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진단
A. 선별검사
1. 선별검사의 적응증
2. 50mg 당부하검사(50mg Glucose tolerance test)
B. 100mg 당부하 검사(100mg Glucose tolerance test)
1. 시행방법
2. 진단기준 및 결과 해석
Ⅱ. 합병증
A. 모성 합병증
1. 저혈당
2. 고혈당
3. 인슐린 변화
4. 뇨 당 배출
5. 요로 감염
6. 고혈압
7. 양수 과다증
8. 망막 병증
B. 태아 합병증
1. 자연 유산
2. 선청성 기형
3. 거대아(macrosomia)
4. 신생아 저혈당
5.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6. 주산기 사망
7. 기타 문제점들
Ⅲ. 임신중의 치료
A.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 식사
2. 혈당 검사
3. 혈색소(hemoglobin)Alc 검사
4. 인슐린
5. 안과 검사
6. 태아 건강 검사
7. 태아 성숙 검사
8. 초음파검사의 유용성
9. 조기 분만 진통
10. 분만
B. 임신성 당뇨병
1. 혈당 조절
2. 혈당 검사
Ⅳ. 피임
Ⅴ. 참고 문헌
Ⅰ. 진단
A. 선별검사
1. 선별검사의 적응증
2. 50mg 당부하검사(50mg Glucose tolerance test)
B. 100mg 당부하 검사(100mg Glucose tolerance test)
1. 시행방법
2. 진단기준 및 결과 해석
Ⅱ. 합병증
A. 모성 합병증
1. 저혈당
2. 고혈당
3. 인슐린 변화
4. 뇨 당 배출
5. 요로 감염
6. 고혈압
7. 양수 과다증
8. 망막 병증
B. 태아 합병증
1. 자연 유산
2. 선청성 기형
3. 거대아(macrosomia)
4. 신생아 저혈당
5.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6. 주산기 사망
7. 기타 문제점들
Ⅲ. 임신중의 치료
A.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 식사
2. 혈당 검사
3. 혈색소(hemoglobin)Alc 검사
4. 인슐린
5. 안과 검사
6. 태아 건강 검사
7. 태아 성숙 검사
8. 초음파검사의 유용성
9. 조기 분만 진통
10. 분만
B. 임신성 당뇨병
1. 혈당 조절
2. 혈당 검사
Ⅳ. 피임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은 증식성 망막 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일어난다. 이런 병변은 레이저 응고술로 치료될 수 있으며,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서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조기에 안과 검사를 받고, 임신 중에는 계속 정기적인 검사를 받도록 한다.
B. 태아 합병증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관련되어 있다.
1. 자연 유산
임신 제 1삼분기에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연 유산의 빈도는 증가한다.
2. 선청성 기형
a. 관련된 기형
(1) 기형의 위험도 : 선천성 기형의 가능성이 3배정도 증가한다.
(2) 기형의 종류
(a) 천골 무형성 : 아주 특징적이기는 하지만 드물다.
(b) 흔한 기형 : 심장과 사지 기형
b. 혈색소(hemoglobin)Alc
임신 제 1삼분기 말에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검사했을 때 Alc치가 정상인 경우는 기형아를 낳을 확률이 높지 않지만, Alc치가 높을 때는 선천성 기형의 확률이 몇 배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거대아(macrosomia)
a. 발생기전 : 모채의 혈당이 증가되면 태반을 통과해오는 포도당도 증가해서 태아에게도 고혈당이 생기며 태아는 과영양이 섭취되어서 과도한 지방과 글리코겐이 축적되고 과성장을 하게 된다.
b. 거대아의 정의 : 태아의 예상체중이 4,500g 이상일 때
c. 분만 손상 : 견갑 난산의 가능성이 높다.
4. 신생아 저혈당
태아가 계속 고혈당에 노출되어 있으면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어 있으나, 분만 후 갑자기 포도당 공급이 줄어들어도 인슐린 분비는 그대로여서 신생아가 저혈당에 빠질 수 있다.
5.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5-6배 정도의 흔한 빈도로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것은 태아 때의 고혈당 때문이며, lecithin/sphingomyelin(L/S) 비율이나 기포안정성검사 등의 단순한 양수 검사만으로는 예측이 힘들다. 이때 가장 좋은 검사는 phosphatidylglycerol치이며, 이런 신생아를 치료할 때는 표면 활성제 공급, 호기 양압 호흡기, 산소와 수분 등을 공급해야 한다.
6. 주산기 사망
모체에서 심한 고혈당이 있을 때 태아가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흔하다. 일반적으로 산소 해리가 잘되지 않아 저산소증이 오고,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 때문일 것으로 추측은 되지만, 왜 그런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7. 기타 문제점들
저칼
B. 태아 합병증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관련되어 있다.
1. 자연 유산
임신 제 1삼분기에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연 유산의 빈도는 증가한다.
2. 선청성 기형
a. 관련된 기형
(1) 기형의 위험도 : 선천성 기형의 가능성이 3배정도 증가한다.
(2) 기형의 종류
(a) 천골 무형성 : 아주 특징적이기는 하지만 드물다.
(b) 흔한 기형 : 심장과 사지 기형
b. 혈색소(hemoglobin)Alc
임신 제 1삼분기 말에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검사했을 때 Alc치가 정상인 경우는 기형아를 낳을 확률이 높지 않지만, Alc치가 높을 때는 선천성 기형의 확률이 몇 배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거대아(macrosomia)
a. 발생기전 : 모채의 혈당이 증가되면 태반을 통과해오는 포도당도 증가해서 태아에게도 고혈당이 생기며 태아는 과영양이 섭취되어서 과도한 지방과 글리코겐이 축적되고 과성장을 하게 된다.
b. 거대아의 정의 : 태아의 예상체중이 4,500g 이상일 때
c. 분만 손상 : 견갑 난산의 가능성이 높다.
4. 신생아 저혈당
태아가 계속 고혈당에 노출되어 있으면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어 있으나, 분만 후 갑자기 포도당 공급이 줄어들어도 인슐린 분비는 그대로여서 신생아가 저혈당에 빠질 수 있다.
5.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5-6배 정도의 흔한 빈도로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것은 태아 때의 고혈당 때문이며, lecithin/sphingomyelin(L/S) 비율이나 기포안정성검사 등의 단순한 양수 검사만으로는 예측이 힘들다. 이때 가장 좋은 검사는 phosphatidylglycerol치이며, 이런 신생아를 치료할 때는 표면 활성제 공급, 호기 양압 호흡기, 산소와 수분 등을 공급해야 한다.
6. 주산기 사망
모체에서 심한 고혈당이 있을 때 태아가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흔하다. 일반적으로 산소 해리가 잘되지 않아 저산소증이 오고,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 때문일 것으로 추측은 되지만, 왜 그런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7. 기타 문제점들
저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