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보건소 실습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보건소 실습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1. 관할지역 현황 파악 및 개요
1) 관할지역 현황 파악 및 개요
2) 관련 법규의 종류 내용 확인하기
3)보건소의 사업목적과 사업내용 확인하기
4) 보건소의 조직 구조 파악하기

2. 관련 법규의 종류 내용 확인하
1) 자료 수집(건강사정 지침에 따라)
2) 지역사회 건강사정(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3) 문제일람표(건강문제와 관련된 현행상태/후속 결과)
4) 실습 대상지역의 건강문제(구성물, 자원, 상호작용)

3. 지역사회 사업계획 수립
1) 보건진료원의 업무
2) 관할지역 운영위원회 기능
3) 보건사업과 관련된 협력기관, 의뢰기관
4) 보건진료소의 2008년 보건사업 계획
5) 장기, 혹은 단기 목표 설정
6) 구체적인 집행계획 수립(월, 주, 일 계획)
7) 지역사회 건강문제 우선수위 설정(실행가능성에 따라)
8) 지역사회 간호진단 수행(오마하 분류체계에 따라)

4. 지역사회 간호사업 수행
1) 방문활동
2) 클리닉활동
3) 보건교육
4) 자원활용
5) 매체활용

5. 지역사회 간호사업 평가
1) 지역사회 간호사업 수행에 대하여 평가
2) 재계획 수립(평과결과를 근거로)
3) 간호의 지속성을 위하여 보건진료소 소장님께 보고하고 다음 실습 팀에게 연결한다.

6. 가족간호 실습
1) 가족간호 사정
2) 가족간호 문제
3) 가족간호 진단
4) 가족간호 과정
5) 보건 교육
6) 집중관리 사업

7. 소감문

본문내용

약 2달까지 간기능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어 피로감, 권태감이 올 수 있습니다. 간 기능 검사는 꼭 하셔야 합니다.
시력이 저하되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노인에게 드물게 오는 부작용이나 올 경우에는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대처를 해야 합니다.
결핵의
전염성은?
결핵약을 2주 이상 복용하면 전염성은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문제는 진단되기 이전, 약을 먹기 이전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인데 진단 시 가족검진을 하고 결핵은 서서히 발병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6개월에서 1년 후에 다시 한번 가족 검진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핵은 공기전염(환자가 기침할 때나 말할 때 나오는 비말핵에 의함)이므로 환기를 자주 시키면 되고 밥을 먹거나 수건을 같이 쓰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집안에 미취학 아동이 있을 경우는 꼭 저희에게 문의해 주십시오. 면역기능이 약한 미취학 연령의 아이의 경우에는 결핵에 걸릴 확률이 높아 예방화학요법이 필요합니다.
⑧ 결핵환자의 치료계획과 추구관리
1) 초치료
가. 처방
구분
치료기간
0~2월
3~6월
7~9월
10~12월
13~18월
EHRZ6
INH
EMB
RMP
PZA
INH
EMB
RMP
SHRZ6 처방
INH
RMP
PZA
SM
(40세미만 주6일)
(40세이상 주3일)
INH
RMP
EHR9 처방
INH
EMB
RMP
INH
EMB
RMP
INH
EMB
RMP
SHR9 처방
INH
RMP
SM
(40세미만 주6일)
(40세이상 주3일)
INH
RMP
SM
(주2일)
INH
RMP
SEH18
또는
SPH12 처방
INH
EMB
(PAS)
SM
(40세미만 주6일)
(40세이상 주3일)
INH
EMB
(PAS)
SM
(주2일)
INH
EMB
(PAS)
INH
EHR6 처방
INH
EMB
RMP
INH
EMB
RMP
SHR6 처방
INH
RMP
SM
(주2일)
INH
RMP
SEH12
(SPH12)
처방
INH
EMB
(PAS)
SM
INH
EMB
(PAS)
*SE(P)H 18처방 : RMP 과 PZA 약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하지만, 가능한 한 전문치료기관으로 치료를 의뢰한다.
나. 약제명 및 사용방법
약제명
1일 투여량
체중1kg당1일 투여량
복용방법
아이나
(INH, H)
40mg(4정)
50kg이하는300mg
5-10mg
1일1회 아침 식후 복용
에탐부톨
(EMB, E)
50kg미만은
800mg(2정)
50kg이상은
: 첫 2개월은
1.200mg(3정)
: 이후는 800mg(2정)
15-20mg
1일1회 아침 식후 복용
60세 이상은 체중과 관계없이 첫 2개월도 800mg(2정)복용
리팜피신
(RMP, R)
50kg미만은
450mg(3정)
50kg이상은
600mg(4정)
10mg
1일1회 공복 시 식사 30분전에 복용
피라진아미드
(PZA, Z)
성인1.5g(3정)
처음 2개월만 복용
30mg
1일 1회 아침식후 복용
스트렙토 마이신
(SM, S)
1g
15mg
<도말양성환자>
첫 2개월은
: 40세 미만은
주6일 근육주사
: 40세 이상은
주 3일 근육주사
: 다음 4개월은
주 2일 근육주사
<도말음성환자>
첫 2개월만
주 2일 근육주사
*PAS를 RMP과 함께 사용하면 RMP의 최고 혈중농도는 생체내 이용률이 감소되기 때문에 동시 사용은 금한다. (예 : INH +PAS +RMP 같은 처방은 불가함)
*치료도중 환자의 몸무게는 변동에 따라(50kg)용량을 가감해 준다.
*초치료 등록 전 간기능 및 기타검사는 재치료 시행 전 검사에 준한다.
2) 재치료(초치료 실패자)
가, 정의
신환, 전입, 중단 후 재등록 혹은 재발로 정해진 기간 동안 초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 고 치료 실패로 판정된 자에 대하여 2차 항결핵제가 보건소에 없으므로 전문치료 기관 으로 치료를 의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보건소에서 재치료를 한다.
ㄱ. 단기 초치료(EHRZ 6, 녹 6)에 실패한 환자
3,5,6개월째 도말 양성자
5,6개월째 도말 양성자
3,6개월째 도말 양성자
3,5개월째 도말 양성자, 6개월 째 도말음성자 및 3,5개월째 도말음성자중 6개월째 도말양성으로 결핵협회 시. 도 지부 검사과 검사결과 도말양성이나 배양양성 자
* 상기 기준 중 5개월 째 배양음성인 경우, 시. 도 결핵관리의사의 판정에 따른다.
5개월째 배양양성인 경우
ㄴ. 단기 초치료(EHR 9, SHR 9)에 실패한 환자
7개월째 및 9개월째 도말양성자
7개월째 도말음성 배양양성 및 9개월째 도말양성자
7개월째 도말양성 9개월째 도말음성, 7개월째 배양양성 9개월째 도말음성, 7개월째 배양음성 9개월째 도말양성인 자로서 시.도검사과 검사결과 객담검사가 도말양성 이거나 도말음성 배양양성인자
ㄷ. 장기 초치료(S도 18, SPH 18)에 실패한 환자
9개월째 배양양성자
9개월째 도말양성 배양음성인 자로서 12개월째 또는 18개월째 도말양성인 자
9개월째 도말음성 배양음성인 자로서 12개월째 도말양성자나, 9개월째 도말음성 배 양양성인 자로서 12개월째 도말음성인 자로서 결핵협회 시.도 검사과 검사결과 객담 검사가 도말양성이거나, 배양양성인 자 또는 12개월째 도말음성 배양음성이지만 18개월째 도말양성인 자
나. 처방
처방
내용
치료기간
1-6월
7-12월
13-24월
SPH 18
(가) 처방
EHR, EHRZ 초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처방
SPZ
(0-2)
SPZ
(3-6)
(S:주3회)
PZ(18)
PZK 12
(나) 처방
INH, SM, EMB 초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처방
PZA
RMP
KM(주3회)
PZA
RMP
EZK 24
(다) 처방
INH, SM, RMP 초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처방
EMB
PZA
KM(주3회)
EMB
PZA
EMB
다. 환자관리
객담검사
엑스선 검사
체중검사
시력검사
간기능 검사
신장기능 검사
과거치료력 조사
기왕력 및 합병증 조사
ㄱ. 재치료시행을 위한 재검사
라. 추구관리
신규등록 초치료 양성환자와 동일
ㄱ. 경과관찰
투약 시 마다 호흡기계 증상 및 일반증상을 확인하고 재치료 환자관리 기록표에 기록
ㄴ. 이상반응
투약시마다 이상 반응을 확인, 이상반응번호를 재치료 환자관리 기?Ⅶ叢
  • 가격2,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10.01.2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