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정 및 외고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고정 및 외고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속적인 견인, 기증적인 보조기, 여러 가지 부목을 이용하여 정복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말하며, 내부고정과 외부고정이 있다. 용도로는 뼈의 골절이나 탈구로 정복을 실시한 후에 시행한다.
또한 관절 고정술(arthrodesis)이란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의 안정감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표면을 유합 또는 결합시켜 외과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용도로는 외상이나 염증에 의해 관절이 파괴되어 제 기능을 잃고 지탱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용된다.
우리는 이렇게 고정의 정의를 기본지식으로 골절 환자에게 더 나은 간호에 도움이 되고자 고정장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2절. 본론
I. 내고정법( Internal fixation)
(1) 골절의 내고정 : 골절 정복 후 사용되는 내금속물
① 도수정복 및 경피적 핀 삽입술 (pin inserted percutaneously with closed reduction) ② 관혈적 정복과 핀 고정 (pin with open reduction)
③ 나사못 고정 (screws)
④ 금속판과 나사못 고정(plates and screws)
⑤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medullary nails)
a. 유연성 금속정 : Ender, Rush 등
b. 교합정 : Interlocking정
(2) 내고정의 형태
① 강선고정(roll wire), 환상강선 고정술(circumferential wire fixation)
a. 단점 : 골막(periosteum)을 벗겨내고 가골형성 차단
Parham\'s band는 골막 혈행장애 중 정맥류흐름을 차단
b. 적응대상 : 장관골의 금속판의 고정시 순간적으로 사용, 대퇴골 대전자부의 절골술 후 유합시킬 때, 경추 골절의 안정시, 주두굴, 슬개골, 경골의 내과 골절시 시행
② K-강선(Kirschner wire)고정술
: 지골(phalange)에서 또는 견열골절(avulsion fracture)에 사용하며 대개 환상강선 고정술을 병행해서 사용됨
③ 금속판(plates)
a. AO 학파(내부고정을 위한 연구연합)
골절 후에 오는 만성부종(chronic edema), 연부조직 위축(soft tissue atrophy), 골다공
증 및 관절강직(osteoporosis and joint stiffness)등의 골절질환을 제거하기 위해
b. 금속판과 나사못 (plate&screw fixation)
i) 중립금속판 (Neutralization plates)
- 골편 나사못 고정과 함께 torision(비틀림), bending(굴곡), shear(비틀림)의 힘을 중립화.
- 나비형 골편(butterfly fragment), 쐐기형 골편(wedge portion of fracture)에 골편 나사(interfragmentary screw)를 사용.
ii) 압박 금속판(compression plates)
- 골편 상에 압박력을 주는 기능을 이용한 것
- 횡형골절이나 단사형골절(transverse of tibia pilon Fx)에서 사용.
iii) 지지금속판 (buttress plates)
- 골간단이나 골단골절(metaphysio-epiphyseal Fx)인 경골이나 경골 과부위골절 또는 원위부 골절(tibia condyle or tibia pilon Fx)에서 사용된다.
- 금속판은 지지뿐 아니라 주요골편을 안정되게 유지시킴
iv) 교량 금속판(bridge plates)
- 골절부위를 정복 후 분쇄골절이나 골소실(comminuted unstable Fx or bone defect)이 있는 부위에서 사용한다.
- 대개 골이식을 동시에 실시해서 골절부위의 골재생이 쉽게 한다.
v) 반원형 금속판(semitubular plates)
- 비골이나 전완골 부위에 부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mm정도의 두께이므로 쉽게 변형된다.
vi) 이중 금속판(dual plate)
- 원칙 :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에서 금속판을 서로 90° 위치하에 부착시킨다. 전방과 외측으로(ant. side & lateral side)
- 이유 : 0°와 90° 사에서의 구멍은 골이 약해지지 않지만, 인장이 크게 작용하는 180° 부위에서는 약 30%의 골의 약화를 가져온다.
- 주의 : 재골절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동시에 제거하지 않고 두 번째 금속판은 6개월 후에 제거하고 응력(stress)에 대한 보호를 하여야한다.
vii) 해부학적 금속판(anatomical plate)
- 원칙 : 관절부위나 골간단부 골절에 사용하거나 골간단부나 골간부까지 골절선이 있을 때 사용
- 기능 : 지지 금속판의 기능
④ 나사못(screws)
a. AO나사(AO screw)
i) 피질골 나사(cortical screw) : thread 직경 4.5mm, head 8mm, core 3mm
ii) 해면골 나사(cancellous screw) : thread 직경 6.5mm, head 8mm, core 직경 3mm
iii) Malleolar screw는 cancellous screw보다 sharp point를 갖는 screw이다.
b. 기계적 나사(machine screw)
: 정형외과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서 thread가 head에서부터 tip까지 있으며 뼈에 나사를 삽입시는 먼저 drill로 뚫고 난후 tapping을 하여야 한다.
c. 금속판의 제거 시기
: 경골1년, 전완부골절1년반, 대퇴골2년
⑤ 골수강내 금속정 [Intrameduallary nails (IM naling)]
종류 : ①Kuntscher nail, ② Hansenstreet정, ③ Schneider정, ④ Sampson정 역학적 으로 골수강 금속정은 각 형성력(angulator stress)에는 강하나 비틀림,
즉 염전력(resisting torque)에는 약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interlocking) 교합정이 개발되었다.
⑥ 종류
a. 유연성 골수강내 금속정(flexible IM nails)
ⅰ) Ender 정 : (C형으로 3점고정) flexible condylocephalic nails for fixation of stable intertrochante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1.2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