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미안(來美安)의 브랜드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래미안(來美安)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아파트 시장 분석

3. 경쟁사 분석

4. SWOT 분석

5. 브랜드 전략 분석

6. 향후 개선방안

7. 최종 결론

본문내용

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11) 나눔 경영
삼성은 임직원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무의탁노인 급식 배급활동, 사랑의 쌀 모으기 캠페인 등 소외된 이웃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사랑의 집짓기운동(Habitat)에 2000년부터 참여한 주택 건립비 지원은 물론 전문 인력과 자원봉사 인력 지원으로 무주택 서민의 보금자리 마련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2. 아파트 시장 분석
국내 건설시장에서 아파트의 독자적 브랜드가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8년 동아건설의 ‘솔레시티’부터라 할 수 있는데, 당시 동아건설에서는 기존 아파트 건축계획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오던 라멘조 아파트와는 차별화된 철골조 아파트를 제공함으로써, IMF로 얼어붙은 건설시장에서 성공적인 분양을 이끌었고 아파트 브랜드화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 이후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대형빌라, 주상복합건물 등 새로운 주거 형태가 등장하면서 점차 대형화, 고급화, 첨단화로 주거 패턴의 변화가 생기게 되었고, 기존의 아파트라는 개념으로는 새로이 등장한 주거문화를 담을 수 없기에 기업에서는 이전과 다른 개념의 이미지를 아파트에 담고자 아파트에 브랜드를 추진하였다. 현재 아파트 시장에서는 브랜드를 통해 아파트의 특징을 홍보하고, 주택을 하나의 상품으로 간주하면서 주택상품과 브랜드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아파트의 브랜드화는 큰 시대적인 트렌드(Trend)이며 이슈(Issue)이다.
아파트 브랜드의 출현배경 파악을 위해 국내 아파트 네이밍(naming)의 변천사를 정리하면 1960년대에는 지역을 중심으로 마포아파트, 와우아파트 등 아파트 이름에 지역을 포함하였다. 이후 아파트 시장이 성장하면서 현대아파트, 대림아파트, 삼부아파트 등 시공사가 중심이 되었으며 80년대 들어서는 삼성 마포아파트, 압구정 현대아파트 등 시공사와 지역을 중심으로 명칭이 형성되었다. 90년대 들어 신도시가 생기면서 시공사와 단지를 중심으로 하여 강산마을 청구아파트, 후곡마을 현대아파트 등 단지와 시공사를 중심으로 아파트이름이 결정되었고 후곡마을, 강선마을 등 단지의 이름이 시공회사보다 무게감 있게 다루어졌으며, 이때부터 시공사중심에서 단지이름 쪽으로 비중이 조금씩 옮겨갔다. 이후 IMF시 부동산 불경기의 타계책으로 기존과는 다른 브랜드가 중심이 되는 아파트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건설사별로 보다 세분화, 전문화된 브랜드 아파트를 개발/보급하고 있다.
브랜드란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경쟁자와 구별해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칭, 용어, 상징, 디자인 혹의 그의 결합체를 의미하며, 우리나라의 상표법에는 기업이 판매 또는 제공하는 상품에 관하여 다른 경쟁기업의 상품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 기회,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브랜드는 원래 다른 제품과 구별시켜주기 위한 이름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주택시장 주도권이 공급자에서 소비자로 이전과 소비패턴이 기능성 위주에서 상징성 중시로 변화됨에 따라 이제는 단지 제품을 다른 제품과 구별시켜주는 이름의 역할뿐만 아니라 그 제품에 대한 가치를 높여주는 무형적인 가치가 되고 부가가치가 큰 자산으로 변하고 있다. 브랜드란 그 자체로서 하나의 독립된 의미를 가져야한다. 그리고 브랜드아파트란 기업브랜드로서의 아파트가 아닌 순수 제품브랜드로서의 아파트를 의미하는데‘래미안(來美安)’의 경우 삼성이라는 기업이름을 제외해도 우리는 ‘래미안’이라는 이름하나로 충분히 다른 제품과 구분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홈타운’ ‘래미안(來美安)’ ‘e-편한세상’처럼 기업브랜드의 이미지보다 제품브랜드의 이미지가 강한 아파트를 브랜드 아파트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국내 브랜드 아파트는 크게 주상복합아파트와 아파트로 나눌 수 있는데, 주상복합아파트는 상층부는 주거의 기능이 저층부는 생활편익 기능이 배치된 형태로 기능을 중심으로 나누어진다. 주상복합아파트는 대형건설사의 거대한 자본이 참여하고 개발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하여 주거의 상품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주거문화로 이러한 주상복합아파트의 브랜드는 ‘-팰리스’ ‘-타워’ ‘하이-’등의 브랜드 네임을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뛰어난 조망과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강남 요지에 많이 세워지고 있다. 브랜드 이름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주상복합아파트의 브랜드는 고품격, 고급화를 지향한다. 고층아파트 브랜드는 편안한 공간임을 강조하는 브랜드로 영문 홈(‘Home), 타운(Town), 빌(Vill)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생활의 편리성을 강조하는 e, 닷(dot)을 사용하고 있다.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는 기존 아파트의 경우 전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차별화유형이 자연친화형, 건강중시형, 정보통신형, 정보기능형, 전통중시형, 전통요소도입형, 생활편의형, 주민화합형으로 나누어져있다. 그러나 브랜드아파트의 경우 이와는 달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첫째, 신개념의 디자인이다. 박스형태의 획일적인 형태를 지양하고 주동건물의 중심부분을 오픈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건물이 디자인되고 있다. 또 아파트 단지에는 색채와 야간 경관조명 등을 활용하여 인접지역과는 다른 차별화된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단지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아파트 구조에 대한 계획요소의 증대이다. 내진/내풍구조를 차별화계획요소로 내세우 있으며, 리모델링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몇몇 브랜드아파트의 경우 리모델링이 용이한 구조로 아파트를 지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아파트가 분양시점을 중시하였다면 브랜드아파트의 경우 향후 리모델링시기를 계획부분에서 포함하고 있다.
3. 경쟁사 분석
최근 각 건설업체마다 아파트 브랜드 만들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택건설업체들의 아파트 브랜드화 추세가 일반화·가속화됨에 따른 명품 브랜드 아파트 목록을 정리해보면, 래미안, e-편한세상, 캐슬, I\'PARK, 홈타운, SK-뷰, 스윗닷홈, 디오빌, 베스트빌, 메르디앙, 더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