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호르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 념
1) 호르몬 이란?
2) 환경 호르몬 이란?
3) 환경 호르몬 용어

2. 환경호르몬의 구분
1) 약물성 내분비교란물질
2) 자연성 내분비교란물질
3) 환경성 내분비교란물질

3. 발생 원인

4. 메카니즘
1) 내분비 교란 메카니즘
2) 내분비 교란 물질의 작용 메카니즘

4. 내분비 교란성의 화학물질
1) 의약품
2) 유기염소계의 살충제
3)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
4) 다이옥신류(dioxins)
5) 알킬페놀류(alkylphenols)
6) 식물성 에스트로젠(phytoestrogens)

5. 생태계 및 인체에 대한 영향
1) 야생동물에 미치는 영향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6. 대 책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나 세균 감염으로 죽었지만 PCB와 DDT의 조직 내 농도가 높았던 항구 물개들 등이다.
그 피해를 다음의 그림에 나타내었다.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환경호르몬은 정상적인 호르몬분비에 이상을 일으켜 인체의 면역성 저하, 정자수 감소, 호르몬 관련 암의 유발, 선천적 기형, 불임, 자궁내막증, 발육장애 및 기능저하 등을 가져온다. 또한, 여성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성호르몬의 양을 변화시켜서 남성의 경우 여성화를 가져오거나 무정자증을 유발하여 생식기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작용한다.
특히, 임신여성과 유아가 환경호르몬에 더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인체 생리작용은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친화력을 갖는 호르몬이 결합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일어나는데, 환경호르몬은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을 닮아 마치 자신이 에스트로겐인 양 흉내를 낸다. 그래서 진짜 호르몬 대신 수용체와 결합해 몸 속의 세포로 하여금 가짜 신호를 발생시켜 이상 생리작용을 유도하거나 진짜 호르몬의 작동을 방해한다.
에스트로겐은 생식기관의 정상적 발달에 결정적 구실을 한다. 때문에 임신한 모체가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면 태아가 성인으로 자라는 과정에서 생식기관 성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임신 초기 여성, 3살 이하 유아들은 환경호르몬 물질을 멀리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간 질환 환자 등 면역력이 약화돼 있는 중환자들에게도 환경호르몬의 독성은 나쁜 영향을 미친다.
6. 대 책
다이옥신 등 개별 유해물질을 규제하는 나라는 많지만 환경호르몬 전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 중인 나라는 몇몇 선진국뿐이다. 일본 환경청은 연구반을 설치해서 어류를 대상으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했으며, 노동성은 유해화학물질 제조업체의 노동환경을 재조사 중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1998년 3월에 환경호르몬에 대한 회의를 갖고 검사방법 개발에 나섰다.
다이옥신 파동으로 음식과 관련된 환경문제가 두려움을 주고 있다. 특히 환경 호르몬은 호르몬 분비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운동연합에서는 생활 속에 환경호르몬 다이옥신을 피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추천하고 있다.
1) 환경호르몬을 피하는 방법
지방질이 많은 육류보다는 곡류채소과일을 많이 먹고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또는 랩으로 음식을 씌워 데우는 일은 삼가는 것이 좋다. 또 1회용 식품용기 사용을 자제하고 담배를 끊는 것도 피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치과에서 아말감을 쓰지 말고 성분표시가 막연히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쓰인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결국 환경호르몬으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스스로가 소비생활 유형을 바꾸는 등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은 환경호르몬을 피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생활요령을 권장하고 있다.
① 유기농산물을 먹는다.
국내 추정 환경호르몬 67개 성분 가운데 농약이 41종이다. 따라서, 농약을 사용하는 농산물 대신 가급적 유기농산물을 먹는 것이 좋다.
② 아기에게 모유를 먹인다.
플라스틱 분유병은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가 원료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다. 모유는 아기에게 최상의 식품이다. 분유 수유가 불가피하면 유리 젖병을 쓴다.
③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인다.
플라스틱 용기에 뜨겁고 기름기 있는 음식을 담으면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다. 플라스틱 우유통은 고환암과 백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환경호르몬 비스페놀 A를 원료로 하는 폴리케보네이트로 만들기 때문이다. 평상시에는 관계없으나 뜨거운 물이나 기름을 넣으면 비스페놀이 용출된다. 학교급식용기에도 비스페놀 제품이 있다. 가급적 플라스틱 우유통 사용을 줄이고, 급식판은 오래된 것보다는 새 것이 좋다. 헌 것일수록 환경호르몬 용출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불가피하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제품을 선택한다.
④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 한다.
플리스틱 쓰레기 등을 태우면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이 나오고 산업폐기물 처리장의 침출수에도 환경호르몬이 용출된다. 쓰레기 분리수거와 부피 줄이기에 노력한다.
⑤ 스티로폼 용 컵라면의 이용을 줄인다.
컵라면 용기의 90%는 발포스티로폼으로 제조되어 있다. 원료인 스틸렌은 발암성이 있는 환경호르몬이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컵라면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하지 말고 내부 코팅제에서 비스페놀A가 나오는 음료수 캔을 데워먹지 않는다.
⑥ 염소 표백한 세정제위생용품의 사용을 줄인다.
염소제로 표백한 휴지 등 보다 표백이 덜 된 제품이 건강에 이롭고 소각할 때 다이옥신이 덜 나온다.
⑦ 어린이 장난감을 주의해서 고른다.
어린이 장난감 염화비닐제품(PVC)으로 만들어진 치아발육기나 아기용 장난감에서 발암성 물질인 프탈산에스테르가 용출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장난감을 고를 때 PVC보다 부드러운 재질인 폴리에틸렌 제품이나 천연목재 등으로 만든 제품이 안전하다.
2) 다이옥신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다이옥신은 지용성이어서 주로 동물의 지방조직에 녹아들어 있다. 어패류, 육류는 지방을 떼어내 먹도록 하고 되도록 저지방 유제품을 섭취한다. 생선의 경우 지방이 많은 내장, 아가미, 껍질, 비늘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무조건 각종 육류의 섭취를 줄여 식욕을 감소시키는 식생활을 하기보다는 육류의 융점, 즉 지방이 녹는 온도를 이용해 조리하면 영양부실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닭고기의 경우 융점이 낮으므로 뜨거운 물에 데치거나 삶아 기름기를 뺀 다음 조리하고, 돼지고기나 쇠고기는 융점이 170~180도 정도이므로 두꺼운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고온에서 지져내면 기름기와 함께 다이옥신도 녹아 나온다. 쇠고기를 지져 만드는 동파육, 뜨거운 물에 닭을 삶아내는 닭고기찜 등의 요리는 육류이면서도 맛도 좋고 또한 다이옥신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건강 음식 메뉴다.
7. 참고 문헌
도둑맞은 미래: 환경 호르몬의 실체를 최초로 밝힌다. 권복규. 사이언스북스
환경호르몬의 공포: 빼앗긴 미래. 손동헌. 종문화사
네이버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00310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2.0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