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커피의 역사
1. 커피의 역사
2. 커피의 어원
3. 커피의 기원
4. 커피의 전파경로
5. 커피의 3대 원종
Ⅱ. 커피의 기능
1. 커피의 성분
2. 커피의 특성
3. 커피의 건강성
Ⅲ. 커피의 생산
1. 커피나무의 성장과정
2. 커피의 재배
3. 생산지별 커피의 특징
Ⅳ. 커피의 가공과정
Ⅴ. 커피 끊이는 방법
Ⅵ. 다양한 커피의 종류
<참고문헌>
1. 커피의 역사
2. 커피의 어원
3. 커피의 기원
4. 커피의 전파경로
5. 커피의 3대 원종
Ⅱ. 커피의 기능
1. 커피의 성분
2. 커피의 특성
3. 커피의 건강성
Ⅲ. 커피의 생산
1. 커피나무의 성장과정
2. 커피의 재배
3. 생산지별 커피의 특징
Ⅳ. 커피의 가공과정
Ⅴ. 커피 끊이는 방법
Ⅵ. 다양한 커피의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사람에게 이 은 스타일의 커피는 그 쓴맛 때문에 쉽게 가까이 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을 극복한 것은 설탕과 유제품을 커피에 사용하고 나서부터였다. 유제품은 커피의 맛을 한층 더 고소하고 부드럽게 해주었다.
4) 양주
커피에 술을 첨가하는 것은 맛과 향기를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즐기는 대상이 커피일 경우 커피에 넣는 술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커피맛보다 술맛이 다 강하게 되어 좋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 술에 커피를 약간 가미해 칵테일 현태로 즐길 수도 있다. 커피에 위스키의 향이 은은히 흘러나오는 것으로 유명한 아이리시 커피는 한 잔의 뜨거운 커피에 위스키를 타 그 향기와 맛을 즐기는 칵테일성 커피이다. 이 커피 스타일은 아일랜드 더블린 공항에서 급유를 기다리는 여행객들이 북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으로 인해 얼어붙은 몸을 녹이기 위해 커피에 위스키를 첨가해 즐기기 시작한 것으로 그 후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지게 되었다.
5) 향신료
향신료는 커피에 향미를 더하는 것으로 식물의 꽃, 열매, 싹, 나무껍질, 뿌리, 잎 들을 말한다. 이밖에도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소화를 돕고 방부작용과 약리 작용을 갖는 것도 많다.
커피에 주로 사용되는 향신료는 계피, 올스파이스, 너트맥, 박하, 생강 등이다. 향신료는 원두커피와 함께 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다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화학 향신료가 200여가지나 발달되어 향 커피를 유행시키고 있는데 다양한 향으로 커피의 본래의 맛을 잃어버리고 커피보다 향에 의존해 마시는 경우도 있다.
6) 달걀
우리나라에서 모닝커피하면 달걀노른자위를 넣어 주던 때가 있었다. 이처럼 커피에 넣을 때는 덩어리가 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7) 아이스크림
커피에 사용하는 아이스크림은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적합하다. 그 이유는 부드러운 베이지색과 은은하게 풍기는 바닐라 향기가 다른 어떤 것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커피잔은 커다란 유리잔을 사용하고 그 위에서 아이스크림을 띄워 놓는다.
8) 젤라틴
젤라틴은 동물의 연골조직 성분인 콜라겐이 열에 의해 변성된 것이다. 동물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처리과정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젤라틴은 커피젤리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분말과 판상제품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판상제품이 더 좋다.
9) 초콜릿
초콜릿은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카카오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코코아와 카카오 버터, 설탕, 유제품 등을 가지고 만든다. 음료용으로는 코코아 분말을 사용한다. 커피에는 코콜릿 시럽을 넣을 수 있는데 보통 시럽을 많이 사용한다. 초콜릿을 넣은 커피로는 카페모카가 유명하다.
3. 커피의 소도구 원용희, 커피이야기, 학문사, 1999 p73-p75
1) 분쇄기
분쇄기는 배전두를 원하는 굵기로 갈아내는 기구이다. 배전한 원두는 고유의 향을 갖는다. 이 향은 휘발성이어서 날아가기 쉬운데. 갈아놓은 커피가루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그래서 집에서 분쇄기를 분비해 즉석에서 갈아 사용해야 커피 본래의 향을 즐길 수 있다.
2) 추출기
커피추출기는 추출방법에 따라 알맞은 기구를 사용해야한다. 즉, 드립식커피를 만들고자 한는 경우 드립세트를, 사이폰식 커피는 사이폰, 에스프레스 커피는 에스프레스를 사용해야 한다.
3) 커피잔
커피잔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달린 도기로서 커피의 뜨거운 열기가 쉽게 식지 않도록 높은 온도에서 구운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커피맛을 좌우하는 요인은 다름 아닌 커피(물)의 온도인데 커피를 마시는 동안 제맛을 유지하려면 커피의 온도가 내려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은 커피 자체 온도를 빼앗아 가기 쉬우므로 되도록 피하고 커피잔을 데워서 사용하도록 한다. 커피잔은 재질에 따라 도기, 자기, 금속, 유리, 플라스틱, 목재잔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도자기다.
커피잔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미적 감각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을 담아 아름다움과 품위와 격조를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커피잔도 분쇄기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커피를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최근에는 아메리칸 스타일에서 주로 사용하는 머그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Ⅵ. 다양한 커피의 종류 정홍식, 커피의 세계, 민문사, 1994 p163-p196
1. 뜨거운 커피
뜨거운 커피란 뜨겁게 추출한 커피 자체를 일컫는 말이다. 보통 커피는 첨가 재료의 종류와 배전 원두의 종류에 따라 자기 고유의 이름을 갖게 된다. 이중 커피가루에 물을 부어 추출만 하고 그대로 마시는 레귤러 커피, 아메리칸 커피, 에스프레소 커피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우유를 넣으면 카페오레, 생크림을 얹으면 비엔나 커피가 되는데, 이렇게 응용과 첨가 재료에 따라 그 종류가 아주 다양해진다.
2. 차가운 커피
차가운 커피는 뜨거운 커피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커피를 차게 식혀 마시는 시원한 음료이다. 보통 커피에 얼음을 넣는데, 이것은 녹아도 싱거운 맛이 나지 않도록 진한 커피를 이용한다. 차가운 커피는 날씨가 무더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고, 차츰 세계 곳곳에서 여름철 음료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중에서 열대성 작물(박하나 레몬, 파인애플 등)을 첨가하여 상큼한 맛이 매력인 커피가 커피 민트 줄렙, 하와이안 커피 프로스티드 등이다.
3. 포티파이드 커피
커피 원액에 브랜디 같은 술을 첨가한 커피는 독특한 맛을 내며, 여기서 커피와 술은 오묘한 조화를 이룬다. 커피가 심신의 활력을 되찾아 주는 한편, 술이 몸의 긴장을 풀어 주는 게에서 커피와 술의 결합은 디오니소스와 아폴로, 기독교와 이슬람교, 이성과 감성이 공존하는 이치를 연상케 한다. 커피와 가장 오래 단짝을 이루고 있는 술은 브랜디이다. 그밖에 대개의 리쾨르와 안인도 커피와 잘 어울린다. 술을 첨가한 커피의 종류로 아리리시 커피, 카페 글로리아, 카페 로열, 카페 블?郭 카페 디아블 등을 꼽을 수 있다.
<참고문헌>
윤영노·황성연(2003) 커피, 윤문
이윤호(2004) 완벽한 한잔의 커피를 위하여, MJ미디어
원용희(1999) 커피이야기, 학문사
정홍식(1994) 커피의 세계, 민문사
4) 양주
커피에 술을 첨가하는 것은 맛과 향기를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즐기는 대상이 커피일 경우 커피에 넣는 술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커피맛보다 술맛이 다 강하게 되어 좋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 술에 커피를 약간 가미해 칵테일 현태로 즐길 수도 있다. 커피에 위스키의 향이 은은히 흘러나오는 것으로 유명한 아이리시 커피는 한 잔의 뜨거운 커피에 위스키를 타 그 향기와 맛을 즐기는 칵테일성 커피이다. 이 커피 스타일은 아일랜드 더블린 공항에서 급유를 기다리는 여행객들이 북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으로 인해 얼어붙은 몸을 녹이기 위해 커피에 위스키를 첨가해 즐기기 시작한 것으로 그 후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지게 되었다.
5) 향신료
향신료는 커피에 향미를 더하는 것으로 식물의 꽃, 열매, 싹, 나무껍질, 뿌리, 잎 들을 말한다. 이밖에도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소화를 돕고 방부작용과 약리 작용을 갖는 것도 많다.
커피에 주로 사용되는 향신료는 계피, 올스파이스, 너트맥, 박하, 생강 등이다. 향신료는 원두커피와 함께 분쇄기에 넣어 분쇄한 다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화학 향신료가 200여가지나 발달되어 향 커피를 유행시키고 있는데 다양한 향으로 커피의 본래의 맛을 잃어버리고 커피보다 향에 의존해 마시는 경우도 있다.
6) 달걀
우리나라에서 모닝커피하면 달걀노른자위를 넣어 주던 때가 있었다. 이처럼 커피에 넣을 때는 덩어리가 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7) 아이스크림
커피에 사용하는 아이스크림은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적합하다. 그 이유는 부드러운 베이지색과 은은하게 풍기는 바닐라 향기가 다른 어떤 것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커피잔은 커다란 유리잔을 사용하고 그 위에서 아이스크림을 띄워 놓는다.
8) 젤라틴
젤라틴은 동물의 연골조직 성분인 콜라겐이 열에 의해 변성된 것이다. 동물성 단백질이기 때문에 처리과정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젤라틴은 커피젤리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분말과 판상제품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판상제품이 더 좋다.
9) 초콜릿
초콜릿은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카카오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코코아와 카카오 버터, 설탕, 유제품 등을 가지고 만든다. 음료용으로는 코코아 분말을 사용한다. 커피에는 코콜릿 시럽을 넣을 수 있는데 보통 시럽을 많이 사용한다. 초콜릿을 넣은 커피로는 카페모카가 유명하다.
3. 커피의 소도구 원용희, 커피이야기, 학문사, 1999 p73-p75
1) 분쇄기
분쇄기는 배전두를 원하는 굵기로 갈아내는 기구이다. 배전한 원두는 고유의 향을 갖는다. 이 향은 휘발성이어서 날아가기 쉬운데. 갈아놓은 커피가루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그래서 집에서 분쇄기를 분비해 즉석에서 갈아 사용해야 커피 본래의 향을 즐길 수 있다.
2) 추출기
커피추출기는 추출방법에 따라 알맞은 기구를 사용해야한다. 즉, 드립식커피를 만들고자 한는 경우 드립세트를, 사이폰식 커피는 사이폰, 에스프레스 커피는 에스프레스를 사용해야 한다.
3) 커피잔
커피잔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달린 도기로서 커피의 뜨거운 열기가 쉽게 식지 않도록 높은 온도에서 구운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커피맛을 좌우하는 요인은 다름 아닌 커피(물)의 온도인데 커피를 마시는 동안 제맛을 유지하려면 커피의 온도가 내려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은 커피 자체 온도를 빼앗아 가기 쉬우므로 되도록 피하고 커피잔을 데워서 사용하도록 한다. 커피잔은 재질에 따라 도기, 자기, 금속, 유리, 플라스틱, 목재잔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도자기다.
커피잔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미적 감각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을 담아 아름다움과 품위와 격조를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커피잔도 분쇄기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커피를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최근에는 아메리칸 스타일에서 주로 사용하는 머그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Ⅵ. 다양한 커피의 종류 정홍식, 커피의 세계, 민문사, 1994 p163-p196
1. 뜨거운 커피
뜨거운 커피란 뜨겁게 추출한 커피 자체를 일컫는 말이다. 보통 커피는 첨가 재료의 종류와 배전 원두의 종류에 따라 자기 고유의 이름을 갖게 된다. 이중 커피가루에 물을 부어 추출만 하고 그대로 마시는 레귤러 커피, 아메리칸 커피, 에스프레소 커피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우유를 넣으면 카페오레, 생크림을 얹으면 비엔나 커피가 되는데, 이렇게 응용과 첨가 재료에 따라 그 종류가 아주 다양해진다.
2. 차가운 커피
차가운 커피는 뜨거운 커피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커피를 차게 식혀 마시는 시원한 음료이다. 보통 커피에 얼음을 넣는데, 이것은 녹아도 싱거운 맛이 나지 않도록 진한 커피를 이용한다. 차가운 커피는 날씨가 무더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고, 차츰 세계 곳곳에서 여름철 음료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중에서 열대성 작물(박하나 레몬, 파인애플 등)을 첨가하여 상큼한 맛이 매력인 커피가 커피 민트 줄렙, 하와이안 커피 프로스티드 등이다.
3. 포티파이드 커피
커피 원액에 브랜디 같은 술을 첨가한 커피는 독특한 맛을 내며, 여기서 커피와 술은 오묘한 조화를 이룬다. 커피가 심신의 활력을 되찾아 주는 한편, 술이 몸의 긴장을 풀어 주는 게에서 커피와 술의 결합은 디오니소스와 아폴로, 기독교와 이슬람교, 이성과 감성이 공존하는 이치를 연상케 한다. 커피와 가장 오래 단짝을 이루고 있는 술은 브랜디이다. 그밖에 대개의 리쾨르와 안인도 커피와 잘 어울린다. 술을 첨가한 커피의 종류로 아리리시 커피, 카페 글로리아, 카페 로열, 카페 블?郭 카페 디아블 등을 꼽을 수 있다.
<참고문헌>
윤영노·황성연(2003) 커피, 윤문
이윤호(2004) 완벽한 한잔의 커피를 위하여, MJ미디어
원용희(1999) 커피이야기, 학문사
정홍식(1994) 커피의 세계, 민문사
추천자료
[경영전략]Starbucks의 경영 사례 “스타벅스, 그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서구중심주의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세계화 지구화
[터키][터키의 역사][터키의 수도 이스탄불][터키의 고대도시][터키의 민족문화][터키의 정치...
광고의 역사, 산업구조, 광고대행사에 대해서 설명한 레포트입니다.
[요약 및 감상문] 미국교육과 아메리칸커피 _ 심미혜 저
[홍차][홍차 종류][홍차 역사][홍차 나라][영국][홍차 우리는 방법]홍차의 종류, 홍차의 역사...
[소주광고][소주][광고][소주광고 역사][소주광고 목표][소주광고 사례][소주광고 매체전략]...
[음료][음료수][음료 정의][음료 역사][음료 산업구조][음료 산채]음료(음료수)의 정의, 음료...
패스트푸드점(맥도날드), 아이스크림전문점(롯데제과 나뚜루), 홈쇼핑(GS홈쇼핑), 패밀리레스...
[차][茶][차(茶) 개념][차 유형][차 역사][차 정신][차 효능][차 대접예절][차 우리는 법]차(...
종이컵의 역사-종이컵의 발명,종이컵의 발전과정,종이컵의 재질과 구조,종이컵의 환경문제,종...
[세계의역사E]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보고 감상평을 쓰되, 아프리카인의 시각에서 독자...
독일맥주의 역사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