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와 상장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상장례의 의의

♣상례

♣초종

♣상장례 금기

♣현대의 약식 상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는다.
2)장례일 :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사망한 날로부터 3일째 되는 날 장례를 치른다.
3)상기 : 부모와 조부모, 그리고 배우자의 상기는 사망한 날로부터 백일까지로 하고 그 이외의 장례일 까지 를 상기로 한다.
4)상복 : 한복을 입을 때에는 흰색이나 검은색의 옷을 입고 양복을 입을 때에는 검은색의 옷을 입으나 부득 이한 경우에는 일상 평상복을 입는다.
5)상제 : 고인의 배우자와 직계비속. 주상은 고인의 장자가 되면 장자가 없을 때는 장손이 주상이 된다.
6)운구 : 영구차나 영구 수레로 관을 옮기고 부득이 한 경우에 한하여 상여를 쓸 수 있으나 상여에는 불필요 하게 화려한 장식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7)발상 : 초상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는 것
8)전과 영정 : 시신을 가린 병풍 앞이나 마루에 탁자를 놓고 망인의 사진을 검은색 틀에 넣고 검은색 리본을 달아 탁자위에 모셔놓는다. 영정 앞에 전을 올린다. 전으로 올릴 것은 술과 삼색 과일이다.
9)영좌 : 입관이 끝나면 병풍으로 가린 다음 빈소에나 빈소 가까운 대청 또는 마루에 영좌를 설치한다.
10)성복과 성복제 : 입관이 끝나면 상제들은 상복 차림을 한다.
11)호상 : 발상과 아울러 장례 일체를 주관하고 지휘할 만한 친척이나 친구를 택하여 호상을 정한다.
12)부고 : 주위 사람들에게 초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
13)장지 : 매장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하는 경우에도 유골을 봉안하려면 장지는 있어야 하지만 마땅한 장지가 없을 때에는 납골관에 모신다.
14)발인 및 성분 : 망인이 집을 떠나는 때에 드리는 제사인 발인제(견전례)를 모시고 상제가 집으로 돌아갈 경우에 망인을 홀로 계시라 남겨두고 돌아가는 길이니 간단하나마 제수를 올리고 잔을 올 리는 것을 성분이라 한다.
15)상가의 준비사항 : 발상과 아울러 장례에 쓸 집기와 의복 이외의 세간은 정리를 하고 일을 도와줄 분들이 때때로 쉴 수 있는 방을 비워두어야 한다.
16)장례의 뒤처리 : 마루나 건너방의 정결한 자리에 영정을 모시고 옛날처럼 삼면을 짚으로 엮어 두르고 만 장을 늘어뜨리는 궤연을 만들 필요는 없다.
17)삼우 : 성분을 하고 집에 돌아오면 영정 앞에 과일과 한두 가지 제수에 술을 올리고 재배한다.
18)사십구제ㆍ졸곡ㆍ백일제 : 사십구제는 돌아가신 지 49일 째 되는 날 드리는 제사이고 졸곡은 돌아가신지 석달 째 날을 받아 모시는 것이다. 백일제를 모시게 될 경우에는 졸곡을 생략하 고 돌아가신지 백 일째 되는 날 백일제와 함께 겸하여 모시기도 한다.
19)소상ㆍ대상 : 돌아가신지 만 1년이 되는 기일에 대상을 모시려면 10개월 째 되는 달에 날을 받아 소상을 모시고 첫 기일에 소상을 모시면 만 2년이 되는 기일에 대상을 모신다.
20)조문 : 조문을 갈 때에는 될 수 있는 한 끼니 때를 피하는 것이 좋고 정제수시가 끝나 발상을 한 뒤, 허물
을 차릴 처지라면 염이 끝난 다음에 가는 것이 좋다.
♠♠참고문헌
전통 상례 (대원사)
상장례 민속학 (시그마프레스)
쉽게 풀어쓴 상례와 제례 (자유문고)

키워드

상례,   초종,   금기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