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1. 생명과학에서 본 운동의 필요성
chapter2. 건강의 개념
chapter3. 건강관리에 필요한 운동량
chapter4. 건강을 증진시키는 운동 지식
chapter5. 운동과 에너지 시스템
chapter6. 운동프로그램 작성
chapter7. 운동처방의 원리
chapter8. 체중관리
chapter9. 스트레스와 운동
chapter10. 웃음의 건강학
chapter11. 성인병과 운동
chapter12. 여성과 운동
chapter2. 건강의 개념
chapter3. 건강관리에 필요한 운동량
chapter4. 건강을 증진시키는 운동 지식
chapter5. 운동과 에너지 시스템
chapter6. 운동프로그램 작성
chapter7. 운동처방의 원리
chapter8. 체중관리
chapter9. 스트레스와 운동
chapter10. 웃음의 건강학
chapter11. 성인병과 운동
chapter12. 여성과 운동
본문내용
*위급시 응급 행동 요령*
호흡과 순환
-공기: 산소 21%, 질소 79% (인체는 실제 5%의 산소만을 사용.)
cf. 인공호흡x - 구조호흡o
-혈액: 체중의 약 8%. (20% 이상 출혈시- 생명이 위험, 30% 이상 출혈시- 사망)
-맥박: 성인 60~80회/분 (60회 이하- 서맥, 100회 이상- 빈맥)
cf. 성인이나 어린이의 맥박은 경동맥 체크- 우리 몸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박동하기 때문.
영아의 맥박은 겨드랑이쪽 체크- 의식 확인은 간지럼을 태운다.
맥박은 검지와 중지로 체크- 엄지에는 자신의 맥이 뛰기 때문.
-호흡: 성인 18~22회/분
-1회 호흡량: 성인 500cc, 유아 400cc, 영아(생후 1년) 300cc.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크기는 250~350g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큼.
-흉골을 중심으로 2/3정도 좌측으로 치우침.
-2개의 방과 실로 구성.
-4개의 판막.
-혈액 펌프 기능.
-심폐소생술: 5분 이상 심장 멈춤, 뇌사 상태.
위급시 행동요령
1. check (현장조사)
(1) 현장은 안전한가?
(2) 무슨일이 일어났는가?
(3) 몇 명이나 다쳤는가?
(4) 나를 도와줄 사람이 있는가?
2. call (연락)
(1) 119/ 112/ 1339(임산부)
(2) 위치, 상태, 부상 인원, 연락처를 알려준다.
(3) 먼저 끊지 않는다.
c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3. care (처치 및 도움)
(1) 호흡계, 순환계 확인.
(2) 필요한 정보 수집.
(3) 생체징후조사.
(4) 부상여부조사.
쇼크(shock)
1. 자세
-환자의 머리를 낮게 하면 의식을 잃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다리를 올리면 생명유지에 필요한 혈액 공급을 좋게 할 수 있다.
2. 보온
-직접 열을 받을 수 있는 물건(뜨거운 물병..)의 사용은 금기 사항이다.
-외투나 담요로 덮어 주어 추위에서 보호한다.
cf. 신문(잉크 바른 모든 종이)- 방습효과 때문에 따뜻하다.
3. 음료
-음료는 절대 주지 않는다.
cf. 토할 때 등을 두드리지 않는다.- 근육이 위축 되서 식도가 줄어들기 때문.
chapter1. 생명과학에서 본 운동의 필요성
1. 계통발생학적 의미
-과거 2~3만년전 이후 인간의 직립 보행이 가능해지면서 손, 도구사용, 불사용, 집단구성, 수렵이나 채집 생활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생활의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언어 사용에 의한 의사소통 능력이 발달 되면서 인간은 문화와 문명을 발달, 전달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조직 활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자연에서의 활동적인 생활은 과거 200~300년 후부터 생산 기술의 기계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현저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과거 40~50년간 급속한 정보의 생산성과 처리능력 발달은 더욱더 인간의 생활이 자연으로부터 격리시켰다.
-사회생활에서도 지적정보에 대한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와 경쟁을 해야 하는 경쟁적인 생활로 변화시켰다.
2. 개체발생학적 의미
-유전현상 중에서도 인간은 지적 또는 운동 능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특질을 갖고 있다.
-태아기의 발육 단계에서 모체의 영향이나 정신적/ 신체적 상태가 부적당할 경우에는 잘 지속 되어 온 유전 형질이 정상적인 발현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모친이 섭취하는 약물, 기호품 또는 사회적/ 심리적 긴장이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신생아가 출생시에 경험하는 신체적/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기 위해 사랑스런 대화와 접촉이 중요하다. 신생아가 수용하는 범위에서 애정의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기(생후1년~6년)는 운동과 관계있는 걷기의 발달, 외계에 대한 물리학적 법칙의 구체적인 이해, 자기의 신체에 대한 인식 혹은 자기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시기다.
-3~5세 시기에는 운동을 과도하게 시켜서는 안된다. 이시기에는 신체 지배의 다양한 기술이 크게 학습 가능성을 갖기 때문에 유희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운동의 기회를 부여하고 자기 테스트적인 도전을 시키는 것이 좋다.
-초등학교 단계(6~12세)에서는 다양한 기본적인 신체능력과 관련하여 일정한 숙달 단계를 얻게 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사춘기에는 스포츠 활동 중에서 지식, 기술, 체력을 필요로 하는 과제에 적극적인 도전을 시킴으로써 정신적/ 신체적으로 일시적인 불안정을 극복하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
-17~18세부터 30세까지의 기간에는 개인의 생애에서 최고의 신체활동을 달성할 수 있다.이 시기에는 개인이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유능한 사회인이 되기 위한 최종의 준비 기간이다. 건강하고 높은 체력 수준은
호흡과 순환
-공기: 산소 21%, 질소 79% (인체는 실제 5%의 산소만을 사용.)
cf. 인공호흡x - 구조호흡o
-혈액: 체중의 약 8%. (20% 이상 출혈시- 생명이 위험, 30% 이상 출혈시- 사망)
-맥박: 성인 60~80회/분 (60회 이하- 서맥, 100회 이상- 빈맥)
cf. 성인이나 어린이의 맥박은 경동맥 체크- 우리 몸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박동하기 때문.
영아의 맥박은 겨드랑이쪽 체크- 의식 확인은 간지럼을 태운다.
맥박은 검지와 중지로 체크- 엄지에는 자신의 맥이 뛰기 때문.
-호흡: 성인 18~22회/분
-1회 호흡량: 성인 500cc, 유아 400cc, 영아(생후 1년) 300cc.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크기는 250~350g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큼.
-흉골을 중심으로 2/3정도 좌측으로 치우침.
-2개의 방과 실로 구성.
-4개의 판막.
-혈액 펌프 기능.
-심폐소생술: 5분 이상 심장 멈춤, 뇌사 상태.
위급시 행동요령
1. check (현장조사)
(1) 현장은 안전한가?
(2) 무슨일이 일어났는가?
(3) 몇 명이나 다쳤는가?
(4) 나를 도와줄 사람이 있는가?
2. call (연락)
(1) 119/ 112/ 1339(임산부)
(2) 위치, 상태, 부상 인원, 연락처를 알려준다.
(3) 먼저 끊지 않는다.
c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3. care (처치 및 도움)
(1) 호흡계, 순환계 확인.
(2) 필요한 정보 수집.
(3) 생체징후조사.
(4) 부상여부조사.
쇼크(shock)
1. 자세
-환자의 머리를 낮게 하면 의식을 잃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다리를 올리면 생명유지에 필요한 혈액 공급을 좋게 할 수 있다.
2. 보온
-직접 열을 받을 수 있는 물건(뜨거운 물병..)의 사용은 금기 사항이다.
-외투나 담요로 덮어 주어 추위에서 보호한다.
cf. 신문(잉크 바른 모든 종이)- 방습효과 때문에 따뜻하다.
3. 음료
-음료는 절대 주지 않는다.
cf. 토할 때 등을 두드리지 않는다.- 근육이 위축 되서 식도가 줄어들기 때문.
chapter1. 생명과학에서 본 운동의 필요성
1. 계통발생학적 의미
-과거 2~3만년전 이후 인간의 직립 보행이 가능해지면서 손, 도구사용, 불사용, 집단구성, 수렵이나 채집 생활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생활의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언어 사용에 의한 의사소통 능력이 발달 되면서 인간은 문화와 문명을 발달, 전달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조직 활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자연에서의 활동적인 생활은 과거 200~300년 후부터 생산 기술의 기계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현저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과거 40~50년간 급속한 정보의 생산성과 처리능력 발달은 더욱더 인간의 생활이 자연으로부터 격리시켰다.
-사회생활에서도 지적정보에 대한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와 경쟁을 해야 하는 경쟁적인 생활로 변화시켰다.
2. 개체발생학적 의미
-유전현상 중에서도 인간은 지적 또는 운동 능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특질을 갖고 있다.
-태아기의 발육 단계에서 모체의 영향이나 정신적/ 신체적 상태가 부적당할 경우에는 잘 지속 되어 온 유전 형질이 정상적인 발현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모친이 섭취하는 약물, 기호품 또는 사회적/ 심리적 긴장이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신생아가 출생시에 경험하는 신체적/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기 위해 사랑스런 대화와 접촉이 중요하다. 신생아가 수용하는 범위에서 애정의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기(생후1년~6년)는 운동과 관계있는 걷기의 발달, 외계에 대한 물리학적 법칙의 구체적인 이해, 자기의 신체에 대한 인식 혹은 자기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시기다.
-3~5세 시기에는 운동을 과도하게 시켜서는 안된다. 이시기에는 신체 지배의 다양한 기술이 크게 학습 가능성을 갖기 때문에 유희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운동의 기회를 부여하고 자기 테스트적인 도전을 시키는 것이 좋다.
-초등학교 단계(6~12세)에서는 다양한 기본적인 신체능력과 관련하여 일정한 숙달 단계를 얻게 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사춘기에는 스포츠 활동 중에서 지식, 기술, 체력을 필요로 하는 과제에 적극적인 도전을 시킴으로써 정신적/ 신체적으로 일시적인 불안정을 극복하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
-17~18세부터 30세까지의 기간에는 개인의 생애에서 최고의 신체활동을 달성할 수 있다.이 시기에는 개인이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유능한 사회인이 되기 위한 최종의 준비 기간이다. 건강하고 높은 체력 수준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