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라고 부른다. 한국인이 많이 여행하는 동남아에서 운전사나 식당주인은 우리의 이러한 속성을 잘 안다고 한다. 조급성 때문에 우리는 농업문화에서 산업ㆍ공업화로 전환할 때 과거의 전통문화를 깡그리 상실하고 말았다. 우리를 지켜온 전통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검증을 위해 국민의 자발적인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이에 비하면 중국은 자기를 낮추고 근신하는 유교적 문화가 남아있는데 부러운 일이다.
그런데 이런 그들의 생활방식이 부럽기도 하지만 이를 합리적으로 발전시킬 필요도 있다고 본다. ‘만만디’가 자칫 태만을 조장하고 발전을 지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이 가지고 있는 부지런한 근면성을 개발하는 반면에 불결하고 나태한 민족성은 개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편에서 나오고 있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전통문화를 어떻게 현대화할 것인가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제기될 수 있는 것이 위생청결이다. 중국은 의식주에서 식량과 민방(民房: 거주지)은 해결되었으나 의복청결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하다. 이것은 경제적 궁핍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들은 목욕을 자주 하지 않고 머리를 빗지도 않는데 이것은 복(福)이 나가지 않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그 사고의 바탕에는 ‘
그런데 이런 그들의 생활방식이 부럽기도 하지만 이를 합리적으로 발전시킬 필요도 있다고 본다. ‘만만디’가 자칫 태만을 조장하고 발전을 지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이 가지고 있는 부지런한 근면성을 개발하는 반면에 불결하고 나태한 민족성은 개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편에서 나오고 있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전통문화를 어떻게 현대화할 것인가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제기될 수 있는 것이 위생청결이다. 중국은 의식주에서 식량과 민방(民房: 거주지)은 해결되었으나 의복청결에 있어서는 다소 미흡하다. 이것은 경제적 궁핍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들은 목욕을 자주 하지 않고 머리를 빗지도 않는데 이것은 복(福)이 나가지 않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그 사고의 바탕에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