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레저산업 스포츠 산업규모, 프로스포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레저산업 스포츠 산업규모, 프로스포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내 프로스포츠 현황및 규모
1)국내 프로스포츠
(1)프로야구
(2)프로축구
(3)프로농구
2. 스포츠 산업과 프로스포츠
1)프로스포츠 수입구조
(1)입장수입
(2)방송중계 수입
(3)스폰서십
(4)광고 수입
(5)라이센싱 수입
(6)구장 수입

<참고 문헌>

본문내용

000
2
김승현
오리온스
6억3000
3
현주엽
LG
4억1000
4
방성윤
주의정
SK
KT&G
4억
4억
5
서장훈
KCC
4억
<표 7> 07~08프로농구 연봉 순위
2.스포츠 산업과 프로스포츠
최근 스포츠의 상업화로 인하여 스포츠 산업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는 스포츠 산업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스포츠 산업의 가치를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스포츠의 질적인 향상은 물론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스포츠 산업의 변화와 전문직으로서의 프로스포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프로스포츠 수입구조
(1)입장 수입
프로스포츠에 있어서 제반 수입은 입장수입에서 비롯된다. 국내의 야구, 축구, 농구 등의 프로리그 수입원이 중계권료, 라이센싱 수입, 식음료 판매 수입, 주차 수입등 매우 다양해졌지만 아직까지도 미국 등의 스포츠 선진국과는 달리 수입의 주된 원천은 입장수입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장수입과 비례하는 동원 관중 수는 구장 내의 식·음료 및 기념품 관매, 주차 수입, 기타 광고 수입과 정비례함은 물론, TV 중계권료 협상 역시 많은 관중이 있어야 방송사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한편, 프로야구 개별 구단에 있어서는 총 입장수입을 대부분 72:28로 분배(구장사용료는 홈팀 부담)하며, 프로축구는 홈팀에 입장수입의 전액이 귀속된다. 프로농구의 경우에는 입장수입의 분배방식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홈경기의 입장수입은 사용료를 포함한 경기운영 경비를 공제한 순 수익금을 70:30으로 분배한다. 참고로 미국 프로야구의 2000년도 총관중수는 6,767만명응로 경기당 평균 29,000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있다.
<표 8>국내 프로스포츠 3개 종목 관중변화 추이
<표 9> 2001~2002년도 프로스포츠 종목별 입장수입 내역
(2) 방송중계수입
프로스포츠에서 방송중계 수입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미국의 경우 프로구단의 수입구조 가운데 방송중계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해마다 증가하여 중계수입의 비중이 입장수입의 비중을 능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 프로스포츠의 경우에는 중계권 수입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미약하며, 이들 수입의 대부분도 해당 연맹의 운영비로 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프로스포츠의 중계권은 주로 연맹에서 일괄 계약하여 각 구단에 수익금을 동등하게 배분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프로야구가 1998년 연간 44억 9500만원으로 가장 많고, 프로농구가 18억 4700만원, 프로축구가 약 13억 7천만원이었다. 이를 각 구단에 균등하게 배분한다면 프로야구단은 5억 6200만원, 프로농구단은 1억 8500만원, 프로축구단은 1억 3700만원씩 배당되는 셈이지만 이들 수입은 주로 연맹 운영비로 충당되고 있다.
(3) 스폰서 십
스폰서십 계약은 스포츠 단체와 스폰서간의 상호이익을 도모한다. 예를 들면, 스포츠 단체는 현금 지원 및 현물이나 서비스 지원을 받는 대가로 스폰서 기업이 대회면침 앞에 기업의 상호나 상품명을 표기할 수 있게 하고 일정 면적의 광고 공간을 배당하여 광고효과라는 이익을 상호 교환하는 것이 전형적인 스폰서십의 유형이다. 김종과 박현종(1998)의 연구에 의하면, 국내 프로스포츠 3대 리그의 스폰서십 수입은 프로축구가 30억원 상당의 현물 지원을 포함하여 52억 7200만원으로 가장 많고, 프로농구가 30억 5300만원의 현금 스폰서십을 유치했으며, 프로야구가 5억 8000만원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광고 수입
프로스포츠 구단에 있어서 광고수입으로는 구장수입, 유니폼 광고, 인쇄물 광고 등이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구 구장 광고권의 대부분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 외에는 프로스포cm 구단의 자체 수입원이 되기가 힘든데, 펜스 광고와 같은 구장 광고권을 비싼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는 구단에서 행사할 수 없다는 사실은 구단의 재정자립을 약화시키는 커다란 장애요소 가운데 하나가 된다. 참고로 잠실야구장의 펜스 광고료가 연간 25억원에 낙찰된 적이 있는데, 그해 전체 프로야구의 TV중계권료는 23억원이었다.
한편, 유니폼 광고 수입은 종목이나 팀마다 차이가 있지만 프로축구의 경우 모기업의 지원금과는 별도로 5~12억 원 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프로야구는 타자들이 착용하는 헬멧의광보료 수입이 최소 1억원에서 10억 원대에 이른다. 아울러, 각 구단의 팬북이나 입장권, 프로그램 등의 인쇄물 상의 광고에 대한 수입은 대개가 1억원 이하이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수입의 대부분이 개별 구단의 모기업이나 계열 기업의 광고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설정이기에 다양한 고아고수입원의 개발과 적극적인 유치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5)라이센싱 수입
라이센싱 수입은 각 리그나 팀, 대회의 로고나 상표의 사용을 허가하는 대신 받는 수수료 수입이다. 허가조건은 상품의 종류에 따라 틀리지만 대개의 경우 일정액의 보증금과 매출액의 3-8%정도의 수수료를 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미국 프로리그의 경우에는 연맹과는 별도의 사업체를 설립하여 라이센싱 수입을 총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시장규모로 인해 아직 활성화되지는 않고 있지만 언젠가는 개발해야 할 사업영역에 속한다.
(6) 구장수입
구장수입은 크게 식음료 판매, 기념품 및 용품판매, 주차료 수입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수입은 관중 수에 정비례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이들 판권의 대부분은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어 있어 구장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국내 프로구단은 구장 수입에 대한 지분을 요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참고문헌 >
· 체육백서(2007). 문화관광부
· 국민체육진흥공단(2003). 프로스포츠비즈니스
· 한국스포츠마케팅 발전과제 연구(1998). 김종, 박현종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 프로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방안 연구(2000). 강형민/고려대 박사논문
· http://blog.naver.com/ahnhyojun?Redirect=Log&logNo=20033779363
· http://blog.naver.com/mil15/120044120811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1.2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