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없다. 옆에 있는 아이에 비하면 우리아이 병은 괜찮은 편이다.
경제적 - 아직 입원한 지 얼마 안 되었고, 아이 병원비 못 댈 정도는 아니다.
사회적 - 집에 못 들어가지만 남편도 저녁마다 오고, 저녁에 여기서 자고 갈 때도 있다.
물리적 - 집에 못 들어가서 걱정이 되기는 한데 남편이 깔끔해서 집에서 청소하고 한다.
⑦사회력
가정과 지역사회 환경 - 특별히 아이에게 해될 것은 없다.
가족구성원의 직업 및 교육정도 - 부모 모두 대졸에 둘 다 회사원이다.
부모의 결혼 상태 : 문제없다.
취학유무 : 미취학
⑧ 아동의 질병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 정도
질병의 과정 및 예후 : 질병이 왜 생겼는지 이해하고 치료받음으로 병세 호전 되고 완치됨을 알고 있다.
질병의 전염 경로 : 감기가 심해져서 상기도의 감염으로 인해 폐렴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약물 : 진해거담제, 해열제 등 설명 듣고 무슨 약 쓰는지 알고 있다.
치료방법 : 증상 완화적 치료 지속
예방법 : 감기 조심하고, 사람 많은데 가지 않고, 추운데 유의한다.
2. 신체사정
키 84Cm 체중 11.5Kg 체온 36.9℃ 맥박 138 호흡 36
외모로 본 건강상태 양호
의사소통상태 말하는 것 어느 정도 알아듣고 대답도 단어로 내뱉음.
면접 시 부모와 어린이의 태도 성실히 응답
피부상태 : 수족구병 있음.(지역병원에서 치료받았으나 완치되지 못함.)
머리 : 정상 대천문 거의 닫힘
얼굴 : 균형적, 정상
임파절 : 정상
눈 : 정상 위치, 사시 없음 시력 정상
귀 : 정상
코 : 건조해서 코피 조금 남. 맑은 콧물 조금 남아있음.
구강 : 치아 6개정도 남. 편도선 정상크기.
목 : 균형, 운동제한 없음
호흡기 : 호흡곤란 없음, coughing(+), sputum(+), 청진상 그르렁 거리는 소리 있음.
심혈관계 : 정상, 혈액형 B+
복부 : 장음 정상, 복부 전형적인 아기 배처럼 불룩함.
위장관계 : 구토
비뇨생식기계 : 정상
항문 : 청결하고 정상
하지 : 정상 (IV 맞은 쪽 다리 약간 부음)
관절 : 정상
신경계
- 뇌기능 : 의식상태 명료함.
- 뇌신경 : 후각, 시각, 청각, 촉각 정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정상)
- 운동기능 : 정상적으로 잘 선다.
- 반사 : 슬개건 반사 정상
3) 진단 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① 임상 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Throat discharge] 처방일/접수일:2008-11-24 결과일시: 2008-11-25
검사명
검사결과
평가
G. stain & 구강, 기도 호흡기 배양
Gram stain
G(+) cocci
구강, 기도, 호흡기배양
No beta hemolytis streptococcus
[일반혈액 검사] 처방일/접수일:2008-11-24 결과일시: 2008-11-24
검사명
결과
단위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Profile CBC
WBC
12.50
x10^9/L
6.0~17.0
세균감염이 있음
세균감염 약이나 백혈병에 의한 골수기능 저하
RBC
4.87
x10^12/L
4.5~6.3
심한 설사, 다혈구증, 저산소증, 선천성 심질환
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출혈
Hgb
12.4
g/dl
12.0~16.0
혈색소증, 원발성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Hct
37.4
Ratio
36.0~46.0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 혈증, 탈수
백혈병,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중증출혈
MCV
76.8
L
fL
77~91
악성빈혈, 괴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고지혈증
철결핍, 만성적 실혈, 골수종, 만성질환
MCH
25.5
L
pg
26.0~32.0
악성빈혈, tolic acid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철결핍, 만성적인 실혈, 무엽산증
MCHC
33.2
g/이
32.0~36.0
악성빈혈, tolic acid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철결핍, 만성적인 실혈, 무엽산증
RDW-cv
14.6
**
11.8~14.8
적혈구 크기가 큰 것, 작은 것 산재된 경우
크기가 크던 작던 적혈구 간 크기 차 적은경우
PLT
536
H
x10^9/L
140~440
암, 외상, 만성 백혈병, 만성췌장염, 심장병
감염, 알러지, 급성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PDW
9.1
L
fL
15.5~17.5
혈소판과 관계된 수치
MPV
9.1
fL
7.4~10.4
골수이상, 혈소판 또는 비장 이상
골수이상, 혈소판 또는 비장 이상
Differential Count
NEUT
22.3
L
%
40~80
Neutrophils-세균감염
Neutrophils-비타민 B12나 Folic acid 결핍시
LYMPH
60.0
H
%
15~50
Lymphocytes-바이러스 감염, 면역성 질환
Lymphocytes-중증 만성질환, 고스테로이드 혈청시
MONO
16.3
H
%
2~11
세포작용을 하는 세포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등을 먹어 치워 없애는 작용을 하는 세표
EOSIN
1.2
%
1~7
Eosinophil Count는 호산구로 세균이나 보체성분에 반응하여 세균등을 탐식하고, 과민반응을 억제하며, 비면역성 염증반응도 억제한다. 기생충이나 병이 있을 경우 증가
BASO
0.2
%
0~1
Basophil 호염기구는 즉각성 과민성 반응에 증가. 과립구 중 유일하게 포식작용이 없음. 알러지 반응
[생화학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Liver Profile (간기능 조합)
Total Protein
6.8
gm/dl
6.7~8.3
6.0g/dl 이하를 저단백혈종이라 하며,9.0g/dl이상을 고단백혈종이라 함
Albumine
4.3
gm/dl
3.8~5.3
전박적인 serum protein 의 변동이 예상되는 질환에서 성분의 변화 특히 albumin저하 혹은 immunoglobulin의 변동을 알기 위하여 검사, 급성염증시 감소함
Total Bilirubin
0.1
L
mg/dl
0.2~1.0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
AST(GOT)
37
H
U/L
10~33
간, 심장, 골격근에 분포하여 세포가 손상받으면 혈
경제적 - 아직 입원한 지 얼마 안 되었고, 아이 병원비 못 댈 정도는 아니다.
사회적 - 집에 못 들어가지만 남편도 저녁마다 오고, 저녁에 여기서 자고 갈 때도 있다.
물리적 - 집에 못 들어가서 걱정이 되기는 한데 남편이 깔끔해서 집에서 청소하고 한다.
⑦사회력
가정과 지역사회 환경 - 특별히 아이에게 해될 것은 없다.
가족구성원의 직업 및 교육정도 - 부모 모두 대졸에 둘 다 회사원이다.
부모의 결혼 상태 : 문제없다.
취학유무 : 미취학
⑧ 아동의 질병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 정도
질병의 과정 및 예후 : 질병이 왜 생겼는지 이해하고 치료받음으로 병세 호전 되고 완치됨을 알고 있다.
질병의 전염 경로 : 감기가 심해져서 상기도의 감염으로 인해 폐렴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약물 : 진해거담제, 해열제 등 설명 듣고 무슨 약 쓰는지 알고 있다.
치료방법 : 증상 완화적 치료 지속
예방법 : 감기 조심하고, 사람 많은데 가지 않고, 추운데 유의한다.
2. 신체사정
키 84Cm 체중 11.5Kg 체온 36.9℃ 맥박 138 호흡 36
외모로 본 건강상태 양호
의사소통상태 말하는 것 어느 정도 알아듣고 대답도 단어로 내뱉음.
면접 시 부모와 어린이의 태도 성실히 응답
피부상태 : 수족구병 있음.(지역병원에서 치료받았으나 완치되지 못함.)
머리 : 정상 대천문 거의 닫힘
얼굴 : 균형적, 정상
임파절 : 정상
눈 : 정상 위치, 사시 없음 시력 정상
귀 : 정상
코 : 건조해서 코피 조금 남. 맑은 콧물 조금 남아있음.
구강 : 치아 6개정도 남. 편도선 정상크기.
목 : 균형, 운동제한 없음
호흡기 : 호흡곤란 없음, coughing(+), sputum(+), 청진상 그르렁 거리는 소리 있음.
심혈관계 : 정상, 혈액형 B+
복부 : 장음 정상, 복부 전형적인 아기 배처럼 불룩함.
위장관계 : 구토
비뇨생식기계 : 정상
항문 : 청결하고 정상
하지 : 정상 (IV 맞은 쪽 다리 약간 부음)
관절 : 정상
신경계
- 뇌기능 : 의식상태 명료함.
- 뇌신경 : 후각, 시각, 청각, 촉각 정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정상)
- 운동기능 : 정상적으로 잘 선다.
- 반사 : 슬개건 반사 정상
3) 진단 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① 임상 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Throat discharge] 처방일/접수일:2008-11-24 결과일시: 2008-11-25
검사명
검사결과
평가
G. stain & 구강, 기도 호흡기 배양
Gram stain
G(+) cocci
구강, 기도, 호흡기배양
No beta hemolytis streptococcus
[일반혈액 검사] 처방일/접수일:2008-11-24 결과일시: 2008-11-24
검사명
결과
단위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Profile CBC
WBC
12.50
x10^9/L
6.0~17.0
세균감염이 있음
세균감염 약이나 백혈병에 의한 골수기능 저하
RBC
4.87
x10^12/L
4.5~6.3
심한 설사, 다혈구증, 저산소증, 선천성 심질환
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출혈
Hgb
12.4
g/dl
12.0~16.0
혈색소증, 원발성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Hct
37.4
Ratio
36.0~46.0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 혈증, 탈수
백혈병,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중증출혈
MCV
76.8
L
fL
77~91
악성빈혈, 괴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고지혈증
철결핍, 만성적 실혈, 골수종, 만성질환
MCH
25.5
L
pg
26.0~32.0
악성빈혈, tolic acid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철결핍, 만성적인 실혈, 무엽산증
MCHC
33.2
g/이
32.0~36.0
악성빈혈, tolic acid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철결핍, 만성적인 실혈, 무엽산증
RDW-cv
14.6
**
11.8~14.8
적혈구 크기가 큰 것, 작은 것 산재된 경우
크기가 크던 작던 적혈구 간 크기 차 적은경우
PLT
536
H
x10^9/L
140~440
암, 외상, 만성 백혈병, 만성췌장염, 심장병
감염, 알러지, 급성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PDW
9.1
L
fL
15.5~17.5
혈소판과 관계된 수치
MPV
9.1
fL
7.4~10.4
골수이상, 혈소판 또는 비장 이상
골수이상, 혈소판 또는 비장 이상
Differential Count
NEUT
22.3
L
%
40~80
Neutrophils-세균감염
Neutrophils-비타민 B12나 Folic acid 결핍시
LYMPH
60.0
H
%
15~50
Lymphocytes-바이러스 감염, 면역성 질환
Lymphocytes-중증 만성질환, 고스테로이드 혈청시
MONO
16.3
H
%
2~11
세포작용을 하는 세포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등을 먹어 치워 없애는 작용을 하는 세표
EOSIN
1.2
%
1~7
Eosinophil Count는 호산구로 세균이나 보체성분에 반응하여 세균등을 탐식하고, 과민반응을 억제하며, 비면역성 염증반응도 억제한다. 기생충이나 병이 있을 경우 증가
BASO
0.2
%
0~1
Basophil 호염기구는 즉각성 과민성 반응에 증가. 과립구 중 유일하게 포식작용이 없음. 알러지 반응
[생화학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정상범위
임상적 의의
Liver Profile (간기능 조합)
Total Protein
6.8
gm/dl
6.7~8.3
6.0g/dl 이하를 저단백혈종이라 하며,9.0g/dl이상을 고단백혈종이라 함
Albumine
4.3
gm/dl
3.8~5.3
전박적인 serum protein 의 변동이 예상되는 질환에서 성분의 변화 특히 albumin저하 혹은 immunoglobulin의 변동을 알기 위하여 검사, 급성염증시 감소함
Total Bilirubin
0.1
L
mg/dl
0.2~1.0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
AST(GOT)
37
H
U/L
10~33
간, 심장, 골격근에 분포하여 세포가 손상받으면 혈
추천자료
소아과(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case study - Pneumonia(폐렴)
아동 간호학 실습 (소아당뇨 case study)
소아과 실습-AGE
경부 임파선염 환아 (Acute Lymphadenitis of face) case study
소아과 실습자료 및 CASE STUDY
소아과 간호과정
HIVD(추간판탈출증)의 대상자에 대한 CASE STUDY
(소아과case) 거대세포바이러스(CMV)감염case
소아과 case study (진단명: croup)
PD Case(wilm's tumor_윌름종양)
소아과 case study (연구개열) (간호사정, 진단, 계획, 목표, 지시, 근거, 수행, 평가, 예후,...
NICU Case Study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 수두증이 나타난 87세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