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창마을 특성
2. 안창마을 인적자원
3. 안창마을 주요시설
4. 안창마을 지역조사
5. 안창마을 욕구조사
6.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의 제기
2) SWOT 분석
3) 약점에 의한 문제 유형 및 대책
4) 강점에 의한 대책
7.지역조사활동계획서
2. 안창마을 인적자원
3. 안창마을 주요시설
4. 안창마을 지역조사
5. 안창마을 욕구조사
6.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의 제기
2) SWOT 분석
3) 약점에 의한 문제 유형 및 대책
4) 강점에 의한 대책
7.지역조사활동계획서
본문내용
안창마을 지역조사 보고서
과 목 : 지역사회복지론
목 차
1. 안창마을 특성 .................................................. 3
2. 안창마을 인적자원 .............................................. 3
3. 안창마을 주요시설 .............................................. 4
4. 안창마을 지역조사 ............................................. 5
5. 안창마을 욕구조사 .............................................. 11
6.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의 제기 ..................................................... 13
2) SWOT 분석 ..................................................... 14
3) 약점에 의한 문제 유형 및 대책 ............................... 14
4) 강점에 의한 대책 ................................................16
7.지역조사활동계획서 ................................................. 18
1. 안창마을 특성
1) 유래
안창마을 이름의 뜻은 산골짜기의 제일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가 신발안창이라고 할 때처럼 안에 들어있는 마을 중 가장 끝 마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6.25 당시 피난민들이 이곳 산지마을에 모여 살았고 또한 이농 및 사업 실패자들이 유입되면서 지금의 안창마을이 형성되었다. 안창마을을 가로질러 흐르는 호계천을 중심으로 동구 범일6동, 진구 범천2동으로 나뉜다.
2) 지역여건
◎ 해발 160~200m로 분지 영세민 밀집지역
◎ 마을 중앙의 소하천을 경계로 동구 범일6동(인구 1천492명,면적 4만9천500㎡)과 부 산진구 범천2동(1천124명,4만4천500㎡)으로 양분
◎ 대부분 3~20평 규모의 노후불량 무허가 건축물로 형성
◎ 도로, 상하수도시설, 이미용 등 생활 기반시설 취약
◎ 대중교통 - 시내버스(29-1번)와 마을버스(동구1번)운행
◎ 용도지역 - 자연녹지지
◎ 개발제한구역으로 재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동구청에서 관련 용역을 진행 중
2. 안창마을 인적 자원
1) 인구 및 세대 현황
세 대
인 구
세대 당 인구
총
남
여
범일6동
15,16,17통
469
1230
612
618
2.62
범천2동
22,23통
401
928
494
434
2.31
출처 : 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2) 연령대별 인구 현황
1~15세
16~25세
26~35세
36~45세
46~55세
56~65세
65세
이상
범일6동
15,16,17통
110명
140명
204명
167명
214명
182명
209명
범천2동
22,23통
72명
117명
159명
102명
209명
142명
122명
출처: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3)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세대수
수급자수
총
범일6동
15,16,17통
58
110
세 대 수: 113
수급자수: 210명
범천2동
22,23통
55
100
출처 : 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3. 안창마을의 주요시설
구분
명칭
소 재 지
전화번호
관공서
범일6동사무소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4호
(범일동 1438-88)
051)440-4917
범곡파출소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2호
(범일동 1438-88)
051)647-6925
금융기관
범곡새마을금고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5호
(범일동 1438-186)
051)647-9002
교육기관
범일초등학교
부산광
과 목 : 지역사회복지론
목 차
1. 안창마을 특성 .................................................. 3
2. 안창마을 인적자원 .............................................. 3
3. 안창마을 주요시설 .............................................. 4
4. 안창마을 지역조사 ............................................. 5
5. 안창마을 욕구조사 .............................................. 11
6. 문제점 및 대책
1) 문제의 제기 ..................................................... 13
2) SWOT 분석 ..................................................... 14
3) 약점에 의한 문제 유형 및 대책 ............................... 14
4) 강점에 의한 대책 ................................................16
7.지역조사활동계획서 ................................................. 18
1. 안창마을 특성
1) 유래
안창마을 이름의 뜻은 산골짜기의 제일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가 신발안창이라고 할 때처럼 안에 들어있는 마을 중 가장 끝 마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6.25 당시 피난민들이 이곳 산지마을에 모여 살았고 또한 이농 및 사업 실패자들이 유입되면서 지금의 안창마을이 형성되었다. 안창마을을 가로질러 흐르는 호계천을 중심으로 동구 범일6동, 진구 범천2동으로 나뉜다.
2) 지역여건
◎ 해발 160~200m로 분지 영세민 밀집지역
◎ 마을 중앙의 소하천을 경계로 동구 범일6동(인구 1천492명,면적 4만9천500㎡)과 부 산진구 범천2동(1천124명,4만4천500㎡)으로 양분
◎ 대부분 3~20평 규모의 노후불량 무허가 건축물로 형성
◎ 도로, 상하수도시설, 이미용 등 생활 기반시설 취약
◎ 대중교통 - 시내버스(29-1번)와 마을버스(동구1번)운행
◎ 용도지역 - 자연녹지지
◎ 개발제한구역으로 재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동구청에서 관련 용역을 진행 중
2. 안창마을 인적 자원
1) 인구 및 세대 현황
세 대
인 구
세대 당 인구
총
남
여
범일6동
15,16,17통
469
1230
612
618
2.62
범천2동
22,23통
401
928
494
434
2.31
출처 : 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2) 연령대별 인구 현황
1~15세
16~25세
26~35세
36~45세
46~55세
56~65세
65세
이상
범일6동
15,16,17통
110명
140명
204명
167명
214명
182명
209명
범천2동
22,23통
72명
117명
159명
102명
209명
142명
122명
출처: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3)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세대수
수급자수
총
범일6동
15,16,17통
58
110
세 대 수: 113
수급자수: 210명
범천2동
22,23통
55
100
출처 : 범일6동, 범천2동 사무소 방문자료
3. 안창마을의 주요시설
구분
명칭
소 재 지
전화번호
관공서
범일6동사무소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4호
(범일동 1438-88)
051)440-4917
범곡파출소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2호
(범일동 1438-88)
051)647-6925
금융기관
범곡새마을금고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6동 엄광로 25호
(범일동 1438-186)
051)647-9002
교육기관
범일초등학교
부산광
추천자료
스칸디나비아반도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복지 제도
환동해권
「나무를 심은 사람」의 읽고 나서
실버타운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
충남지역의 노인간병보호서비스 실태조사와 결과분석
지역공동체(지역사회)의 의의, 지역공동체(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 지역공동체(지역사회)와 ...
지역사회 간호 (개론,과정.사업,보건행정, 가족간호,학교보건,산업간호,모자보건,질병관리) +...
06아웃리치, 방문서비스를 활용한 농어촌 조손가정 삶의 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 2011년 전국...
96농어촌 교통약자 지원 프로그램
관광을 통해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을 국민관광 정책차원에서 사례를 가지고 설명
사회복지, 지역별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광주광역시 남구 조사자료
대관령 관광특구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PPT자료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