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Ⅰ. 일반적 사항
Ⅱ. 간호사정
Ⅲ. 현재 건강력 사정
Ⅳ. 신체검진
본 론
Ⅴ. 입원 후 경과
Ⅵ. 약물
Ⅶ. 특수검사
< Conclusion >
결 론
Ⅷ.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1. 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가능성
#2. 부적절한 이차방어기전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침습적 진단검사 혹은 처치와 관련된 통증
#4. 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출혈의 위험성
#5. 비정상적인 혈액소견과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
#6. 화학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탈모,오심,구토)과 관련된 불안
#7. 스트레스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8. 자녀의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9. 대인관계 변화와 관련된 절망감
#10. 화학요법으로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는 피로
#11. 충돌조절 어려움과 관련된 타인지향 폭력 위험성
#12. 영양부족과 관련된 피로
Ⅰ. 일반적 사항
Ⅱ. 간호사정
Ⅲ. 현재 건강력 사정
Ⅳ. 신체검진
본 론
Ⅴ. 입원 후 경과
Ⅵ. 약물
Ⅶ. 특수검사
< Conclusion >
결 론
Ⅷ.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1. 화학요법으로 인한 오심, 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가능성
#2. 부적절한 이차방어기전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3. 침습적 진단검사 혹은 처치와 관련된 통증
#4. 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출혈의 위험성
#5. 비정상적인 혈액소견과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
#6. 화학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탈모,오심,구토)과 관련된 불안
#7. 스트레스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8. 자녀의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9. 대인관계 변화와 관련된 절망감
#10. 화학요법으로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는 피로
#11. 충돌조절 어려움과 관련된 타인지향 폭력 위험성
#12. 영양부족과 관련된 피로
본문내용
central cath. 로서 피부 발적이나 부종은 그 부위의 감염을 의미하므로 주의깊게 사정하여야 한다.
13.방문객이 감염원이 되 는 것을 최소화한다.
14.목욕을 하게 함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있는 미생 물을 제거한다. 건강한 피부는 중요한 감염방어 선이다.
15.대상자 스스로가 감염 위험성을 인지함으로서 감염의 예방적 행위의 동 기가 될 수 있다.
16.손씻기, 마스크착용법 을 올바르게 함으로서 감염 을 예방할 수 있 다.
1.10v/s은 이브여서 하지 못하였고, 6,13,17,20 v/s은 확인하거나, 수행하였다. v/s에서 특별히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는 sign은 없었다. 열감이나 오한은 없었다.
2.11/14~11/16
WBC
1.42
1.88
2.41
RBC
3.16
3.33
3.09
Hgb
9.0
9.5
8.8
WBC, RBC, Hgb모두 의미가 있을 정도로 낮거나,유의미 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감염의 가능성이 계속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대상자 처치 전에는 철 저한 내과적 손씻기를 시 행하였고 대상자의 병실 에 들어갈 때마다 손소독 제를 사용하였다.
4.정맥 내 시술과 드레싱 교환시 무균법을 지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5.대상자는 역격리 되었다.
출입전후로 손 소독제 를 사용하여 손을 씻었 다.
방문객의 제한에 관하 여 대상자에게 교육하였 다.
병실에 들어갈때나 나 올때나 문을 닫는 것을 확인하였고, 문이 열려 있을 경우 문을 닫았다.
환자와 접촉시 마스크 를 착용하였고 재사용하 지 않았다.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시 1~2시간마다 교환하 였다.
6.처방된 예방적 항균제로
Zovirax
Citopcin
Plunazole
Mycostatin
를 복용,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Mycostatin을 1회 5ml 가글하고 삼키는 것으로 하루 4회 실시하였다. Mycostatin을 따라주면서 가글하도록 하였다.
7.대상자는 Care gargle을 하루 3회 식후에 시행하는 것을 문진, 시진으로 확인하였다.
8.진단적 검사 시행 시 무 균법을 적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9.수건, 마스크 등 개인물 품을 사용하였다.
10.대상자에게 하루에 한 번씩 환의를 제공하였다.
11.대상자의 sitz bath 시행여부를 문진, 시진으로 확인하였다.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였고, 좌욕실 벽에 씌여진 방법대로 시행하고 있었다.
12.Hickman cath. 테가덤을 사용하여 붙여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부종이나, 발적 없었다.
13.가족의 면회 시, 손소 독제의 사용과 뿌리는 소 독제의 사용에 대해서 설 명하고 시행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14.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교육하였고, 대 상자는 하루에 한 번씩 어머니의 보호 아래 하루 1회 샤워를 하였고,
11/15 손톱이 긴 것을 확인하여 손톱을 자르도록 격려하였고, 16일 자른 것을 확인하였다.
15.대상자 백혈구, 적혈구 의 기능에 대한 지식 정 도를 사정하였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설명 하였 고, 현재 백혈구, 적혈구 수치를 알려주었다.
(11/6, 11/7, 11/8)
16.손씻기와 마스크착용법 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아래 표 참고)
1. v/s , WBC
1114
6
AM
100/60
36.8
72
20
2
PM
110/70
36.5
80
20
8
PM
110/60
36.8
80
20
1115
6
AM
110/60
36.7
80
20
2
PM
100/60
36.5
72
20
8
PM
110/70
36.8
76
20
1116
6
AM
100/60
36.8
72
20
2
PM
100/60
36.5
80
20
8
PM
90/60
37.0
84
20
WBC
1.42
1.88
2.41
11/14~11/16
계속적으로 낮게 유지되었다.
2.대상자는 마스크착용, 손씻기, care gargle, 문 닫기, 항균제 복용, 개인 물품 사용, 환의 갈아입 기, 개인위생을 잘 지켰 다.
3.하루에 두명 이상의 방 문객은 없었고, 방문객 이 있었을 시에는 손소 독제와 뿌리는 소독제를 온몸에 뿌리고 출입하였 으며 마스크를 사용하였 다.
4.대상자는 백혈구, 적혈 구의 역할이 무엇인지 안다고 말로 표현하였 고, 자신의 백혈구, 적혈 구 수치가 감염의 위험 성의 상태에 있음을 안 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 내과적 손 씻기 >
1. 상주균까지 제거해야 하는 경우 소독 비누를 사용해야 한다. 반지나 시계는 손씻기를 수행하는 동안 제거한다.
2. 손가락 사이, 손가락 끝 등은 충분히 마찰한다.
3. 흐르는 물로, 충분히 헹구어야 한다. 이때도 기계적인 마찰은 세균을 떨어뜨리는 좋은 기전이다.
4. 씻은 손이 물을 잠그면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손으로 돌리는 수도꼭지라면 종이 수건을 이용하여 잠근다.
< 마스크 착용 >
1. 호흡기계나 비말 전파가 가능한 환자의 병실에 들어가기 전에 착용한다. (환자도 착용)
2. 입과 코를 충분히 가려야 한다.
3. 1회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한번 제거하면 재사용하지 않는다.
4. 목에 걸치거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지 않는다.
5. 마스크의 재질 따라 착용 가능한 시간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2시간 내에 교환해 주도록 한다.
#3. 침습적 진단검사 혹은 처치와 관련된 통증
#4. 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출혈의 위험성
#5. 비정상적인 혈액소견과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
#6. 화학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탈모,오심,구토)과 관련된 불안
#7. 스트레스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8. 자녀의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9. 대인관계 변화와 관련된 절망감
#10. 화학요법으로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는 피로
#11. 충돌조절 어려움과 관련된 타인지향 폭력 위험성
#12. 영양부족과 관련된 피로
Ⅸ. 참고문헌
1. HARRISON 내과학
2. MOSBY' s dictionary
3. 임상간호매뉴얼 - 한우리 -
4. 만성백혈병 제로클럽 http://cafe.daum.net/cmlzero
5. 상록수 http://cafe.daum.net/sangnoksoo
6. 한국백혈병 소아암협회 http://www.soaam.or.kr
13.방문객이 감염원이 되 는 것을 최소화한다.
14.목욕을 하게 함으로서 환자의 피부에 있는 미생 물을 제거한다. 건강한 피부는 중요한 감염방어 선이다.
15.대상자 스스로가 감염 위험성을 인지함으로서 감염의 예방적 행위의 동 기가 될 수 있다.
16.손씻기, 마스크착용법 을 올바르게 함으로서 감염 을 예방할 수 있 다.
1.10v/s은 이브여서 하지 못하였고, 6,13,17,20 v/s은 확인하거나, 수행하였다. v/s에서 특별히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는 sign은 없었다. 열감이나 오한은 없었다.
2.11/14~11/16
WBC
1.42
1.88
2.41
RBC
3.16
3.33
3.09
Hgb
9.0
9.5
8.8
WBC, RBC, Hgb모두 의미가 있을 정도로 낮거나,유의미 하지는 않지만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감염의 가능성이 계속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대상자 처치 전에는 철 저한 내과적 손씻기를 시 행하였고 대상자의 병실 에 들어갈 때마다 손소독 제를 사용하였다.
4.정맥 내 시술과 드레싱 교환시 무균법을 지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5.대상자는 역격리 되었다.
출입전후로 손 소독제 를 사용하여 손을 씻었 다.
방문객의 제한에 관하 여 대상자에게 교육하였 다.
병실에 들어갈때나 나 올때나 문을 닫는 것을 확인하였고, 문이 열려 있을 경우 문을 닫았다.
환자와 접촉시 마스크 를 착용하였고 재사용하 지 않았다.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시 1~2시간마다 교환하 였다.
6.처방된 예방적 항균제로
Zovirax
Citopcin
Plunazole
Mycostatin
를 복용,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Mycostatin을 1회 5ml 가글하고 삼키는 것으로 하루 4회 실시하였다. Mycostatin을 따라주면서 가글하도록 하였다.
7.대상자는 Care gargle을 하루 3회 식후에 시행하는 것을 문진, 시진으로 확인하였다.
8.진단적 검사 시행 시 무 균법을 적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9.수건, 마스크 등 개인물 품을 사용하였다.
10.대상자에게 하루에 한 번씩 환의를 제공하였다.
11.대상자의 sitz bath 시행여부를 문진, 시진으로 확인하였다.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였고, 좌욕실 벽에 씌여진 방법대로 시행하고 있었다.
12.Hickman cath. 테가덤을 사용하여 붙여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부종이나, 발적 없었다.
13.가족의 면회 시, 손소 독제의 사용과 뿌리는 소 독제의 사용에 대해서 설 명하고 시행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14.대상자에게 개인위생의 중요성을 교육하였고, 대 상자는 하루에 한 번씩 어머니의 보호 아래 하루 1회 샤워를 하였고,
11/15 손톱이 긴 것을 확인하여 손톱을 자르도록 격려하였고, 16일 자른 것을 확인하였다.
15.대상자 백혈구, 적혈구 의 기능에 대한 지식 정 도를 사정하였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설명 하였 고, 현재 백혈구, 적혈구 수치를 알려주었다.
(11/6, 11/7, 11/8)
16.손씻기와 마스크착용법 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아래 표 참고)
1. v/s , WBC
1114
6
AM
100/60
36.8
72
20
2
PM
110/70
36.5
80
20
8
PM
110/60
36.8
80
20
1115
6
AM
110/60
36.7
80
20
2
PM
100/60
36.5
72
20
8
PM
110/70
36.8
76
20
1116
6
AM
100/60
36.8
72
20
2
PM
100/60
36.5
80
20
8
PM
90/60
37.0
84
20
WBC
1.42
1.88
2.41
11/14~11/16
계속적으로 낮게 유지되었다.
2.대상자는 마스크착용, 손씻기, care gargle, 문 닫기, 항균제 복용, 개인 물품 사용, 환의 갈아입 기, 개인위생을 잘 지켰 다.
3.하루에 두명 이상의 방 문객은 없었고, 방문객 이 있었을 시에는 손소 독제와 뿌리는 소독제를 온몸에 뿌리고 출입하였 으며 마스크를 사용하였 다.
4.대상자는 백혈구, 적혈 구의 역할이 무엇인지 안다고 말로 표현하였 고, 자신의 백혈구, 적혈 구 수치가 감염의 위험 성의 상태에 있음을 안 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 내과적 손 씻기 >
1. 상주균까지 제거해야 하는 경우 소독 비누를 사용해야 한다. 반지나 시계는 손씻기를 수행하는 동안 제거한다.
2. 손가락 사이, 손가락 끝 등은 충분히 마찰한다.
3. 흐르는 물로, 충분히 헹구어야 한다. 이때도 기계적인 마찰은 세균을 떨어뜨리는 좋은 기전이다.
4. 씻은 손이 물을 잠그면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손으로 돌리는 수도꼭지라면 종이 수건을 이용하여 잠근다.
< 마스크 착용 >
1. 호흡기계나 비말 전파가 가능한 환자의 병실에 들어가기 전에 착용한다. (환자도 착용)
2. 입과 코를 충분히 가려야 한다.
3. 1회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한번 제거하면 재사용하지 않는다.
4. 목에 걸치거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지 않는다.
5. 마스크의 재질 따라 착용 가능한 시간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2시간 내에 교환해 주도록 한다.
#3. 침습적 진단검사 혹은 처치와 관련된 통증
#4. 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출혈의 위험성
#5. 비정상적인 혈액소견과 관련된 방어능력 저하
#6. 화학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탈모,오심,구토)과 관련된 불안
#7. 스트레스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8. 자녀의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
#9. 대인관계 변화와 관련된 절망감
#10. 화학요법으로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는 피로
#11. 충돌조절 어려움과 관련된 타인지향 폭력 위험성
#12. 영양부족과 관련된 피로
Ⅸ. 참고문헌
1. HARRISON 내과학
2. MOSBY' s dictionary
3. 임상간호매뉴얼 - 한우리 -
4. 만성백혈병 제로클럽 http://cafe.daum.net/cmlzero
5. 상록수 http://cafe.daum.net/sangnoksoo
6. 한국백혈병 소아암협회 http://www.soaam.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