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PDP (Plasma Display Panel)의 개요
PDP의 간략한 개요
PDP의 정의
2. PDP의 특성
3. PDP의 약점
Ⅱ. 본 론
1. 구동원리 및 주요기술
(1) 제조공정
(2) 구동원리 및 구동방식
구동원리
구동방식 DC/AC
(3)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고효율 기술동향
고화질 기술동향
저가격 기술동향
2. 특허분석 및 적용사례
(1) 고효율화
(2) 고화질화
(3) 저가격화
(4) 친환경소재 개발
(5) 수명의 연장
3. PDP 특허 통계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1. PDP (Plasma Display Panel)의 개요
PDP의 간략한 개요
PDP의 정의
2. PDP의 특성
3. PDP의 약점
Ⅱ. 본 론
1. 구동원리 및 주요기술
(1) 제조공정
(2) 구동원리 및 구동방식
구동원리
구동방식 DC/AC
(3)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고효율 기술동향
고화질 기술동향
저가격 기술동향
2. 특허분석 및 적용사례
(1) 고효율화
(2) 고화질화
(3) 저가격화
(4) 친환경소재 개발
(5) 수명의 연장
3. PDP 특허 통계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DP 구동에 이용되고 있어 구동에 고성능 IC 가 필요합니다. 구동IC 의 가격이 총 패널가격에서 점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구동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구동 방법의 개선을 통해 구동 IC 가 점하는 비용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
높은 해상도
PDP는 궁극적으로 HDTV용으로 적합한 표시장치이며, 이에 필요한 약 300um 크기의 셀 피치는 이미 Monochrome PDP를 통해 구현된 바 있습니다. Color PDP도 같은 기술로 만들 수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각사의 PDP 특성을 보면 셀 피치와 휘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현재 40인치급 NTSC 방식의 PDP의 휘도가 최대 350㏅/㎡임을 감안하면 고휘도를 유지하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PDP를 만들기 위해서는 더욱 효과적으로 고온과 고효율 플라즈마를 만드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방진
특성
PDP는 CRT나 VFD와는 달리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진 특성이 좋으며, CRT가 안고 있는 고압에 의한 충격 파손과 같은 위험이 없기 때문에, 소련이나 미국에서 일찍부터 우주선이나 잠수함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습니다.
방열과 방한 특성
PDP는 각 Pixel에서 생성되는 Plasma가 격벽이나 전극의 온도가 -100℃∼100℃ 정도의 범위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PDP의 작동 온도 범위는 구동회로에 이용되는 반도체 소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PDP의 약점
위와 같은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PDP임에도 불구하고 이가 가지고 있는 단점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주 약점으로 꼽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점
내용
펄스 컨투어링 (False Contouring)
플라즈마 패널은 8비트 혹은 10비트로 표시됩니다. 이 숫자는 패널을 구동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비트수나, 패널 그 자체가 응답할 밝기 레벨의 단계를 나타냅니다. 비트의 수가 높아질수록, 패널이 재생할 수 있는 밝기의 단계는 더욱 미세하게 조절 가능합니다. 8비트의 패널이라면 256가지 색상을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0비트의 패널은 1024단계의 밝기에 대한 단계 표시가 가능합니다.
이 8비트 패널에서 3원색을 사용하면 총 1천670만 단계의 색상을 단계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8비트 패널은 \"펄스 컨투어링\"으로 명명되는 윤곽에 따른 노이즈가 나타납니다. 이는 밝기의 단계가 끊어진다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펄스 컨투어링은 어두운 장면에서나 콘트라스트비가 낮은 화면에서는 주위 밝기에 따른 단계가 자연스럽지 않게 이어지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햇살 비치는 화면은 아주 밝게 빛나지만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기술이 발달될수록 개선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낮은 콘트라스트 비
플라즈마 패널은 CRT형의 브라운관에 비해 콘트라스트비가 높지 않습니다. 어두운 부분의 블랙 색감이 회색으로 나타납니다. 플라즈마의 초기 콘트라스트 비는 300:1수준의 낮은 명암비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이 발달하여 800:1 이상의 높은 명암비를 보여주나 아직 CRT형 브라운관에 비해서는 낮은 명암비를 보여줍니다.
버닝
(BURNING) 현상
플라즈마 패널은 뉴스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적인 배너 이미지를 지속적인 화면 투사로 인한 버닝 현상을 겪습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하여 플라즈마 패널은 복구 할 수 없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고정이미지를 장시간 방영하지 말고 \"확장\" 또는 \"줌\"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배너 이미지를 축소시킴으로써 패널을 보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명
플라즈마 패널의 사용시간은 약 3만시간정도이며, 하루에 반나절가량인 12시간을 시청한다면 8년까지는 초기의 화질 40퍼센트의 손실이 발생됩니다. 플라즈마 패널 역시 CRT브라운관과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패널을 구성하는 형광체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광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높은 가격
PDP는 다른 디스플레이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들 수 있는데, 2001년 봄에는 50인치 PDP 가격이 약 3,000만원에 육박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술 개발에 힘입어 2002년에는 여름에는 50인치 PDP가 약 절반정도 가격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61인치 크기의 PDP 제품이 3,000만원 대 의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Ⅱ. 본론
1. 구동원리 및 주요기술
(1) 제조공정
PDP를 제조하는 공정은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게 됩니다. 실제로는 더 많은 공정이 있지만 간단하게 정리한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상판
ITO-glass 세정
ITO가 코팅 되어있는 유리 기판상의 오염물질을 제거
중성세제, NaOH 등 사용
ITO-전극패턴
ITO 전극을 설계치대로 패턴화
노광법을 많이 사용함
BUS 전극패턴
BUS 전극(보조 전극)을 형성함
인쇄법(Ag paste), 포토법(Ag 감광성 paste), Cr/Cu(Al)/Cr 박막적층(포토 에칭법, lift-off법 등)
Black stripe 패턴
비방전영역에 외광반사 억제용 패턴 형성
인쇄법, 포토법, BUS와 동시 소성법 등
투명 유전층 전면 도포
전극과 방전 가스 간을 절연시킴
가시광 투과율이 좋아야 함
를 많이 사용
Sealing용 Frit glass 도포
상판과 하판의 밀봉 목적
연화점이 배기 공정 온도보다 높아야 함
MgO 보호막 형성
투명 유전층 위에 MgO막 형성
① 2차 전자 방출 ② 유전층 보호막
② 하판
Glass 기판 세정
유리 기판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함
중성세제, NaOH 등 사용
어드레스 전극 패턴
어드레스 전극을 패턴화 시킴
노광법을 많이 사용함
하판 유전층 형성
전극과 방전 가스 간을 절연시킴
가시광 반사율이 좋아야 함
백색안료로 사용
Black stripe 패턴
셀 별로 독립적인 방전 공간 확보 역할과 형광체가 도포되는 기반 역할
모유리(Pb-B-Si-Al-O)에 filler 및 안료를 첨가
형광층 도포
격
높은 해상도
PDP는 궁극적으로 HDTV용으로 적합한 표시장치이며, 이에 필요한 약 300um 크기의 셀 피치는 이미 Monochrome PDP를 통해 구현된 바 있습니다. Color PDP도 같은 기술로 만들 수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각사의 PDP 특성을 보면 셀 피치와 휘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현재 40인치급 NTSC 방식의 PDP의 휘도가 최대 350㏅/㎡임을 감안하면 고휘도를 유지하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PDP를 만들기 위해서는 더욱 효과적으로 고온과 고효율 플라즈마를 만드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방진
특성
PDP는 CRT나 VFD와는 달리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진 특성이 좋으며, CRT가 안고 있는 고압에 의한 충격 파손과 같은 위험이 없기 때문에, 소련이나 미국에서 일찍부터 우주선이나 잠수함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습니다.
방열과 방한 특성
PDP는 각 Pixel에서 생성되는 Plasma가 격벽이나 전극의 온도가 -100℃∼100℃ 정도의 범위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PDP의 작동 온도 범위는 구동회로에 이용되는 반도체 소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PDP의 약점
위와 같은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PDP임에도 불구하고 이가 가지고 있는 단점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주 약점으로 꼽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점
내용
펄스 컨투어링 (False Contouring)
플라즈마 패널은 8비트 혹은 10비트로 표시됩니다. 이 숫자는 패널을 구동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비트수나, 패널 그 자체가 응답할 밝기 레벨의 단계를 나타냅니다. 비트의 수가 높아질수록, 패널이 재생할 수 있는 밝기의 단계는 더욱 미세하게 조절 가능합니다. 8비트의 패널이라면 256가지 색상을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0비트의 패널은 1024단계의 밝기에 대한 단계 표시가 가능합니다.
이 8비트 패널에서 3원색을 사용하면 총 1천670만 단계의 색상을 단계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8비트 패널은 \"펄스 컨투어링\"으로 명명되는 윤곽에 따른 노이즈가 나타납니다. 이는 밝기의 단계가 끊어진다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펄스 컨투어링은 어두운 장면에서나 콘트라스트비가 낮은 화면에서는 주위 밝기에 따른 단계가 자연스럽지 않게 이어지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햇살 비치는 화면은 아주 밝게 빛나지만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기술이 발달될수록 개선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낮은 콘트라스트 비
플라즈마 패널은 CRT형의 브라운관에 비해 콘트라스트비가 높지 않습니다. 어두운 부분의 블랙 색감이 회색으로 나타납니다. 플라즈마의 초기 콘트라스트 비는 300:1수준의 낮은 명암비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이 발달하여 800:1 이상의 높은 명암비를 보여주나 아직 CRT형 브라운관에 비해서는 낮은 명암비를 보여줍니다.
버닝
(BURNING) 현상
플라즈마 패널은 뉴스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적인 배너 이미지를 지속적인 화면 투사로 인한 버닝 현상을 겪습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하여 플라즈마 패널은 복구 할 수 없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플라즈마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고정이미지를 장시간 방영하지 말고 \"확장\" 또는 \"줌\"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배너 이미지를 축소시킴으로써 패널을 보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명
플라즈마 패널의 사용시간은 약 3만시간정도이며, 하루에 반나절가량인 12시간을 시청한다면 8년까지는 초기의 화질 40퍼센트의 손실이 발생됩니다. 플라즈마 패널 역시 CRT브라운관과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패널을 구성하는 형광체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광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높은 가격
PDP는 다른 디스플레이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들 수 있는데, 2001년 봄에는 50인치 PDP 가격이 약 3,000만원에 육박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술 개발에 힘입어 2002년에는 여름에는 50인치 PDP가 약 절반정도 가격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61인치 크기의 PDP 제품이 3,000만원 대 의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Ⅱ. 본론
1. 구동원리 및 주요기술
(1) 제조공정
PDP를 제조하는 공정은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게 됩니다. 실제로는 더 많은 공정이 있지만 간단하게 정리한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상판
ITO-glass 세정
ITO가 코팅 되어있는 유리 기판상의 오염물질을 제거
중성세제, NaOH 등 사용
ITO-전극패턴
ITO 전극을 설계치대로 패턴화
노광법을 많이 사용함
BUS 전극패턴
BUS 전극(보조 전극)을 형성함
인쇄법(Ag paste), 포토법(Ag 감광성 paste), Cr/Cu(Al)/Cr 박막적층(포토 에칭법, lift-off법 등)
Black stripe 패턴
비방전영역에 외광반사 억제용 패턴 형성
인쇄법, 포토법, BUS와 동시 소성법 등
투명 유전층 전면 도포
전극과 방전 가스 간을 절연시킴
가시광 투과율이 좋아야 함
를 많이 사용
Sealing용 Frit glass 도포
상판과 하판의 밀봉 목적
연화점이 배기 공정 온도보다 높아야 함
MgO 보호막 형성
투명 유전층 위에 MgO막 형성
① 2차 전자 방출 ② 유전층 보호막
② 하판
Glass 기판 세정
유리 기판상의 오염 물질을 제거함
중성세제, NaOH 등 사용
어드레스 전극 패턴
어드레스 전극을 패턴화 시킴
노광법을 많이 사용함
하판 유전층 형성
전극과 방전 가스 간을 절연시킴
가시광 반사율이 좋아야 함
백색안료로 사용
Black stripe 패턴
셀 별로 독립적인 방전 공간 확보 역할과 형광체가 도포되는 기반 역할
모유리(Pb-B-Si-Al-O)에 filler 및 안료를 첨가
형광층 도포
격
추천자료
PDP (Plasma Display Panel)
평면시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PDP(plasma pannel display)와 형광체
PDP(Plasma Display Panel)
PDP의 특성, 구동원리 및 주요기술, 특허분석 및 적용사례, 특허 분석 발표 자료
PDP(Plasma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와 특허 관련 시장의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
PDP(Plasma Display Panel)와 관련 시장의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