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관절의 분류][관절의 원리][관절의 기능][관절의 구조][윤활관절][관절의 운동]관절의 정의, 관절의 분류, 관절의 원리, 관절의 기능, 관절의 구조, 관절과 윤활관절, 관절의 운동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관절의 분류][관절의 원리][관절의 기능][관절의 구조][윤활관절][관절의 운동]관절의 정의, 관절의 분류, 관절의 원리, 관절의 기능, 관절의 구조, 관절과 윤활관절, 관절의 운동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관절의 정의

Ⅲ. 관절의 분류
1. synarthrodial joint
2. amphiarthrodial joint(번관절)
3. diarthrodial joint
4. axis에 따른분류

Ⅳ. 관절의 원리

Ⅴ. 관절의 기능
1. 키네매틱사슬(Kinematic chains)
2. 관절운동(Joint motion)

Ⅵ. 관절의 구조
1. 관절
2. 활액(the synovial fluid)
3. 관절의 Biomechanics

Ⅶ. 관절과 윤활관절

Ⅷ. 관절의 운동
1. 관절면 운동(Arthrokinematic)
2. 골키네매틱(Osteokinematic)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결된 인대와 건은 관절면이 서로 접하도록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운동을 유도하는데 보조한다. 관절면의 분리는 관절낭, 건, 인대와 수동적 장력에 의해 한정된다. 근육의 능동적 장력역시 관절면의 분리를 제한한다.
관절낭은 운동의 방향과 율, 압축과 장력, 떨림과 통증을 인지한다.
관절 수용기들은 관절의 상황을 중추신경계에 전달한다. CNS는 관절 수용기에 의해 보내진 정보를 분석하고 관절이 필요한 운동성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관절 주위의 근육협응 활동으로 반응한다. 관절수용기로 부터온 정보는 CNS가 관절구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며, 조절된 운동을 생산하기 위해, 정적 혹은 역동적인 자세를 위한 관절위치의 감각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관절낭의 신장은 CNS가 그것을 감지하고 정상 가동범위의 한정을 지킬려고 할 것이다. CNS는 근육의 운동생산을 억제하고 운동을 멈추는 근육을 활성화 함으로써 신장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관절낭의 내측벽은 혈관분포가 많이 있으나 신경분포는 열악하다. 이것은 통증에 대해 둔감하지만 열 혹은 냉에 대해 반응하여 혈관의 확장과 축소를 일으킨다.
2. 활액(the synovial fluid)
활액의 하이알루노네트의 구성요소는 활액의 점성을 위해 작용하고 활막의 윤활성을 위해 팔수적이다. 하이할루노네이트는 관절면과 관절낭의 활막주름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루브리신은 활액의 구성요소이고, 양뼈의 연골이 마주칠 때 윤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액내에 있는 루브시닌 혹은 하이알루노네이트의 농도변화는 전체 윤활성과 마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활액관절에서 관절면 마찰계수는 많은 연구에서 관찰되었는데 제조된 어떤 윤활제보다 낮았다.
정상적인 활액은 맑고, 투명한 노랑색의 점액이며 모든 활액 관절에 적은 양이 있다. 영양공급은 활막층의 혈관과 관절낭 내강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교환되며, 생산된 노폐물은 확산에 의해 제거된다. 보통 슬관절과 같이 큰 관절로부터 0.5ml보다 작은 활액을 빼낼 수 있다. 그러나 관절이 손상되었다거나 질병이 있을 때 활액양은 증가한다.
활액은 점성 물질로써 체중 등과 같은 하중에 의해 생산되는 전단력에 대항하는 능력이 있다. 활액의 점성은 관절의 운동 속도와 전단력율에 반비례로 변화한다. 따라서 활액은 접촉하면 할수록 묽게 된다. 관절을 구성하는 뼈가 빨리 움직일 때 활액의 점성은 감소되도 운동에 대해서 저항을 감소시킨다. 관절을 구성하는 뼈가 천천히 움직일 때 점성은 증가되고 운동에 대해 저항이 증가된다. 고온은 점성을 감소시키고 저온은 점성을 증가 시킨다. 관절낭의 내벽은 엷은 활액으로 덮혀있고 관절면이 미끄럽도록 유지시키고 따라서, 양쪽뼈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활액은 연골에 영양공급도 한다.
3. 관절의 Biomechanics
1) statics(GK: Staticos, Ststsis = to stand)
정적인 상황에서 관절의 상태이다.
2) Kinesiology: The study of motion of the human body
관절들의 운동효과를 대상으로 하여 그 운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3) Dynamics(GK:Dynamis=force=kinetics)
The study of motion under the influence of physical forces
Ⅶ. 관절과 윤활관절
Plane joints은 대응되는 두 관절면이 거의 평면이며 면의 크기도 작아 서로 사이에 약간 미끌어지는 정도의 움직임만 이루어진다(예: 손목뼈사이관절 intercarpal joints, 봉우리빗장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s).
Hinge joints은 관절의 한쪽 면은 볼록 나와 있고 다른 한쪽 면은 쑥 들어가 있으며 두 뼈의 장축과 직각이 되는 수평 운동축을 따라 문의 경첩처럼 한 방향으로만 움직여지는 관절이다(예: 팔꿉관절 elbow joints, 발목관절 ankle joints).
Trochoid joints, pivot joints은 세로로 축을 가진 돌기가 제한된 원의 둘레 속에 회전하는 관절로서 맷돌의 위아래 짝을 맞추는 중쇠와 비슷하다. 실제로 중쇠관절에서 이 원을 이루는 것이 일부는 뼈이고 일부는 섬유로 된 인대의 고리이다(예: 몸쪽노자관절 proximal radioulnar joints, 정중고리중쇠관절 median atlantoaxial joint).
Bicondylar joints은 관절의 한쪽은 두 개의 공처럼 솟은 관절융기이고 다른 한쪽은 얕게 패인 평면이므로 굽힘, 폄과 약간의 돌림운동이 일어난다(예: 무릎관절 knee joints).
Ellipsoid joints, condyloid joints은 관절의 한 면은 볼록하게 나와 있고 다른 한면은 얕게 패어 있는데 뼈의 축과 짧은 축 모두가 운동축을 이루고 있어 굽힘, 폄 외에도 벌림,
모음운동이 가능하다(예: 손목관절 radiocarpal joints, 손허리손가락관절 metacarpo-phalangeal joints).
Ball-and-sochet joints)은 한 면은 공 또는 전구 모양이고 대응되는 또 한 면은 공 또는 전구가 들어맞을 수 있는 절구 또는 소켓모양의 관절이다. 이 형태의 관절은 여러 개의 운동축을 가지고 있어 운동 범위가 넓고 자유스럽다(예: 어깨관절 shoulder joints, 엉덩관절 hip joints).
Saddle joints은 두 관절면이 모두 말안장처럼 앞뒤와 좌우 두 방향으로 패어져 있는 관절로 이 관절 역시 비교적 많은 운동축을 가지고 있어 운동이 자유스러운 편이다(예: 엄지손가락의 손목손허리관절 carpometacarpal joint).
참고문헌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관절류마티스센터 홈페이지 http://www.kharc.com/
김려섭 - 슬관절, 군자출판사, 2003
박정태·박윤기 - 임상 정형외과학 개론, 현문사, 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골절학, 일조각, 1988
정형외과학, 대한정형외과학회
최영희 외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1999
LA Kapandjl - 관절생리학Ⅱ하지, 현문사, 1993

키워드

관절,   윤활관절,   ,   인대,   근육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