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Ventilator 적용목적과 적응증 ‧‧‧‧‧‧‧‧‧‧‧‧ 3
Ⅱ. Ventilator Mode 종류, 적응증, 장‧단점 ‧‧‧‧‧‧‧ 3
Ⅲ. Ventilator Setting ‧‧‧‧‧‧‧‧‧‧‧‧‧‧ 6
Ⅳ. Ventilator 중단기준 ‧‧‧‧‧‧‧‧‧‧‧ 7
Ⅴ. Ventilator 중단방법 ‧‧‧‧‧‧‧‧‧‧ 7
Ⅵ. Ventilator 사용과 관련된 합병증 ‧‧‧‧‧ 8
Ⅶ. Nursing care plan ‧‧‧‧‧‧‧‧‧‧‧‧‧‧ 9
Ⅷ. Ventilator 간호시 주의사항 ‧‧‧‧‧‧‧‧‧‧ 14
Ⅸ. 참고문헌 ‧‧‧‧‧‧‧‧‧‧‧‧‧‧‧‧‧ 15
Ⅱ. Ventilator Mode 종류, 적응증, 장‧단점 ‧‧‧‧‧‧‧ 3
Ⅲ. Ventilator Setting ‧‧‧‧‧‧‧‧‧‧‧‧‧‧ 6
Ⅳ. Ventilator 중단기준 ‧‧‧‧‧‧‧‧‧‧‧ 7
Ⅴ. Ventilator 중단방법 ‧‧‧‧‧‧‧‧‧‧ 7
Ⅵ. Ventilator 사용과 관련된 합병증 ‧‧‧‧‧ 8
Ⅶ. Nursing care plan ‧‧‧‧‧‧‧‧‧‧‧‧‧‧ 9
Ⅷ. Ventilator 간호시 주의사항 ‧‧‧‧‧‧‧‧‧‧ 14
Ⅸ.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
수준에서 환자가 항상 자발호흡을 할 수 있게 하는 time cycled 환기 양식이다. 만약 환자의 자발호흡 노력이 없으면 BIPAP은 PCV와 동일해진다. 흡기와 호기가 환자의 노력과 일부 조화를 이루어 환자의 노력에 따라 흡기와 호기 기간이 25%까지 변할 수 있다. 비슷한 환기양식인 BiPAP(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은 흡식과 호식 모두에 독자적 기도양압(positive airway pressure, PAP)을 적용한다. BiPAP 환기양식은 흡기시양압(ins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 IPAP) 으로 저산소증과 과탄산증을 개선시키고, 호기시양압(exs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 EPAP)으로 폐의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켜 산소화를 개선시켜준다. BiPAP 은 주로 가정용 인공호흡기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APRV(airway pressure release ventilation)
두 수준의 CPAP을 주어서 자발 호흡을 살리면서 높은 CPAP에서는 폐의 복원을 향 상 시키고 일시적으로 낮은 CPAP으로 폐포환기를 보완하는 환기양식이다. 높은 CPAP의 기간이 낮은 CPAP보다 길어 만일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다면 흡기와 호기 시간 비가 역전된 PCV환기 양식이 적용된다. 가스교환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환기 /관류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3) PRVC(pressure-regulated volume control), VS(volume support)
통제 혹은 자발호흡약식에서 원하는 용적과 압력의 한도치를 설정하면 일정한 압력범 위내에서 가장 낮은 압력으로 주어진 용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PAV(proportional assist ventilation)
환자의 호흡 노력에 비례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양식이다. 인공호흡은 환자의 호 흡노력을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마치 환자 흡기근의 연장 같이 호흡작업량을 공유한 다.
8. 고빈도 환기법(high frequency ventilation, HFV)
고빈도 환기법은 간헐적 양압환기에 의한 혈역학적 변화와 압력상해에 대한 부작용을 줄 이기 위한 환기 방법으로, 분당 환기횟수를 60회(1Hz)보다 많거나 정상 환기 횟수의 4 배보다 많게 하는 환기방법이다. 고빈도 양압환기(high-frequency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HFPPV)는 신선 가스나 다른 기체를 끌어들이지 않고 환기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식이며, 고빈도 제트 환기(high-frequency jet ventilation, HFJV)는 강력한 신선 가스(50psi)가 순간적으로 제트꼴로 환자에게 들어가면서 다른 기체를 빨라 들이는 방식 이고, 고빈도 떨림환기(high-frequency jet oscillation, HFO)는 안팎으로 기체가 떨림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이다.
9. 호기말 양압호흡(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PEEP)
인공환기시 기도내에 호기말의 짧은 시간 동안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폐를 팽창 시키 는 환기방식으로, 허탈된 폐포를 개방시킴으로써 폐의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키고 폐내 션트를 감소시켜 PaO2 수준을 개선시킨다.
Ⅲ. Ventilator Setting
1. 일회 호흡량(tidal volume)
정상인의 경우 일회 호흡량이 5~8ml/kg 정도이며 기계 환기시는 폐포 허탈을 막기 위 하여 정상인의 일회 환기량의 2배인 10~15ml/kg를 주도록 하였으나 1990년대 초부터 적절한 호기말 양압의 사용없이 일회 호흡량을 많이 주면 폐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폐포 손상을 초래한다는 이론이 대두되면서 주로 6~8ml/kg로 주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한 호흡도관의 유순도가 3~4ml/kg/cmH2O로 일회 호흡량을 기도내로 다 전달되지 못하 게 한다.
2. 호흡수(respiration rate)
성인의 경우 분당 12~14회로 맞추어 적용 후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를 참조로 일회 환 기량 또는 호흡수를 조절한다. 호흡수는 가능한 최소 횟수로 맞추어야 auto-PEEP이 발 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3.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2, FiO2)
처음에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때는 FiO2를 0.8(80%) 또는 그 이상으로 적용하고, 그 다 음 동맥혈가스분석결과에 따라서 0.1~0.2씩 조금씩 감소시킨다. FiO2를 산소독성이 없 는 수치로 감소시키기 힘들면 PEEP을 고려한다.
4. 흡기 유속(inspiratory flow rate)
흡기시 일회 환기량을 폐로 전달하는 데에 요구되는 공기의 속도로서 일회 호흡량과 흡 기 : 호기비율(I:E ratio)과 호흡수에 따라서 흡기 유속이 결정된다.
5. 흡기 파형(flow wave pattern)
인공호흡기는 일반적으로 세 종류의 파형으로 가스를 기도내로 공급하고 있으며, 흡기의 파형은 가스교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형태인 square(constant) wave외에 처음엔 유량이 빠르다가 나중에 속도가 느려지는 decelerating(ramp) wave와 중간에 공기의 속도가 가장 빠른 sinusoidal wave가 있다.
6. 고평부압(inspiratory pause=plateau pressure)
폐쇄된 호기밸브가 열리고 폐가 수축을 시작하기 전까지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는데 이를 고평부압(Pplat)이라고 한다. plateau pressure는 보통 0.3초로 주며. 길게 주면 흡기가 길어져서 흡기 : 호기비가 작아진다.
7. 흡기 : 호기비율(I:E ratio)
한 호흡주기에서 흡기와 호기에 각각 소요되는 시간의 비울로서 흡기 시간, 유속 그리고 호흡수와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바람직한 비율은 흡기 : 호기가 1:2이나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게는 역비율을 적용해 산소화를 개선시키고 최고 기도압력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8. 민감도(sensitivity)
자발호흡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절대치가 작을수록 예민하며 값을
(2) APRV(airway pressure release ventilation)
두 수준의 CPAP을 주어서 자발 호흡을 살리면서 높은 CPAP에서는 폐의 복원을 향 상 시키고 일시적으로 낮은 CPAP으로 폐포환기를 보완하는 환기양식이다. 높은 CPAP의 기간이 낮은 CPAP보다 길어 만일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다면 흡기와 호기 시간 비가 역전된 PCV환기 양식이 적용된다. 가스교환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환기 /관류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3) PRVC(pressure-regulated volume control), VS(volume support)
통제 혹은 자발호흡약식에서 원하는 용적과 압력의 한도치를 설정하면 일정한 압력범 위내에서 가장 낮은 압력으로 주어진 용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PAV(proportional assist ventilation)
환자의 호흡 노력에 비례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환기양식이다. 인공호흡은 환자의 호 흡노력을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마치 환자 흡기근의 연장 같이 호흡작업량을 공유한 다.
8. 고빈도 환기법(high frequency ventilation, HFV)
고빈도 환기법은 간헐적 양압환기에 의한 혈역학적 변화와 압력상해에 대한 부작용을 줄 이기 위한 환기 방법으로, 분당 환기횟수를 60회(1Hz)보다 많거나 정상 환기 횟수의 4 배보다 많게 하는 환기방법이다. 고빈도 양압환기(high-frequency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HFPPV)는 신선 가스나 다른 기체를 끌어들이지 않고 환기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식이며, 고빈도 제트 환기(high-frequency jet ventilation, HFJV)는 강력한 신선 가스(50psi)가 순간적으로 제트꼴로 환자에게 들어가면서 다른 기체를 빨라 들이는 방식 이고, 고빈도 떨림환기(high-frequency jet oscillation, HFO)는 안팎으로 기체가 떨림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이다.
9. 호기말 양압호흡(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PEEP)
인공환기시 기도내에 호기말의 짧은 시간 동안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폐를 팽창 시키 는 환기방식으로, 허탈된 폐포를 개방시킴으로써 폐의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키고 폐내 션트를 감소시켜 PaO2 수준을 개선시킨다.
Ⅲ. Ventilator Setting
1. 일회 호흡량(tidal volume)
정상인의 경우 일회 호흡량이 5~8ml/kg 정도이며 기계 환기시는 폐포 허탈을 막기 위 하여 정상인의 일회 환기량의 2배인 10~15ml/kg를 주도록 하였으나 1990년대 초부터 적절한 호기말 양압의 사용없이 일회 호흡량을 많이 주면 폐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폐포 손상을 초래한다는 이론이 대두되면서 주로 6~8ml/kg로 주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 한 호흡도관의 유순도가 3~4ml/kg/cmH2O로 일회 호흡량을 기도내로 다 전달되지 못하 게 한다.
2. 호흡수(respiration rate)
성인의 경우 분당 12~14회로 맞추어 적용 후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를 참조로 일회 환 기량 또는 호흡수를 조절한다. 호흡수는 가능한 최소 횟수로 맞추어야 auto-PEEP이 발 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3.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2, FiO2)
처음에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때는 FiO2를 0.8(80%) 또는 그 이상으로 적용하고, 그 다 음 동맥혈가스분석결과에 따라서 0.1~0.2씩 조금씩 감소시킨다. FiO2를 산소독성이 없 는 수치로 감소시키기 힘들면 PEEP을 고려한다.
4. 흡기 유속(inspiratory flow rate)
흡기시 일회 환기량을 폐로 전달하는 데에 요구되는 공기의 속도로서 일회 호흡량과 흡 기 : 호기비율(I:E ratio)과 호흡수에 따라서 흡기 유속이 결정된다.
5. 흡기 파형(flow wave pattern)
인공호흡기는 일반적으로 세 종류의 파형으로 가스를 기도내로 공급하고 있으며, 흡기의 파형은 가스교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형태인 square(constant) wave외에 처음엔 유량이 빠르다가 나중에 속도가 느려지는 decelerating(ramp) wave와 중간에 공기의 속도가 가장 빠른 sinusoidal wave가 있다.
6. 고평부압(inspiratory pause=plateau pressure)
폐쇄된 호기밸브가 열리고 폐가 수축을 시작하기 전까지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는데 이를 고평부압(Pplat)이라고 한다. plateau pressure는 보통 0.3초로 주며. 길게 주면 흡기가 길어져서 흡기 : 호기비가 작아진다.
7. 흡기 : 호기비율(I:E ratio)
한 호흡주기에서 흡기와 호기에 각각 소요되는 시간의 비울로서 흡기 시간, 유속 그리고 호흡수와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바람직한 비율은 흡기 : 호기가 1:2이나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에게는 역비율을 적용해 산소화를 개선시키고 최고 기도압력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8. 민감도(sensitivity)
자발호흡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절대치가 작을수록 예민하며 값을
키워드
추천자료
안락사의 찬성과 반대의 입장
뇌사와 안락사를 통한 죽음의 의미
심폐 소생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기관절개술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윤리적고찰
신생아 무호흡증후군(AOP) case
뇌사정의 및 찬반 논쟁
안락사 과연 존엄한 죽음인가 ...
전폐절제술 수술전후 간호에 대해서
안락사 또는 존엄사에 대한 이론대립 과 그 허용여부에 대한 논의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 응급실, 수술실 실습 레포트 - 폐렴
Nebulizer, 분무요법 (1. Nebulizer 2. 분무요법 3. 아동의 분무요법)
[간호학] 외상성 뇌손상 - 치료와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