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의 및 논점
II. 합병과 근로관계의 이전
III. 합병과 근로관계
II. 합병과 근로관계의 이전
III. 합병과 근로관계
본문내용
와 노동조합을 포괄적으로 승계되므로 근로자는 불이익을 받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단체협약을 위반한 합병의 효과
단체협약에 조합의 승인 없이는 합병할 수 없다는 조항이 있는 경우 이를 회사가 위반하여 합병한 때 이런 협정은 단체협약 중 채무적 부분에 해당하므로 합병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고 다만 사용자는 채무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진다.
2) 단체협약을 위반한 합병의 효과
단체협약에 조합의 승인 없이는 합병할 수 없다는 조항이 있는 경우 이를 회사가 위반하여 합병한 때 이런 협정은 단체협약 중 채무적 부분에 해당하므로 합병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고 다만 사용자는 채무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과학] 한국의 노사관계에 대하여
단체협약에 대하여
한국의 노사관계에 대하여
합병에 대하여
근로시간 단축에 대하여
일본의 여성관련 노동관계법에 대하여
근로시간 단축에 대하여
노동기본권(근로기본권)의 중요성, 요건, 노동기본권(근로기본권)의 노동법, 국가별 제도, 노...
생활법률/10개의 문제 각각에 대하여 교재와 워크북, TV강의, 과제물 작성법 안내 동영상 자...
정부가 노동관계법을 통하여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영향을 주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자...
[노사관계론 공통] 한국 노사관계의 현황·특징·문제점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교과서를 중심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