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이론 관리학 치료학 전기공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사선 이론 관리학 치료학 전기공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난소, 고환 > 점막 > 타액선
*중감수성 : 피부 > 폐 > 신장 > 간, 췌장 > 갑상선 > 혈관
②저감수성 : 연골 > 뼈 > 신경세포 > 신경섬유
2)종양의 방사선 감수성☆☆☆☆☆
*세망육종 > 임파육종 > 미분화암 > 편평 상피암 > 선암 > 흑색육종 > 골육종
3)Bergoie\'-Tribondeau\' law☆☆
: 방사선의 감수성은 미분화일수록,
유약한 것일수록,
증식이 왕성한 것일수록 대사가 왕성한 것일수록 크다.
4)좌우인자... 분열기간이 길수록, LET, 세포주기, 면역능, Dose rate, 온도효과, 증감제(산소효 과)
5)악성종양은 정상 조직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감수성이 높다.
6)방사선 치료가 거의 가치없는 종양☆ : 복부 소화관(위, 장 등)의 암, 신장암, 전립선암, 간이나 폐에의 전이.
7)포유류 > 조류 > 어류 > 양서류 > 곤충
8. [방사선 감수성과 세포주기]
1)세포주기 : 전기 - 중기 - 후기 - 말기 - 간기
세포주기 시간 ; 한 분열에서 다음 분열에 이르는 시간.
간기 : 세포 주기의 나머지 시간.
2)분열주기에 따른 감수성
M기 : 세포 분열기. 가장 감수성 높다.☆☆
Gap 1 기 : 길이에 따라 세포 종류간의 Cell cycle time 이 달라진다.
*Gap 1 기가 확실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조기에 저항성 시기가 있다.
☞ 초기는 감수성 낮고 후기는 높다.
S기 : DNA 합성기, 후반에서 감수성 낮다.(말기에서 대개 저항성이다)
Gap 2기 : 감수성 높다. .......> 따라서 감수성이 높은 시기 : M기, G1 후기, S기 초기 G2 기 ☆☆☆
3)기타 세포의 감수성 요약
*세포질보다 핵은 감수성이 높다.☆
*세포의 감수성은 염색체에서 가장 민감하다.
*세포의 분열 과정이 길수록 감수성이 높다.
*세포의 감수성이 높을수록 회복이 빠르다.
*실질 세포가 간질 세포보다 감수성이 높다.
9. [내부조사]
: 방사성 물질의 취급 부주의나 환경의 오염에 의하여 방사성 물질이 체내에 들어가 그로 인해 조사되는 것
32P, 14C가 DNA에 흡수되었을 경우 치사 또는 돌연변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1. 내부 조사의 특징 ☆☆☆☆☆
1)α, β선 등 비정이 짧은 방사선이 X, r선보다도 유해하다.(α>β>γ)
2)체내에 들어간 방사성 물질이 체내에 오래 머물러 있거나 인위적 배출이 곤란할 때 장해가 크다.
3)결정장기(critical organ)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
*향골성 핵종(bone seeker) : 90Sr, 226Ra, 32P, 239Pu, 45Ca☆☆☆☆
*관련 장기 - 결정 장기의 가능성이 있는 장기☆
4)총선량이 같더라도 선량율이 큰 쪽이 장해가 크다.
2. 유효 반감기(Tef)]
: 체내에 들어간 방사성 물질의 양은 그 물리학적 반감기(Tp)에 의하여 결정되는 일정한 속도로 감쇠한다.
한편 이 물질들은 생물학적 대사에 의해 체외로 배출되며 그 배출의 속도를 생물 학적 반 감기(Tb)로 표시한다.
이 양자에 의해 신체 부하량이 절반이 되기 까지의 시간을 유효 반감기라 한다.
Te = ☆☆☆
☞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반감기는 물리학적 반감기보다 짧지만 장기 친화성인 방 사성 물질인 경우에는 반대의 경우도 있다.
3. 체내로의 침입 경로 : 경구, 흡입, 피부
4. 방사성 원소와 결정 장기☆☆☆☆☆
1)90Sr - 뼈 7)60Co : 전신
2)51Cr - 적혈구 8)58Fe : 조혈기
3)32P - 뼈 9)198Au : 간
4)137Cs - 근육 10)203Hg : 신장
5)131I - 갑상선 11)63Ni : 폐
6)14C : 생식선 및 조혈기 12)222Ra, 232U : 폐
5. 진단용 핵종의 조건 : 물리학적, 생물학적 반감기가 짧고 α, β선 등을 내지 않을 것
10. [조혈조직, 혈액에 대한 방사능의 작용]
1. 조직의 방사선 감수성 : 실질 세포 자체 또는 그 재생계 중에서 가장 감수성이 높은 세포의 방 사선 감수성에 의해 규정될 뿐만이 아니고 작은 혈관 등 간질의 감수성에도 지배된다.
간질보다 감수성이 높은 실질 조직으로 된 조직 - 실질 세포 자체 또는 유약 실질 세포의 장 애가 주가 된다.
실질 세포의 감수성이 간질로다 낮은 조직 - 간질, 특히 작은 혈관 내피 세포에 장해가 생기 고 2차적으로 실질 세포의 변성이나 괴사 야기
2. 급성 조사 때 조혈 조직의 변화
1)골수 : 림프구를 제외한 성숙 세포는 비교적 저항성이 있다.
LD50 : 분열정지, 세포수 감소 → 세포의 재증식
2)lymph 조직 : 조사에 의해 림프구가 급격히 파괴
3)비장 : 조사후 수시간안에 림프구 파괴, 비장의 중량 감소
4)흉선 : 고감수성(피지선 > 한선)☆☆
3. 말초 혈액의 변화
1)적혈구 : 크기 8, 무핵, 450 - 500만/mm3
방사선 저항성, 수명이 길기 때문에(30일) 장해의 영향은 늦게 나타나지만 조사후 2주 간 이상에서 적혈구 감소
*남자의 경우 400만 이하이면 요양☆
*지람증(Cyanosis) : 적혈구의 산소 결핍에 의한 증상☆
2)혈소판 : 혈액의 응고, 백혈구에 비해 늦게 감소
3)백혈구 : 생체의 방어
저장 pool에서 백혈구의 방출로 24시간 이내에 일과성 백혈구의 증가를 볼 수 있다
(조사시 최초 반응)
정상인의 백혈구 수 : 7500/mm3
4)림프구 : 방사선 피폭후 제일 먼저 감소(소임파구가 가장 감수성이 높다)
11. [방사선 화학 및 약리적 수식제]♠
1)방어제 : 어떤 방사선 선량에 의해 일어나는 효과를 감소.
SH기의 화합물(Cysteine) : cystine, cystamine,☆☆ glutathione, AET.
*보호 물질의 특징 - X나 γ선의 전리 밀도가 낮은 방사선에 대해서는 유효한 방어제 이지 만 α입자와 같이 전리 밀도가 높은 방사선에 대해서는 방어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조사 후에 투여하면 효과가 없고 조사할 때 공존 해야 한다.
histamine : 자율 신경 차단제
PAPP
Amino산
성호르몬
기타 Vit E, EDTA 등
♤DRF(Dose Reduction factor, 선량 감소효율) : 방사선 물질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2.2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