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사정
1. 일반정보
2. 과거력 및 입원 경위
3. 신체사정
4. 정신 상태
5. 성장발달력
6. 가족력
7. 임상 심리검사
8. 임상 병리 검사
9. 약물 투여
10. 의학 진단명 (DSM-IV) 및 의사의 치료계획
II. 중심문제 사정 및 간호진단
III. 간호 계획 및 수행
1. 일반정보
2. 과거력 및 입원 경위
3. 신체사정
4. 정신 상태
5. 성장발달력
6. 가족력
7. 임상 심리검사
8. 임상 병리 검사
9. 약물 투여
10. 의학 진단명 (DSM-IV) 및 의사의 치료계획
II. 중심문제 사정 및 간호진단
III. 간호 계획 및 수행
본문내용
sychotics 200mg po
ZPD(Ziprasidone) : Antipsychotics 2T po
PRN - ATV(ativan)(Lorazepam) : Anxiolytics 1 ampoule IM
HP(haloperidol decanoate): antipsychotics 1 ampoule IM
Suspen(acetaminophen) : 해열, 진통,소염제 1T po
알마겔 현탁액(Almagel Suspension): 제산제 1 p
II. 중심문제 사정 및 간호진단
1.중심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진단을 내리시오.
2.Gordon의 PES체계를 토대로 간호진단을 진술하시오
1.실제적 문제의 진술
1)Part 1 : P(Problem) -> 비효율적 개인대처
Part 2: E(Etiologic factor) -> 불안
Part 3: S(sign or symptom) -> 병동의 누군가가 자신을 해할 것 같다는 피해망상
의료진에게 퇴원요구하며 112,114,119에 전화시도,
간호사에게 간식비를 스 스로 관리해야겠다며 돈을 요구함
활동프로그램 비참여와 산책시 걷는 운동이나 스포츠활동 없음.
2)Part 1 : P(Problem) -> 가족기능장애
Part 2: E(Etiologic factor) -> 가족의 부적절한 지지체계
Part 3: S(sign or symptom) -> 누님에게 전화시 욕설과 비난을 들음, 어머니의 수술 후 회복으로 면회거의 안됨, 가족과 연락시도하나 연락 잘 안됨
2.잠재적 문제의 진술
Part 1 : P(Problem) -> 폭력 잠재성 : 자해, 타해
Part 2: E(Etiologic factor) -> 스트레스의 분노반응
III.간호 계획 및 수행
1.목표 설정과 기술
1)신뢰감 증진
2)비위협적 환경조성
3)현실감의 강화와 명료화
4)신체적 안정감의 증진
5)약물치료를 통한 정신증상의 감소
6)대상자의 가족과 함께 치료에 협조
2.우선 순위 결정 (Maslow의 인간욕구 계층이론 참고)
1) 불안으로 인한 비효율적 개인대처
2)가족의 부적절한 지지체계로 인한 가족기능장애
3)스트레스의 분노반응과 관련된 폭력 잠재성 : 자해, 타해
3. 간호활동의 지시
4. 간호수행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1)Part 1 :
P(Problem) -> 비효율적 개인대처
Part 2:
E(Etiologic factor) -> 불안
Part 3: S(sign or symptom) ->
주관적 자료:
"병동의 누군가가 날
해할 것 같아요."
" 내 간식비 줘요, 맡
겨놓은 183만원돌려
줘요."
""퇴원하고 싶어, 나
가고 싶은 충동억제
가 안돼"
객관적 자료:
손떨림, 화난 표정으로 agitation보임.
의료진에게 퇴원요구
하며 가족과 112,114,
119에 전화시도,
간식비를 스스로 관리
해야겠다며 간호사에
게 돈을요구함.
활동프로그램 비참여
와 산책시 걷는 운동이
나 스포츠활동 없음.
*계획
1.불안수준 낮추기 위해 이완,지지 요법 계획
2.불안수준 높아지면 처방된 prn 약물 투여요청
*중재
1.환자에게 침착하게 접근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2.불안수준과 양상을 사정한다.
3.직접적이고 명료하게 현실상황을 지각시키며 치료적의사소통을 활용한다.
4.acting out시 prn약물인 ATV 1ampoule와 HP 1ampoule을 IM 으로 투여한다.
5.과거 환자가 스스로 쿠폰관리를 제대로 못하였음을 지각시킨다.
6.환자는 안전하고 피해를 당하지 않음을 확신시킨다.
7.5분간 환자옆에 있으면서 환자상태 관찰하고 정서적 지지하며 환자에게 퇴원할 시기가 아님을 인식시킨다.
8.산책시 운동,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해 신체적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1.환자가 의료진를 신뢰하지 못한다면 적절한 치료의 관계는 성립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3.환자는 복잡한 사고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4.자신의 행위를 통제하는데 약물이 도움될 수 있다.
HP는 정신병에 대한 유지요법으로 작용하며, ATV은 CNS에 작용하여 정온 작용을 나타냄. 불안증상을 감소시킨다.
6.환자가 안전한 환경을 인식하면 덜 위협적으로 느낀다.
8.현실접촉이 증가하면 비현실성으로 빠져드는 행위는 감소한다.
평가
5월1일 : sedation되지 않고 간호사실에 와서 여전히 183만원 돈을 요구함.5월2일 : 보호자에게 전화해 퇴원요청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보임.
동사무소에까지 전화함.
5월 9일: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함.
ZPD(Ziprasidone) : Antipsychotics 2T po
PRN - ATV(ativan)(Lorazepam) : Anxiolytics 1 ampoule IM
HP(haloperidol decanoate): antipsychotics 1 ampoule IM
Suspen(acetaminophen) : 해열, 진통,소염제 1T po
알마겔 현탁액(Almagel Suspension): 제산제 1 p
II. 중심문제 사정 및 간호진단
1.중심문제를 파악하고 간호진단을 내리시오.
2.Gordon의 PES체계를 토대로 간호진단을 진술하시오
1.실제적 문제의 진술
1)Part 1 : P(Problem) -> 비효율적 개인대처
Part 2: E(Etiologic factor) -> 불안
Part 3: S(sign or symptom) -> 병동의 누군가가 자신을 해할 것 같다는 피해망상
의료진에게 퇴원요구하며 112,114,119에 전화시도,
간호사에게 간식비를 스 스로 관리해야겠다며 돈을 요구함
활동프로그램 비참여와 산책시 걷는 운동이나 스포츠활동 없음.
2)Part 1 : P(Problem) -> 가족기능장애
Part 2: E(Etiologic factor) -> 가족의 부적절한 지지체계
Part 3: S(sign or symptom) -> 누님에게 전화시 욕설과 비난을 들음, 어머니의 수술 후 회복으로 면회거의 안됨, 가족과 연락시도하나 연락 잘 안됨
2.잠재적 문제의 진술
Part 1 : P(Problem) -> 폭력 잠재성 : 자해, 타해
Part 2: E(Etiologic factor) -> 스트레스의 분노반응
III.간호 계획 및 수행
1.목표 설정과 기술
1)신뢰감 증진
2)비위협적 환경조성
3)현실감의 강화와 명료화
4)신체적 안정감의 증진
5)약물치료를 통한 정신증상의 감소
6)대상자의 가족과 함께 치료에 협조
2.우선 순위 결정 (Maslow의 인간욕구 계층이론 참고)
1) 불안으로 인한 비효율적 개인대처
2)가족의 부적절한 지지체계로 인한 가족기능장애
3)스트레스의 분노반응과 관련된 폭력 잠재성 : 자해, 타해
3. 간호활동의 지시
4. 간호수행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1)Part 1 :
P(Problem) -> 비효율적 개인대처
Part 2:
E(Etiologic factor) -> 불안
Part 3: S(sign or symptom) ->
주관적 자료:
"병동의 누군가가 날
해할 것 같아요."
" 내 간식비 줘요, 맡
겨놓은 183만원돌려
줘요."
""퇴원하고 싶어, 나
가고 싶은 충동억제
가 안돼"
객관적 자료:
손떨림, 화난 표정으로 agitation보임.
의료진에게 퇴원요구
하며 가족과 112,114,
119에 전화시도,
간식비를 스스로 관리
해야겠다며 간호사에
게 돈을요구함.
활동프로그램 비참여
와 산책시 걷는 운동이
나 스포츠활동 없음.
*계획
1.불안수준 낮추기 위해 이완,지지 요법 계획
2.불안수준 높아지면 처방된 prn 약물 투여요청
*중재
1.환자에게 침착하게 접근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한다.
2.불안수준과 양상을 사정한다.
3.직접적이고 명료하게 현실상황을 지각시키며 치료적의사소통을 활용한다.
4.acting out시 prn약물인 ATV 1ampoule와 HP 1ampoule을 IM 으로 투여한다.
5.과거 환자가 스스로 쿠폰관리를 제대로 못하였음을 지각시킨다.
6.환자는 안전하고 피해를 당하지 않음을 확신시킨다.
7.5분간 환자옆에 있으면서 환자상태 관찰하고 정서적 지지하며 환자에게 퇴원할 시기가 아님을 인식시킨다.
8.산책시 운동,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해 신체적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1.환자가 의료진를 신뢰하지 못한다면 적절한 치료의 관계는 성립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3.환자는 복잡한 사고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4.자신의 행위를 통제하는데 약물이 도움될 수 있다.
HP는 정신병에 대한 유지요법으로 작용하며, ATV은 CNS에 작용하여 정온 작용을 나타냄. 불안증상을 감소시킨다.
6.환자가 안전한 환경을 인식하면 덜 위협적으로 느낀다.
8.현실접촉이 증가하면 비현실성으로 빠져드는 행위는 감소한다.
평가
5월1일 : sedation되지 않고 간호사실에 와서 여전히 183만원 돈을 요구함.5월2일 : 보호자에게 전화해 퇴원요청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보임.
동사무소에까지 전화함.
5월 9일: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함.
추천자료
정신분열증 (진단기준과 주요증상, 정신분열증의 역사, 원인, 정신분열증 치료, 유사한 정신...
[정신분열증] 조현병 (schizophrenia) (고찰, 역학, 원인, 임상양상, 진단, 경과 및 예후, 치료)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이론요약정리(단극적우울증, 양극적우울증, 자살, 정신분열증유형, 원...
[정신분열증의 음악치료] 정신분열증 원인과 정신분열증 증상, 정신분열증 음악치료 방법
[정신분열증 영화-셔터아일랜드 Shutter Island] 셔터아일랜드 영화 줄거리, 인물의 심리적 ...
[정신분열증의 인지행동치료] (증상, 원인, 치료, 사례) 정신분열증의 인지행동치료 증상, 정...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개념(정의), 유형(분류), 정신분열증 발병요인(원인),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조현병)의 개념(정의)과 요인(원인), 정신분열증 진단(검사)
정신분열증 환자의 증상, 정신분열증의 치료적 접근(정신분열증의 치료방법, 정신분열증 하위...
[정신분열증, 정신분열병] 정신분열증의 주요증상(사고장애, 지각장애, 정동장애, 사회적 장...
조헌병(정신분열증) 케이스(문헌고찰,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포함) A+++++
[정신분열증] 정신분열증의 원인 및 정의, 정신분열증의 증상(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분열...
정신분열증 환자였던 존 내쉬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뷰티풀 마인드보고 감상문을 제출. (뷰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