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U] 웰빙생활을 위한 건강법 교재문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CU] 웰빙생활을 위한 건강법 교재문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율이 60%이고 잡곡으로는 찰보리1kg검은콩(서리태)1kg,차수수1kg차조1kg등이며 멥쌀과 찹쌀은 한종류로 모두 오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조,차수수,보리는 쌀에 비해 단백질이 풍부하고,특히 차조와 차수수는 지방질이 적절히 함유되어 있어 이상적인 배합비율이 된다. 서리태는 단백질과 지방질이 월등히 많으며, 칼슘이 다른곡류보다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대두 인지질인 레시틴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성분은 뇌,신경계,간,심장 등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물질이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두뇌발달에,노인의 경우 치매예방에 효과적인 성분이라 할 수있다. 그리고 레시틴에는 콜린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물질은 지방간의 예방과 해소에 효능이 있어 간 보호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콩(서리태)과 차조,차수수에 들어있는 지방산 불포화지방산으로 특히 체내에서 합성할수 없는 필수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리 몸에 매우 유익한 지방질 성분이다. 따라서 현미잡곡밥은 위와 같이 우리들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영양적으로 완벽한 주식이라 할 수 있다. 흰쌀밥만을 먹을 경우 식감이 좋고 씹으면 그 맛이 달아서 대체로 많이 먹게 되기 때문에 에너지로 쓰이고 남는 당질은 체지방으로 전환되어 비만이 될수 있다. 반면 현미잡곡밥의 경우 단맛보다는 구수한 맛이 있고 현미찹쌀,찰보리,차조,차수수 등으로 인해 끈기가 있어 만복감을 곧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소화율도 흰밥보다 낮아서 적게 먹게된다. 그래서 공복감을 바로 느끼지 않아 칼로리의 섭취면에서 볼 때 흰밥보다 비만이 되는 경향이 비교적 적다고 할수 있다. 또한 현미잡곡밥은 섬유질이 풍부하므로 배변을 용이하게 하여 변비를 예빵하거나 치유하는데 이는 섬유질이 장의 연동작용을 도와 통변을 좋게 하여 장관 내를 깨끗이 하는 정장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변비가 생기면 장관 내의 유해한 아민류와 가스로 인해 두통이 생기며 장이 불편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들 유해 물질들은 혈류를 통해서 온몸으로 퍼져서 피부 발진과 부스럼 등이 생기고,피부도 거칠고 검어지며,기미가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화장이 잘 받지 않는 현상 등이 나타난다. 그래서 현미잡곡밥을 장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위의 여러문제들이 자연히 해소될수 있다. 앞에서 이미 서술한 바 있지만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한 30종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래서 현미잡곡밥을 주식으로 하면 이미 다섯종류의 식품을 섭취하게 되므로 나머지 25종류의 식품은 해조류,채소 및 과일류,육류 및 어류 그리고 난류 등으로 식단을 구성할수 있어 식품을 선택하는데 부담을 줄일수 있다. 현미멥쌀과 찹쌀 그리고 서리태는 외피가 단단하므로 흰쌀과는 달리 충분히 물에 담가 골고루 침윤될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서리태는 잘익지 않으므로 12시간물에 담근후 물기를 뺀 다음 팩에 넣어 냉장고에 보관하고 밥을 지을때마다 1인분에 수북이 한수저의 양을 넣으면 맛도 좋고 편리하다.그리고 나머지 곡류는 위의 배합비율로 섞어 보관한 것을 대략두시간이상 담근후 물에 불린 서리태와 함께 섞은 다음 압력밥솥에 지으면된다.
지방질의 섭취는 양과질을 고려해서
선진국에서는 지방질의 과다 섭취로 인해 성인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지방 섭취량이 오히려 적을 경우에는 식품배합 및 영양소섭취간의 균형에 문제가 생겨 체내 대사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지방으로부터 섭취되는 열량을 일반 성인의 경우 전체 열량에서 20~25%,발육기 청소년의 경우 에너지 소비가 많으므로 25~30%로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지방은 그 종류와 성분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수있는데 동물성 지방[어유는제외]은 일반적으로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과잉섭취하면 혈청 지방질과 콜레스테롤을 상승시켜 고지혈증,고혈압,뇌졸중,심장질환 그리고 동맥경화 등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반면,식물성 기름과 어유는 대체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억제 또는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지방의 양보다는 지방의 양보다는 지방의 질을 충분히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동물성 지방보다는 식물성 기름이나 어유(생선 기름)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특히 성인병이 있는 사람이나 노인의 경우 이점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그래서 동물성지방(어유제외)과 식물성 기름(어유 포함)의 이상적인 섭취비율을 1:1로 하는 것을 권장하나 비만자의 경우는 1:2로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성인병의 위험이 있는 사람이나 비만인 경우는 가급적 동물성 지방을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비만인 경우 체내에 이미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동물성 지방이 풍부하게 축적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구태여 섭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만자의 경우 각종 성인병이 발생할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지방을 줄여 정상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체중조절을 하여야한다. 그래서 비만이거나 성인병의 위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동물성 지방이 많은 육류의 섭취에 있어 제약을 받게된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먹는 즐거움이 없으면 무슨 맛으로 살아야 하나 하고 실의에 빠질수 있는데 이 경우 조리방법을 통해 이를 해소 할수 있는 쇠고기 야채 철판구이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자 한다. 쇠고기의 지방을 떼내어 기름이 완전히 제거되면 식감이 퍽퍽해서 맛이 좋지않으므로 식용유를 철판에 두르면 이를 해결할수 있다. 지방을 제거한 쇠고기와 감자를 식용유를 두른 철판에서 중간정도 익힌 다음 양파,마늘,파,깻잎,당근 등을 넣고 마져 익혀서 먹으면 되는데 이때 한잔의 와인을 곁들인다면 그 누구도 부럽지 않는 느낌에 젖게 될 것이다. 감자는 칼륨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액의 산성을 중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늘,양파,파 등의 알리신 성분은 쇠고기 중의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해서 이 비타민의 이용효율을 상승시켜 힘을 샘솟게 할 뿐만 아니라 성선을 자극하여 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근은 기름에 용해되는 지용성 비타민 A가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에 비타민의 이용률 또한 증대된다. 위와
  • 가격5,000
  • 페이지수82페이지
  • 등록일2010.02.16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