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Ⅰ. 개 요
1. 골프의 기원
2. 골프의 역사
3. 시설 및 장비
4. 골프의 규칙
5. 골프의 경기방식
6. 골프의 용어
7. 골프의 기본
Ⅱ. 학습 지도안
1. 수업의 배경 및 목적
2. 단원의 성격 (교육적 특성)
3. 지도의 기초
4. 학습목표
5. 단원의 지도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7. 학습지도 세안 시간 계획
8. 주차별 세부계획
9. 본시 수업의 전개
10. 평 가
Ⅲ. 참고문헌
1. 골프의 기원
2. 골프의 역사
3. 시설 및 장비
4. 골프의 규칙
5. 골프의 경기방식
6. 골프의 용어
7. 골프의 기본
Ⅱ. 학습 지도안
1. 수업의 배경 및 목적
2. 단원의 성격 (교육적 특성)
3. 지도의 기초
4. 학습목표
5. 단원의 지도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7. 학습지도 세안 시간 계획
8. 주차별 세부계획
9. 본시 수업의 전개
10. 평 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운드이다. 아웃 오브 바운드의 선은 수직으로 상하에 연장된다. 볼의 전체가 아웃 오브 바운드에 있을 때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볼이 된다. 플레이어는 코스 내에 있는 볼을 플레이하기 위하여 아웃 오브 바운드에 설 수 있다.
24) 국외자(Outside Agency)
매치 플레이에서는 매치에 관계없는 사람과 사물을 말하며,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경기자의 사이드에 속하지 않는 사람과 사물을 말한다. 심판원, 마커, 업저버 또는 포어 캐디는 국외자이며, 바람과 물은 국외자가 아니다.
25) 파트너(Partner)
같은 사이드에 속하고 있는 자기편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스리섬, 포섬 또는 포볼의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플레이어\"라는 말에 그의 파트너가 포함된다.
26) 벌타(Penalt Stroke)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 또는 사이드의 스코어에 부가되는 스트로크를 말한다. 스리섬과 포섬에 있어서의 벌타는 플레이의 타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7) 잠정구(Provisional Boll)
불이 워터 해저드 이외에서 분실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염려가 있을때 플레이하는 볼을 말한다.
28) 퍼팅그린(Putting Green)
현재 플레이를 하고 있는 홀의 퍼팅을 위하여 특별히 정비한 전 구역. 또는 위원회가 퍼팅 그린이라고 지정한 모든 구역을 말한다. 볼의 일부가 퍼팅그린에 접촉하고 있으면 퍼팅 그린 위의 볼이다.
29) 심판원(Referee)
플레이어와 동행하여 현장의 사실 문제를 재정하고 규칙을 적용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한다. 심판원은 목격하거나 보고 받은 규칙 위반에 대하여 직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심판원은 깃대에 붙어 서거나 홀의 위에 서거나 그 위를 표시하거나 또는 볼을 집어 올리거나 마크를 하지 못한다.
30) 럽 오브 더 그린(Rub of the Green)
움직이고 있는 볼이 국외자에 의하여 우연히 방향이 변경되거나 정지된 경우를 말한다.
31) 사이드와 매치(Sides and Matches)
사이드란 1인의 플레이어 또는 파트너인 2인 혹은 그 이상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싱글이란 1인 대 1인의 매치이다. 스리섬이란 1인이 플레이어가 다른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 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포섬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 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스리볼이란 3인이 서로 대항하여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베스트볼이란 1인의 플레이어가 2인 또는 3인으로 된 사이드에 대항하여, 2인 이상의 사이드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되 그중 좋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포볼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플레이어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며 각 홀마다 그 사이드의 적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32) 스탠스(stance)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하기 위하여 발을 제 위치에 정하고 섰을 때 \"스탠스\"를 취한 것으로 한다.
33) 정규의 라운드(Stipuated Round)
위원회가 따로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홀의 순서에 따라 코스의 여러 홀을 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정규 라운드의 홀수는 위원회가 18홀보다 적은 홀수를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8홀이다.
34) 스트로크(Stroke)
볼을 올바르게 쳐서 움직일 의사를 가지고 행하는 클럽의 앞 방향으로의 동작을 말한다. 그러나 클럽 헤드가 볼에 도달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다운 스윙을 자발적으로 중지했을 경우, 플레이어는 스트로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친다.
35)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플레이할 홀의 출발 장소를 말한다. 이것은 2개의 티마커의 외측을 경계로 하여 전면과 측면이 한정이며, 측면의 길이가 2클럽 길이인 직사각형의 구역이다. 볼 전체가 티잉 그라운드 구역 밖에 있으면 티잉 그라운드의 밖에 있는 볼이다.
36) 스루 더 그린(Through the Green)
다음 구역을 제외한 코스의 전 구역을 말한다.
(1) 플레이 중인 그 홀의 티잉 그라운드와 퍼팅 그린
(2) 코스 내의 모든 해저드
37) 워터 해저드(Water Hazard)
모든 바다, 호수, 못, 하천, 도랑, 배수구의 표면 또는 뚜껑이 없는 수로(물의 유무를 불문한다.) 및 이와 유사한 수역을 말한다. 워터 해저드 구역 경계내의 모든 지면 또는 수면은 그 워터 해저드의 일부분이다.
7. 골프의 기본
1) 그립
(1) 인터로킹 방법
오른쪽 새끼손가락과 왼쪽 집게손가락을 서로 꼬아서 쥐는 방식인데, 손이 작고 손가락이 짧은 사람이 이 방식을 쓰면 양손의 죄는 힘이 강해지고, 스윙 중에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2) 오버래핑 방법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왼손 집게손가락 위에 덮어서 쥐는 방식인데, 오른손잡이인 사람은 왼손잡이에 비해 오른쪽 손이 강하므로 그것을 제약하고 양손의 일체화를 기하는 데 유효하다. 영국의 해리 버든이 이 그립을 유행시켰기 때문에 버든그립 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3) 베이스볼 그립
야구의 배트를 쥘 때처럼 10개의 손가락 전부로 샤프트를 쥐므로 베이스볼그립이라는 별칭도 있다. 초보자가 잡기에는 가장 편한 그립이다.
몸이 좀 약한 편이며 몸 자체가 유연한 편의 남자나 여자, 아이등은 힘을 요하는 베이스볼 그립 또는 인터로킹 그립이 적합하다고 보며, 힘이 센 남자, 또는 프로의 지망생, 학생등은 오버래핑 그립이 적당할 것 같다 오버래핑 그립은 가장 많이 쓰이는 그립이다. 그러나 손이 적은 우리 동양인의 여성이나 남성은 베이스볼 그립도 좋다고 본다.
첫째 두 손의 일체감을 느끼는 것이다.
둘째, 그립이 두 손 안에서 빈틈이 없이 꽉 쥐어 져야 한다.
셋째, 스윙 중에 어느 지점에서도 놀아서는 안 된다. 특히 SWING TOP에서 왼손, 오른손 안에서 그립이 놀아서는 안 된다.
넷째, 힘을 빼기 위한 수단으로 오른손을 엉성하게 잡아서는 절대로 안 된다.
다섯째, 그립은 항상 꽉 쥐고 힘을 빼는 습관을 길러야 올바른 그립이 정립된 다.
여섯째, 우리는 어떤 그립을 잡던 양손이 짜임새 있게 잡아져 있어야 한다. 이점은 우리가 프로들의 그립을 자세히 보고 흉내를 내던가 골프
24) 국외자(Outside Agency)
매치 플레이에서는 매치에 관계없는 사람과 사물을 말하며,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경기자의 사이드에 속하지 않는 사람과 사물을 말한다. 심판원, 마커, 업저버 또는 포어 캐디는 국외자이며, 바람과 물은 국외자가 아니다.
25) 파트너(Partner)
같은 사이드에 속하고 있는 자기편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스리섬, 포섬 또는 포볼의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플레이어\"라는 말에 그의 파트너가 포함된다.
26) 벌타(Penalt Stroke)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 또는 사이드의 스코어에 부가되는 스트로크를 말한다. 스리섬과 포섬에 있어서의 벌타는 플레이의 타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7) 잠정구(Provisional Boll)
불이 워터 해저드 이외에서 분실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염려가 있을때 플레이하는 볼을 말한다.
28) 퍼팅그린(Putting Green)
현재 플레이를 하고 있는 홀의 퍼팅을 위하여 특별히 정비한 전 구역. 또는 위원회가 퍼팅 그린이라고 지정한 모든 구역을 말한다. 볼의 일부가 퍼팅그린에 접촉하고 있으면 퍼팅 그린 위의 볼이다.
29) 심판원(Referee)
플레이어와 동행하여 현장의 사실 문제를 재정하고 규칙을 적용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한다. 심판원은 목격하거나 보고 받은 규칙 위반에 대하여 직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심판원은 깃대에 붙어 서거나 홀의 위에 서거나 그 위를 표시하거나 또는 볼을 집어 올리거나 마크를 하지 못한다.
30) 럽 오브 더 그린(Rub of the Green)
움직이고 있는 볼이 국외자에 의하여 우연히 방향이 변경되거나 정지된 경우를 말한다.
31) 사이드와 매치(Sides and Matches)
사이드란 1인의 플레이어 또는 파트너인 2인 혹은 그 이상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싱글이란 1인 대 1인의 매치이다. 스리섬이란 1인이 플레이어가 다른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 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포섬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 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스리볼이란 3인이 서로 대항하여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베스트볼이란 1인의 플레이어가 2인 또는 3인으로 된 사이드에 대항하여, 2인 이상의 사이드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되 그중 좋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포볼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플레이어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며 각 홀마다 그 사이드의 적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32) 스탠스(stance)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하기 위하여 발을 제 위치에 정하고 섰을 때 \"스탠스\"를 취한 것으로 한다.
33) 정규의 라운드(Stipuated Round)
위원회가 따로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홀의 순서에 따라 코스의 여러 홀을 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정규 라운드의 홀수는 위원회가 18홀보다 적은 홀수를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8홀이다.
34) 스트로크(Stroke)
볼을 올바르게 쳐서 움직일 의사를 가지고 행하는 클럽의 앞 방향으로의 동작을 말한다. 그러나 클럽 헤드가 볼에 도달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다운 스윙을 자발적으로 중지했을 경우, 플레이어는 스트로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친다.
35)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플레이할 홀의 출발 장소를 말한다. 이것은 2개의 티마커의 외측을 경계로 하여 전면과 측면이 한정이며, 측면의 길이가 2클럽 길이인 직사각형의 구역이다. 볼 전체가 티잉 그라운드 구역 밖에 있으면 티잉 그라운드의 밖에 있는 볼이다.
36) 스루 더 그린(Through the Green)
다음 구역을 제외한 코스의 전 구역을 말한다.
(1) 플레이 중인 그 홀의 티잉 그라운드와 퍼팅 그린
(2) 코스 내의 모든 해저드
37) 워터 해저드(Water Hazard)
모든 바다, 호수, 못, 하천, 도랑, 배수구의 표면 또는 뚜껑이 없는 수로(물의 유무를 불문한다.) 및 이와 유사한 수역을 말한다. 워터 해저드 구역 경계내의 모든 지면 또는 수면은 그 워터 해저드의 일부분이다.
7. 골프의 기본
1) 그립
(1) 인터로킹 방법
오른쪽 새끼손가락과 왼쪽 집게손가락을 서로 꼬아서 쥐는 방식인데, 손이 작고 손가락이 짧은 사람이 이 방식을 쓰면 양손의 죄는 힘이 강해지고, 스윙 중에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2) 오버래핑 방법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왼손 집게손가락 위에 덮어서 쥐는 방식인데, 오른손잡이인 사람은 왼손잡이에 비해 오른쪽 손이 강하므로 그것을 제약하고 양손의 일체화를 기하는 데 유효하다. 영국의 해리 버든이 이 그립을 유행시켰기 때문에 버든그립 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3) 베이스볼 그립
야구의 배트를 쥘 때처럼 10개의 손가락 전부로 샤프트를 쥐므로 베이스볼그립이라는 별칭도 있다. 초보자가 잡기에는 가장 편한 그립이다.
몸이 좀 약한 편이며 몸 자체가 유연한 편의 남자나 여자, 아이등은 힘을 요하는 베이스볼 그립 또는 인터로킹 그립이 적합하다고 보며, 힘이 센 남자, 또는 프로의 지망생, 학생등은 오버래핑 그립이 적당할 것 같다 오버래핑 그립은 가장 많이 쓰이는 그립이다. 그러나 손이 적은 우리 동양인의 여성이나 남성은 베이스볼 그립도 좋다고 본다.
첫째 두 손의 일체감을 느끼는 것이다.
둘째, 그립이 두 손 안에서 빈틈이 없이 꽉 쥐어 져야 한다.
셋째, 스윙 중에 어느 지점에서도 놀아서는 안 된다. 특히 SWING TOP에서 왼손, 오른손 안에서 그립이 놀아서는 안 된다.
넷째, 힘을 빼기 위한 수단으로 오른손을 엉성하게 잡아서는 절대로 안 된다.
다섯째, 그립은 항상 꽉 쥐고 힘을 빼는 습관을 길러야 올바른 그립이 정립된 다.
여섯째, 우리는 어떤 그립을 잡던 양손이 짜임새 있게 잡아져 있어야 한다. 이점은 우리가 프로들의 그립을 자세히 보고 흉내를 내던가 골프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2.짜임새 있는 말과 글)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3.다양한 표현과 이해)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4.바른 말 좋은 글)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5.능동적인 의사 소통)
국어상.고등국어.학습지도안(6.노래의 아름다움)
종교과학습지도안(인간관계)
학습지도안 단원 설정의 이유 단원 학습목표 단원 학습지도계획
학습지도안(중학교 1학년 국어)
학습지도안(종교)
[예체능] 보디빌딩학습지도안
사회교수학습지도안
학습지도안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학습지도안 작성법 필요성 작성시 유의점
학습지도안 작성 - 방송 댄스를 통한 협동심과 경쟁심 제고와 다이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