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목차
여성과신화
1주차 <神話란 무엇인가?>
2주차 여신 신화는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3주차 <왜 성처녀 신화가 만들어졌는까?>
4주차 <대지모신 신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5주차 수렵 · 어로 문화에서는 어떤 여신 신화들이 만들어졌는가?
6주차 출현 신화가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7주차 왜 한국의 출현신화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가?
1주차 <神話란 무엇인가?>
2주차 여신 신화는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3주차 <왜 성처녀 신화가 만들어졌는까?>
4주차 <대지모신 신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5주차 수렵 · 어로 문화에서는 어떤 여신 신화들이 만들어졌는가?
6주차 출현 신화가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7주차 왜 한국의 출현신화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문내용
3년이 흐른 후 어느날 왕후의 귀에서
금 벌레 한 마리가 튀어 나왔다.
그러자 귀의 통증이 나았다.
① 옛날에 高辛王의 왕후가 귀에 통증이
(고신왕)
심한 병에 걸렸다.
· 동북아시아 이야기
(중국 견조탄생담)
④ 그 때 房王이 반란을 일으켰다.
반왕
고신왕은 房王의 머리를 베어오는 자에게는 공주를 아내로 주겠다고
했다.
③ 왕후가 그 벌레를 호리병에 넣고 쟁반으로 덮어 두었다.
그런데 호리병 속의 벌레가 개로 바뀌었다.
쟁반(盤)과 호리병(瓠) 속에서 변신을 했다고 하여 ‘반호
반 호
(盤瓠)’라는 이름을 붙였다. (반호 = 쟁반+ 호리병)
⑥ 한편 반호는 궁중을 떠나, 방왕의 진영을 향해 달렸다.
방왕을 보자마자 머리를 조아리며 꼬리를 흔들었다.
⑤ 고신왕이 신하들에게 말한 그 날부터 반호가 궁중에서
보이지 않았다.
⑧ 방왕은 술에 취한 채 군영에서 그대로 잠이 들었다.
반호는 이 틈을 타서 방왕의 머리를 물고 고신왕에게 되돌아왔다.
⑦ 고신왕은 이제 곧 틀림없이 멸망할 것이다.
개까지 주인을 버리고 투항하였다며 방왕은 잔치를 열어
吉兆를 축하하였다.
길조
⑪ 6일째가 되었을 때, 개가 걱정된 공주가 금 종을 들어 올려 보았다.
반호는 전신이 사람으로 바뀌었지만, 머리는 아직 개 그대로였다.
(견두인신)
⑩ 고신왕이 자신의 속마음(개에게 공주를 줄 수 없지 않느냐)을 말하자, 개가 사람의 말로 대답하기를
“ 저를 금으로 된 종 안에 7일 낮 7일 밤 동안만 넣어주시면
인간이 될 수 있습니다” 라고 했다.
⑨ 고신왕 상으로 맛있는 음식을 개에게 주었으나 먹지 않았다.
⑬ 몇 년 후 두 사람 사이에 3남 1녀의 자식이 생겼다.
자녀들이 성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고신왕에게 성을 하나 지어
하사해 줄 것을 간청하였다.
⑫ 공주는 개의 머리 모양을 한 모자를 쓰고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다.
결혼을 한 후, 반호는 아내를 데리고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산 계곡의 바위굴에 거처를 정하였다.
출전 : 원가 《중국의 신화》
⑮ 네 성이 서로들 결혼하여 자손이 번창해서 일족을 이루었다.
사람들은 반호를 그들의 공동 조상이라고 믿었다.
(개 => 견조신화)
⑭ 장남은 태어나자 쟁반에 얹었기 때문에 반(盤),
차남은 바구니 속에 있었기 때문에 남(籃),
셋째는 망설이고 있을 때 하늘에서 우레가 쳤으므로 뇌(雷)라는
성을 주었다.
막내딸은 용감한 병사를 사위로 맞아들여 남편의 성을 따라
종(鐘)이라 하였다. ->가부장제가 성립되었던 시기였던것을 알수있다
반 남 뇌 종
犬祖신화가 남방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
(중국)
· <後漢書> 南蠻西南夷傳 (구한서> 남만서남...) =>역사서에있다
→오색의 의복을 좋아하고, 옷을 만들고 마르는 데는 다
꼬리 모양(尾形)이 있다.
· <搜神記>에도 盤瓠系 종족에 관한 기록이 있음.
· 오늘날 인도차이나 미얀마 지방에 사는 종족의 복식과
일치.
· 북방 夷狄 민족의 이야기에 근거: 楊寬의 견해
이적 양관(중국학자)
① 반호가 개이기 때문에 그 자손은 개와 관계가 있는 민족이어야 한다.
그런데 묘, 요, 여 등의 제 민족은 남만에 속하여 개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② 고대에 개와 가장 밀접한 관계 : 犬戎인 북방의 민족
(견웅)
③ <후한서>남만전에서 남만을 반호의 자손이라 한 것은 잘못
전해진 이야기
犬祖 신화가
북방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견해
1. 만주족을 비롯하여 몽고족, 브리야트족 등에도 견조 신
화가 전해지고 있음.
2. 한국에도 오랑캐 시조 신화 가 구전되고 있음
--> 양관 견해의 타탕성
① 옛날에 두만강 가의 처녀가 스무 살이 넘도록 시집을 가지
않으려고 했다.
② 어느날 강물에서 큰 개가 나오는 바람에 기절을 하고 말았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개가 그녀 옆에 죽어 있었다.
③ 10개월이 지나자 처녀의 몸에서 아이가 태어났다.
그런데 아이는 노란색 머리털이 꼭 개의 털색과 같았다.
그녀는 아이가 개의 자식인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숨기고
‘오랑자’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 북방 민족은 개의 조상이다.
· 오랑캐의 시조 이야기
우리나라 북쪽에 살고 있는 모든 민족
④ 아이가 7~8세가 되자 그 사실을 이야기 했다.
아이는 강가를 찾아가 개를 묻은 곳에서 개의 형상을 한
백골을 파냈다.
⑥ 두만강이라는 큰 강을 건너 곡식이 잘 되는 곳으로 이사를 하였다.
거기서 아내를 얻어 살았으며 자손이 번창하였다.
⑤ 그는 이것을 명산에 묻어 주고,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오랑케라는 이름을 붙인 뒤에 고향을 떠났다.
☞ 犬祖 신화가 일찍이 南蠻의 것으로 문헌에 정착되기는
남만
하였지만, 북방문화와도 관련이 있음.
: 1.북극 일대에 살고 있는 에스키모인들의 犬祖 신화 역시
동북아시아에서 건너갔을 가능성이 짙음.
: 2.에스키모인은 동북아시아로부터 이 지역으로 이주하였다는
민족이동설에 의해서 그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음.
--> 아시아 지역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
① 옛날에 감무산에는 호수가 없었고 연못만이 있었다.
② 모쏘족(納西族)들의 조상이 연못에 사는 커다란 물고기를
발견하고 그 물고기를 조금씩 떼어내어 먹으면서 지냈다.
③ 어느날 한 남자가 아홉 마리의 소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끌어내려
했으나, 물이 점점 더 넘쳐 흘러서 지금의 호수가 되었다.
· 모쏘족들의 구전신화(운남성 영변지구)
④ ‘瀘古湖’ 또는 ‘母海’라고 불리는 이 호수는 여신 감무의 자궁이고
모해
여기에서 나오는 물은 남신과 여신의 화합수이다.
그리고 이 호수에서 생육되는 물고기들은 지금도 여신이 인간들에게
베푸는 것이다. -> 세드나가 바다 속에 살면서 인간들에게 수렵제공 하 는 것과 같은 맥락
여신은 호수의 출입을 남자들에게만 인정하고 있다
· 호수 주변의 모쏘족 → 모녀관계 위주 모권제 사회
: 남녀 모두 13세가 되면 성인식
(여자는 끝이 넓은 주름 치마를 입는 것)
아샤혼 (처가 방문혼)
· 산기슭의 푸미족 → 부자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권제 사회
: 지위의 계승과 재산 상속이 아버지로부터 아들 , 夫家居住
▶ ‘母海’는 수렵과 채취의 대상을 제공해주는 어머니
아
금 벌레 한 마리가 튀어 나왔다.
그러자 귀의 통증이 나았다.
① 옛날에 高辛王의 왕후가 귀에 통증이
(고신왕)
심한 병에 걸렸다.
· 동북아시아 이야기
(중국 견조탄생담)
④ 그 때 房王이 반란을 일으켰다.
반왕
고신왕은 房王의 머리를 베어오는 자에게는 공주를 아내로 주겠다고
했다.
③ 왕후가 그 벌레를 호리병에 넣고 쟁반으로 덮어 두었다.
그런데 호리병 속의 벌레가 개로 바뀌었다.
쟁반(盤)과 호리병(瓠) 속에서 변신을 했다고 하여 ‘반호
반 호
(盤瓠)’라는 이름을 붙였다. (반호 = 쟁반+ 호리병)
⑥ 한편 반호는 궁중을 떠나, 방왕의 진영을 향해 달렸다.
방왕을 보자마자 머리를 조아리며 꼬리를 흔들었다.
⑤ 고신왕이 신하들에게 말한 그 날부터 반호가 궁중에서
보이지 않았다.
⑧ 방왕은 술에 취한 채 군영에서 그대로 잠이 들었다.
반호는 이 틈을 타서 방왕의 머리를 물고 고신왕에게 되돌아왔다.
⑦ 고신왕은 이제 곧 틀림없이 멸망할 것이다.
개까지 주인을 버리고 투항하였다며 방왕은 잔치를 열어
吉兆를 축하하였다.
길조
⑪ 6일째가 되었을 때, 개가 걱정된 공주가 금 종을 들어 올려 보았다.
반호는 전신이 사람으로 바뀌었지만, 머리는 아직 개 그대로였다.
(견두인신)
⑩ 고신왕이 자신의 속마음(개에게 공주를 줄 수 없지 않느냐)을 말하자, 개가 사람의 말로 대답하기를
“ 저를 금으로 된 종 안에 7일 낮 7일 밤 동안만 넣어주시면
인간이 될 수 있습니다” 라고 했다.
⑨ 고신왕 상으로 맛있는 음식을 개에게 주었으나 먹지 않았다.
⑬ 몇 년 후 두 사람 사이에 3남 1녀의 자식이 생겼다.
자녀들이 성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고신왕에게 성을 하나 지어
하사해 줄 것을 간청하였다.
⑫ 공주는 개의 머리 모양을 한 모자를 쓰고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다.
결혼을 한 후, 반호는 아내를 데리고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산 계곡의 바위굴에 거처를 정하였다.
출전 : 원가 《중국의 신화》
⑮ 네 성이 서로들 결혼하여 자손이 번창해서 일족을 이루었다.
사람들은 반호를 그들의 공동 조상이라고 믿었다.
(개 => 견조신화)
⑭ 장남은 태어나자 쟁반에 얹었기 때문에 반(盤),
차남은 바구니 속에 있었기 때문에 남(籃),
셋째는 망설이고 있을 때 하늘에서 우레가 쳤으므로 뇌(雷)라는
성을 주었다.
막내딸은 용감한 병사를 사위로 맞아들여 남편의 성을 따라
종(鐘)이라 하였다. ->가부장제가 성립되었던 시기였던것을 알수있다
반 남 뇌 종
犬祖신화가 남방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
(중국)
· <後漢書> 南蠻西南夷傳 (구한서> 남만서남...) =>역사서에있다
→오색의 의복을 좋아하고, 옷을 만들고 마르는 데는 다
꼬리 모양(尾形)이 있다.
· <搜神記>에도 盤瓠系 종족에 관한 기록이 있음.
· 오늘날 인도차이나 미얀마 지방에 사는 종족의 복식과
일치.
· 북방 夷狄 민족의 이야기에 근거: 楊寬의 견해
이적 양관(중국학자)
① 반호가 개이기 때문에 그 자손은 개와 관계가 있는 민족이어야 한다.
그런데 묘, 요, 여 등의 제 민족은 남만에 속하여 개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② 고대에 개와 가장 밀접한 관계 : 犬戎인 북방의 민족
(견웅)
③ <후한서>남만전에서 남만을 반호의 자손이라 한 것은 잘못
전해진 이야기
犬祖 신화가
북방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견해
1. 만주족을 비롯하여 몽고족, 브리야트족 등에도 견조 신
화가 전해지고 있음.
2. 한국에도 오랑캐 시조 신화 가 구전되고 있음
--> 양관 견해의 타탕성
① 옛날에 두만강 가의 처녀가 스무 살이 넘도록 시집을 가지
않으려고 했다.
② 어느날 강물에서 큰 개가 나오는 바람에 기절을 하고 말았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개가 그녀 옆에 죽어 있었다.
③ 10개월이 지나자 처녀의 몸에서 아이가 태어났다.
그런데 아이는 노란색 머리털이 꼭 개의 털색과 같았다.
그녀는 아이가 개의 자식인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숨기고
‘오랑자’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 북방 민족은 개의 조상이다.
· 오랑캐의 시조 이야기
우리나라 북쪽에 살고 있는 모든 민족
④ 아이가 7~8세가 되자 그 사실을 이야기 했다.
아이는 강가를 찾아가 개를 묻은 곳에서 개의 형상을 한
백골을 파냈다.
⑥ 두만강이라는 큰 강을 건너 곡식이 잘 되는 곳으로 이사를 하였다.
거기서 아내를 얻어 살았으며 자손이 번창하였다.
⑤ 그는 이것을 명산에 묻어 주고,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오랑케라는 이름을 붙인 뒤에 고향을 떠났다.
☞ 犬祖 신화가 일찍이 南蠻의 것으로 문헌에 정착되기는
남만
하였지만, 북방문화와도 관련이 있음.
: 1.북극 일대에 살고 있는 에스키모인들의 犬祖 신화 역시
동북아시아에서 건너갔을 가능성이 짙음.
: 2.에스키모인은 동북아시아로부터 이 지역으로 이주하였다는
민족이동설에 의해서 그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음.
--> 아시아 지역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
① 옛날에 감무산에는 호수가 없었고 연못만이 있었다.
② 모쏘족(納西族)들의 조상이 연못에 사는 커다란 물고기를
발견하고 그 물고기를 조금씩 떼어내어 먹으면서 지냈다.
③ 어느날 한 남자가 아홉 마리의 소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끌어내려
했으나, 물이 점점 더 넘쳐 흘러서 지금의 호수가 되었다.
· 모쏘족들의 구전신화(운남성 영변지구)
④ ‘瀘古湖’ 또는 ‘母海’라고 불리는 이 호수는 여신 감무의 자궁이고
모해
여기에서 나오는 물은 남신과 여신의 화합수이다.
그리고 이 호수에서 생육되는 물고기들은 지금도 여신이 인간들에게
베푸는 것이다. -> 세드나가 바다 속에 살면서 인간들에게 수렵제공 하 는 것과 같은 맥락
여신은 호수의 출입을 남자들에게만 인정하고 있다
· 호수 주변의 모쏘족 → 모녀관계 위주 모권제 사회
: 남녀 모두 13세가 되면 성인식
(여자는 끝이 넓은 주름 치마를 입는 것)
아샤혼 (처가 방문혼)
· 산기슭의 푸미족 → 부자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권제 사회
: 지위의 계승과 재산 상속이 아버지로부터 아들 , 夫家居住
▶ ‘母海’는 수렵과 채취의 대상을 제공해주는 어머니
아
추천자료
[여성 생식기관][초경][월경][여성 생식과정][난자][임신][여성 성반응]여성 생식기관, 생식...
[북한여성][북한 여성정책][북한여성 지위][북한여성 사회참여][북한여성을 위한 사회보장제...
[여성생식기][자궁][생식호르몬][여성호르몬][임신][산전간호]여성생식기의 구조, 자궁의 구...
[여성빈곤][저소득층여성가장]여성빈곤과 여성가장빈곤 문제, 저소득층여성의 환경, 저소득층...
[저소득여성가장][저소득여성가장지원][저소득여성][여성가장][저소득층]저소득여성과 지역사...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 현대사회의 여성문제, 여성복지의 이해,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정책과 ...
[여성평화운동][여성평화운동의 의의][여성평화운동의 비전][여성평화운동의 현실][여성평화...
[여성운동][여성운동 뿌리][여성운동 이면][여성운동 약화][여성운동 현황][선진국 여성운동 ...
[여성운동][여성운동의 역사][여성운동의 전환][여성운동의 현황][여성운동의 쇠퇴][여성운동...
[여성교육론]여성에 대한 인식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 여성문화 혹은 여성과 가족과 관련...
[여성교육론]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 ‘여성문화’ 혹은 ‘여성과 가족’과...
[여성복지] 취업여성의 여가활동 제약요인 분석과 대안 (취업여성 여가 활동 방안, 취업여성 ...
[기혼여성의 성차별 실태와 심각성] 기혼여성의 성차별과 현 위치 - 기혼여성의 성차별 원인,...
[여성복지] 여성복지사업의 현황을 기술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 사례를 제시한 후 그 사례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