먹는 종, 그리고 부식질이나 부패성 물질들을 먹는 종 등 여러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들은 농작물이나 산림의 해충이 되는 종도 있지만 우리에게 유익한 종도 많다. 딱정벌레목은 원시아목, 식균아목, 식육아목과 풍뎅이아목(다식아목) 등 4개아목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원시아목과 식균아목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수 없는 것들이다. 전세계에 34만여종이 기록되어 있어 단일 분류군으로서는 전 생물군 중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육식아목에 딱정벌레과, 길앞잡이과, 물방개과, 물땡땡이과 등 600여종이, 다시아목의 경우 2,80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연구가 진행되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종들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영명: beetles, weevils).
24) 부채벌레목(Strepsiptera)
소형곤충으로 대부분 다른 곤충에 기생생활을 한다. 더듬이는 변이가 심하고 세엽상이며 감각기가 있다. 겹눈은 크며 20~50개의 소안으로 이루어져 있고 홑눈은 없다. 날개는 2쌍인데 앞날개는 퇴화하여 가평균곤을 이루고 있고 뒷날개는 큰 삼각형의 부채꼴로 횡맥은 없다. 전세계적으로 53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우라나라에는 1과 1종만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stylopids).
25) 벌 목(Hymenoptera)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벌아목(Apocrita)과 잎벌아목(Symphyta)으로 나누어진다. 입의 모양은 특이하며 저작형과
<다듬이벌레목>16) 다듬이벌레목(교충목, Poscoptera)
몸길이는 1~10mm의 미소 내지 소형곤충으로 머리는 크고 자유로우며 두개선이 다소 명료하다. 대개 잡식성, 나무줄기, 돌표면, 실내, 새집 등에서 발견된다. 어떤 종들은 저장식품, 시약장, 동식물 표본이나, 도서관의 책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성충은 단독생활을 하지만 교미시기에는 군무를 하면서 암컷에 구애행동을 한다. 일부종에서는 암컷이 구애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전세계적으로 35과 3,000여종, 국내에서는 5과 12종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psocids, boolice).
17) 새털이목(Mallophaga)
성충의 크기는 2~5 mm정도이다. 머리는 대형이며 구기는 하구식이다. 주로 조류 및 포유류의 외부기생성이며 전세계적으로 3,000여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Biting Lice, Bird Lice).
18) 이목(Anoplura)
고시군, 신시류에 속하며 성충의 크기는 0.5~mm정도이다. 대부분 포유류 외부기생성이나 일부는 조류 외부기생성(ectoparasitic) 곤충으로서 전 생애를 숙주의 몸에서 보낸다. 전세계에 5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6과 10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lice, sucking lice).
19) 매미목(Homoptera)
매미, 매미충, 멸구, 진딧물, 깍지벌레 등이 포함되는 미소 내지 대형의 곤충으로 크기는 다양하지만 대개 작은 종류들이 많으며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머리는 후구식이며 주둥이는 머리 뒤쪽 또는 앞다리의 밑마디사이에서 발생한다.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살기 때문에 식물병의 매개충, 농업해충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약 4만4천종, 우리나라에서 1,049종이 알려져 있다(영명: cicadas, planthoppers, leafhoppers, psyllids, aphids, scale insects, whiteflies).
20) 노린재목(Hemiptera)
<광대노린재>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몸길이가 1.5mm~100mm에 이른 경우도 있다. 주둥이는 머리의 정점에서 시작하여 머리의 아래쪽 후방을 향해 뻗어 있다. 불완전변태를 하며 주로 땅위에 살지만 일부 물속이나 물표면에 사는 종들도 있다. 대개는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고 살며, 다른 곤충이나 소형무척추동물을 잡아먹고 살기도 한다. 농작물의 주요 해충종들이 많으며 일부 위생곤충도 포함되어 있다. 때로는 식물에 해로운 병을 매개한 매개충도 있으며, 해충을 잡아먹는 유익한 종류도 있다. 세계적으로 약 3만5천여종, 우리나라에서는 33과 300여종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bugs).
21) 총채벌레목(Thysanoptera)
작고 날씬하며 체장은 0.5~15mm 정도이며 입틀은 다른 곤충과 비슷하나 밖으로 뒤집을 수 있고 관 모양으로서 먹이를 빨아들이도록 변형되었다. 날개가 총채와 같은 술이 여러개 달린 특징으로 목이름이 붙여졌다. 성충은 사회성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시형은 비행을 하지만 무시형은 물체의 끝으로 기어 올라가거나 가지에 올라가 바람에 의해 분산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6,000종이 기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아목, 3과 50종이 알려져 있으나 금후 많은 종의 추가가 예상된다(영명: thrips).
22) 풀잠자리목(Neuroptera)
대부분 익충으로 물속에서 사는 종들은 담수어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육서종들은 진딧물, 개미, 미소곤충 등을 포식하는 천적이다. 또한, 명주잠자리와 같이 유충의 모래땅에 서식하며 함정을 파고 그 속에서 개미를 사냥하는 특이한 습성도 있다. 전세계에 21과 4,500여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11과 30속 40여종이 있다(영명: lacewings, antlion, dobsonflies, snakeflies, camelneck flies).
23) 딱정벌레목(Coleoptera)
동물계중에서 가장 큰 목임과 동시에 곤충 중에서는 약40%를 차지하는 거대한 분류군이다. 완전변태(完全變態)를 하며 1년에 1~4세대를 나는 종에서부터 수년에 1세대를 경과하는 종 등 다양하나 보통 년 1세대를 난다. 이들은 흙 속에서 사는 토양서식성, 땅위를 기어다니며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 지표성, 나무줄기 속을 뚫고 살거나 잎을 갉아먹는 종, 그리고 부식질이나 부패성 물질들을 먹는 종 등 여러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들은 농작물이나 산림의 해충이 되는 종도 있지만 우리에게 유익한 종도 많다. 딱정벌레목은 원시아목, 식균아목, 식육아목과 풍뎅이아목(다식아목) 등 4개아목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원시아목과 식균아목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수 없는 것들이다. 전세계에 34만여종이 기록되어 있어 단일 분류군으로서는 전 생물군 중에서 가장 다양성이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육식아목에 딱정벌레과, 길앞잡이과, 물방개과, 물땡땡이과 등 600여종이, 다시아목의 경우 2,80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연구가 진행되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종들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영명: beetles, weevils).
24) 부채벌레목(Strepsiptera)
소형곤충으로 대부분 다른 곤충에 기생생활을 한다. 더듬이는 변이가 심하고 세엽상이며 감각기가 있다. 겹눈은 크며 20~50개의 소안으로 이루어져 있고 홑눈은 없다. 날개는 2쌍인데 앞날개는 퇴화하여 가평균곤을 이루고 있고 뒷날개는 큰 삼각형의 부채꼴로 횡맥은 없다. 전세계적으로 53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우라나라에는 1과 1종만이 기록되어 있다(영명: stylopids).
25) 벌 목(Hymenoptera)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벌아목(Apocrita)과 잎벌아목(Symphyta)으로 나누어진다. 입의 모양은 특이하며 저작형과
추천자료
창조와 구속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 (기독교 구약 )
바울신학에 나타난 성령에 대한 이해
교회에서 장애인 봉사에 대한 이해
학교폭력과 일진회 문제에 대한 이해와 실태 및 해결방안,원인 및 문제점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교사의 역할 및 교육적 의의
[사회복지] 인권과 복지(인권에 대한 이해)
비정규직 근로 전반에 대한 이해
의료 사고와 위험관리에 대한 이해
환경오염 & 문제 해결에 대한 이해(생태계를 중심으로)
국제 자원 봉사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사회복지 전문직 및 자원봉사에 대한 이해.ppt
유아교육법의 제정과 누리과정 도입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 복지국가에 대한 이해와 나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