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설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배 이하.
(3)직사각형 단면의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개수는 4개로 하고,
순간격은 40mm 이상, 또는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4)띠철근은 다음 규정을 따라야한다.
① D32 이하의 종방향 철근은 d10 이상의 띠철근으로
D35 이상의 종방향 철근은 D13 이상의 띠철근으로 둘러싸야 한다.
② 띠철근의 수직 간격은 다음 값 중, 작은 값 이하로 해야 한다
(가) 종방향 철근의 16배
(나) 띠철근 지름의 48배
(다) 기둥 단면의 최소지름
2) 나선철근 기둥
(1) 단면의 심부지름은 200mm 이상, 큰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21MPa 이상
(2)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Ag의 0.01배(1%) 이상, 0.08(8%) 이하
(3)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개수는 6개로 하고,
순간격은 40mm 이상, 또는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4) 나선철근은
나선철근비 값 이상
순간격은 25mm 이상, 75mm 이하
* kg : 질량
* 무게의 단위는 kgf 와 N 두 가지가 있다.
1) kgf는 국제단위이고,
2) N는 공학단위
1kg 9.8 = 9.8N = 1kgf(키로그램포스)
kgf = 지구상에서의 힘 또는 무게의 단위로
질량 1kg의 물체를 9.8m/s2의 속도로 움직이는 힘( = 9.8kg.m/s2 =9.8N)
N = 국제적인 힘의 단위로
질량 1kg의 물체를 1m/s2의 속도로 움직이는 힘( = 1/9.8kgf)
Pa =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 즉 압력의 단위로 1N/m2입니다
1kgf/cm2 = 9.8N/0.0001m2 입니다. (여기서 1kgf = 9.8N. cm2 = 0.0001m2)
9.8N/0.0001m2 = 98000N/m2 = 98000Pa = 0.098MPa = 약 0.1MPa
* 1kgf/cm2 = 9.8N/0.0001m2 = 98000N/m2 = 98000Pa = 0.098MPa = 약 0.1MPa
* 압축강도의 단위 MPa(마이클로 파스칼)를 사용한다.
210kg/cm2 = 21MPa, 240kg/cm2 = 24MPa, 300kg/cm2 = 30MPa
철근의 기준항복강도(fy) 분포하중(tf/m), 휨 모멘트(tf.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
제 8장 철골구조
1. 개요
1) 장점 : 강도가 커서 단면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시공성이 좋아 공사기일을 단축할 수 있다.
큰 간사이 건물과 초고층 빌딩에 널리 이용된다.
2) 단점 : 길이에 비해 두께가 얇아 좌굴(buckling)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고열에 강도저하와 변형되기 쉽고,
진동과 음향전달이 잘되며 녹슬기 쉽다.
2. 구조용 강재
* 구조용 압연강재(rolled steel) : 건물 뼈대에 사용하는 열처리나 표면처리를 하지 않는
연강 (강재에 탄소함유량이 0.12-0.3%)
* 연철, 강철, 주철
1) 강재의 종류
(1) 강판(plate)
박강판(steel sheat) : 두께 1.2mm- 3.0mm
후강판(steal plate) : 두께 3.0mm 이상
평강(plat bar) 또는 대판(tie plate) : 강판을 필요한 너비로 잘라 띠모양으로 만든 것
(2) 형강(shap steel) : 강재를 단일재나 조립재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만든 형강.
① L형강(leg angle) : 트러스, 중도리, 가새, 기둥 보 등의 조립재, 기타
② I 형강(I beam) : 기둥, 보
③ ㄷ형강(channel) : 기둥, 보, 샛기둥, 지붕틀의 현재에 사용
④ H형강(H beam) : 기둥, 보, 조립재에 사용
* 표시방법 : 형강 - H(높이) B(폭) t1(웨브 두께) t2(플랜지 두께)
(3) 평강(flat bar) : 래티스재로 조립재로 사용
* 표시방법 : FB-B(폭) t(두께)
(4) 강판(flate) : 거싯플래이트, 플레이트 기둥이나 래티스보의 빗재로 사용.
* 표시방법 : PL-t(두께)
(5) 봉강(원형강 : round bar) : 가새, 경미한 트러스나 래티스 기둥이나 래티스보의 빗재
* 표시방법 : d(직경)
(6) 강관(pipe) : 강관구조에 사용
* 표시방법 : D(외경) -t
(7) 각형강관(square pipe) : 기둥, 보, 난간두겁대 등에 사용
* 표시방법 : ㅁ -A B t
(8) 경량형강
경량 ㄷ자형강 : 띠장, 중도리
경량 Z자형강 : 띠장, 중도리
경량 L자형강 : //
립 ㄷ형강 : 단일재, 조립재로 경량형강 중에서 가장 많이 쓴다.
해드형강 : 장선, 샛기둥 등에 쓰인다.
3. 부재의 접합
접합(joint) : 절점, 지점, 이음, 맞춤의 총칭.
접합방법 : 리벳접합, 볼트접합, 용접접합, 핀접합
1) 리벳접합
(1) 리벳접합(rivet joint)
① 리벳의 종류 : 둥근리벳, 민리벳, 평리벳, 둥근민리벳
② 리벳지름 : 16-25mm의 둥근리벳 사용,
③ 리벳구멍지름 : 리벳지름 20mm 미만은 리벳의 구멍지름은 1.0mm 크게 한다.
리벳지름 20mm 이상은 리벳의 구멍지름은 1.5mm 크게 한다.
(2) 리벳의 배치
① 게이지 라인(gauge line) : 접합재의 길이방향 리벳 중심선
② 게이지(gauge) : 게이지 라인 상호간격
③ 피치(pitch) : 게이지 라인상의 리벳간격
최소 피치 : 리벳 지름의 2.5배 이상 4배 이하
④ 리벳의 배치 : 게이지 라인이 2개 이상 일 때, 정열배치와, 마름모배치가 있다.
⑤ 연단거리 : 접합재 끝에서 첫 리벳구멍 중심까지의 거리, 앞거리와 옆거리가 있다.
⑥ 클리어런스(clearance) : 리벳접합에서 리벳터와 당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시공상 필요한 거리
(참조 P191) 표 8-3 형강의 게이지, 표 8-4 리벳의 피치, 표 8-5 연단거리
(3) 접합형식
① 이음
가, 겹침이음
나, 덧판이음 : 한 면 덧판이음, 양면 덧판이음
* 겹침이음과 한 면 덧판이음은 편심에 의한 변형이 되므로 양 면 덧판이음을 사용
② 접합
가,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 접합
나, L형강 접합
* 모든 접합에는 리벳을 2개 이상치고, 게이지 라인에 리벳치기는 6개 이하로 한다.
2) 볼트접합
* 접합재의 볼트구멍을
  • 가격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2.01
  • 저작시기202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