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마쿠라노소시(枕草子)
1. 서명
2. 세이쇼나곤(淸少納言)
3. 내용
Ⅲ. 마쿠라노소시(枕草子)의 지필배경
Ⅳ. 전기, 후기 일기회상적 장단 분석
Ⅴ. 일기회상적 장단에 나타난 희극적 요소
Ⅵ. 결론
※참고문헌
Ⅱ. 마쿠라노소시(枕草子)
1. 서명
2. 세이쇼나곤(淸少納言)
3. 내용
Ⅲ. 마쿠라노소시(枕草子)의 지필배경
Ⅳ. 전기, 후기 일기회상적 장단 분석
Ⅴ. 일기회상적 장단에 나타난 희극적 요소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해서는 이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수상적 장단에서는 유취적 장단, 회상적 장단 이외 내용은 여러 가지 이다. 996년의 고향집에 돌아가 있는 동안에 집필이 일단락 된 시점에서 쓰여졌을 것으로 생각되는 발문에는 세이 쇼나곤이 중궁 데이시로부터 천화의 사기(史記)에 대하여 마쿠라를 써야한다고 대답해서 종이를 얻었다는 것, 미나모토노 츠네후사가 찾아왔을 때 모심코 보여준 것이 유포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쓰여져 있는 것 등으로, 책명의 유래와 성립사정을 추측하게 한다. 김분숙, 『일본 고전문학의 해석과 감상』,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3, p112.
日本古典文大典(第五卷), 岩波書店, 1984, p512.
Ⅲ. 마쿠라노소시(枕草子)의 지필배경
헤이안시대 중기에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정권을 잡는데, 그 결과로 후지와라 가문은 확고부등의 자리를 차지한다. 게다가 가네이에의 장남인 미치타카는 993년에 섭정관백의 자리에 오르는데, 그 후 후지와라씨 가문은 정치는 물론 문화 전반을 담당하는 중추적 위치로까지 비약하여 전성기를 맞는다. 바로 이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를 나카노칸파쿠 가문이라고 부른다. 세이 쇼나곤이 출사하여 모신 중궁이 바로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의 딸 데이시定子(ていし)였다. 당시 권련의 핵심이 된 미치타카가는 18세인 장남 고레치카를 1년 사이에 종3위인 곤노추나곤까지 끌어올리고, 장녀인 데이시는 자기 가문의 영화와 권위를 배경으로 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입궐시켜 자신의 권세를 더욱 확고히 한다. 그 결과 가문은 융성기를 누리게 되는데, 특히 데이시의 입궐은 나카노칸파쿠 가문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였다. 마쿠라노 소시는 이 미치타카가를 중심으로 한 나카노칸파쿠 집안의 융성기와 중궁 데이시를 찬미하고자 쓴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세이 쇼나곤이 궁에 입궐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조토쿠 원년 4월 데이시의 아버지인 미치타카가는 당뇨병이 심해져 43세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 뒤 미치타카가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그의 장남 고레치카와 그의 동생 미치나가 사이에서 세력다툼이 벌어진다. 결과는 미치나가의 승리로 돌아가면서 중궁 데이시는 비운의 운명을 맞게 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데이시의 오빠이 고레치카는 내대신으로 대단히 촉망받는 인물이었다. 따라서 관백직은 당연히 그에게 내려질 것으려 여겨졌으나, 예상과는 달리 삼촌인 미치가네에게 주여졌다. 이는 이치조 천황의 생모 히가시산조 센시가 천황을 설득하여 미치가네에게 관백의 자리를 주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미치가네도 전염병으로 세상을 뜨고 만다. 그 후 고레치카는 관백직이 자신에게 올 것을 다시 한 번 기대하나, 이번에도 히가시산조 센시가 천황을 설득해 삼촌인 미치나가가 관백에 오른다. 고레치카가 아닌 미치나가에게 관백 자리가 돌아간 것은 히가시산조인 센시가 지나칠 정도로 미치나가를 편애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권력욕이 강하고 고집스러운 고레치카의 성격이 주위 사람들의 반감을 산 것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 사이에 고레치카와 미치나가는 격론을 벌이고, 미치나가 시종과 데이시의 남동생인 다카이에의 시종이 충돌한다. 이후, 미치나가의 고레치카에 대한 경계는 점점 더 심해지는데, 미치나가는 마침내 조토쿠 2년(996) 중궁 데이시의 오빠 고레치카를 다자이의 권사로, 또 남동생 다카이에를 이즈모의 권수로 좌천시켜 중궁 데이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유배를 보낸다.
이러한 주가의 몰락과 함께 중궁 데이시도 비운을 맞이한다. 타고난 재능과 품위로 이치조 천황의 총애를 받았던 중궁 데이시는 형제인 고레치카와 다카이에가 유배를 간 996년에 궁궐에서 내
수상적 장단에서는 유취적 장단, 회상적 장단 이외 내용은 여러 가지 이다. 996년의 고향집에 돌아가 있는 동안에 집필이 일단락 된 시점에서 쓰여졌을 것으로 생각되는 발문에는 세이 쇼나곤이 중궁 데이시로부터 천화의 사기(史記)에 대하여 마쿠라를 써야한다고 대답해서 종이를 얻었다는 것, 미나모토노 츠네후사가 찾아왔을 때 모심코 보여준 것이 유포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쓰여져 있는 것 등으로, 책명의 유래와 성립사정을 추측하게 한다. 김분숙, 『일본 고전문학의 해석과 감상』,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3, p112.
日本古典文大典(第五卷), 岩波書店, 1984, p512.
Ⅲ. 마쿠라노소시(枕草子)의 지필배경
헤이안시대 중기에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정권을 잡는데, 그 결과로 후지와라 가문은 확고부등의 자리를 차지한다. 게다가 가네이에의 장남인 미치타카는 993년에 섭정관백의 자리에 오르는데, 그 후 후지와라씨 가문은 정치는 물론 문화 전반을 담당하는 중추적 위치로까지 비약하여 전성기를 맞는다. 바로 이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를 나카노칸파쿠 가문이라고 부른다. 세이 쇼나곤이 출사하여 모신 중궁이 바로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의 딸 데이시定子(ていし)였다. 당시 권련의 핵심이 된 미치타카가는 18세인 장남 고레치카를 1년 사이에 종3위인 곤노추나곤까지 끌어올리고, 장녀인 데이시는 자기 가문의 영화와 권위를 배경으로 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입궐시켜 자신의 권세를 더욱 확고히 한다. 그 결과 가문은 융성기를 누리게 되는데, 특히 데이시의 입궐은 나카노칸파쿠 가문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였다. 마쿠라노 소시는 이 미치타카가를 중심으로 한 나카노칸파쿠 집안의 융성기와 중궁 데이시를 찬미하고자 쓴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세이 쇼나곤이 궁에 입궐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조토쿠 원년 4월 데이시의 아버지인 미치타카가는 당뇨병이 심해져 43세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 뒤 미치타카가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그의 장남 고레치카와 그의 동생 미치나가 사이에서 세력다툼이 벌어진다. 결과는 미치나가의 승리로 돌아가면서 중궁 데이시는 비운의 운명을 맞게 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데, 데이시의 오빠이 고레치카는 내대신으로 대단히 촉망받는 인물이었다. 따라서 관백직은 당연히 그에게 내려질 것으려 여겨졌으나, 예상과는 달리 삼촌인 미치가네에게 주여졌다. 이는 이치조 천황의 생모 히가시산조 센시가 천황을 설득하여 미치가네에게 관백의 자리를 주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미치가네도 전염병으로 세상을 뜨고 만다. 그 후 고레치카는 관백직이 자신에게 올 것을 다시 한 번 기대하나, 이번에도 히가시산조 센시가 천황을 설득해 삼촌인 미치나가가 관백에 오른다. 고레치카가 아닌 미치나가에게 관백 자리가 돌아간 것은 히가시산조인 센시가 지나칠 정도로 미치나가를 편애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권력욕이 강하고 고집스러운 고레치카의 성격이 주위 사람들의 반감을 산 것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 사이에 고레치카와 미치나가는 격론을 벌이고, 미치나가 시종과 데이시의 남동생인 다카이에의 시종이 충돌한다. 이후, 미치나가의 고레치카에 대한 경계는 점점 더 심해지는데, 미치나가는 마침내 조토쿠 2년(996) 중궁 데이시의 오빠 고레치카를 다자이의 권사로, 또 남동생 다카이에를 이즈모의 권수로 좌천시켜 중궁 데이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유배를 보낸다.
이러한 주가의 몰락과 함께 중궁 데이시도 비운을 맞이한다. 타고난 재능과 품위로 이치조 천황의 총애를 받았던 중궁 데이시는 형제인 고레치카와 다카이에가 유배를 간 996년에 궁궐에서 내
추천자료
[고전문학사상론] 『변강쇠전』을 통해서 본 무교 사상
[고전문학] 홍길동전 경판· 완판 비교
[고전문학] <금방울전(金鈴傳)>연구
[고전문학] <금방울전>에 나타난 사상 연구
[고전문학] 홍길동전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
[고전문학] 숙영낭자전 연구
[고전문학] 연암소설 개관
[인문과학] [고전문학연습]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고전문학연습]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고전문학]방한림전 - 연구사검토, 작품의의
(고전문학)신라향가 처용가 분석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삼국유사
[고전문학의이해A+]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작품분석 및 작품해석
그리스 고전문학작가 작품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