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시토지 이용의 기능 분화에 관한 이론
1. 토지경제학적 이론
2. C.C. Colby의 원심력⋅구심력 이론
3. 도시생태학적 이론
4. 사회지역 분석(social area analysis)
5. 마르크스적 접근방법
Ⅱ. 도시의 거시적 내부구조이론
1. Burgess의 동심원 이론 (도시생태학적 접근)
2. Homer Hoty의 선형이론(sector theory)
3. Harris-Ullman의 다핵심 이론(multiple-nuclei theory)
4. Dikinson의 3지대론
5. J. W. Simmons의 多次元理論(사회지역분석적접근)
6. 기타 - 도시지리학(Urban geography)적 접근 - G.Taylor
Ⅲ. 도시의 분포와 계층 체계 관련 이론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2. 핵-주변모델(Core-periphery Model:Center-periphery Model)
1. 토지경제학적 이론
2. C.C. Colby의 원심력⋅구심력 이론
3. 도시생태학적 이론
4. 사회지역 분석(social area analysis)
5. 마르크스적 접근방법
Ⅱ. 도시의 거시적 내부구조이론
1. Burgess의 동심원 이론 (도시생태학적 접근)
2. Homer Hoty의 선형이론(sector theory)
3. Harris-Ullman의 다핵심 이론(multiple-nuclei theory)
4. Dikinson의 3지대론
5. J. W. Simmons의 多次元理論(사회지역분석적접근)
6. 기타 - 도시지리학(Urban geography)적 접근 - G.Taylor
Ⅲ. 도시의 분포와 계층 체계 관련 이론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2. 핵-주변모델(Core-periphery Model:Center-periphery Model)
본문내용
다만 이들 인자의 분포 패턴이 선형, 동심원, 다핵심의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며, 이와는 달리 Burgess, Hoyt, Harris, Ullman 등이 주장하였던 이론들은 직접적인 토지이용의 공간분포패턴에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다차원이론이 사회적 차원에서, 다른 세 이론이 토지이용의 차원에서 도시의 지역구조를 설명하려고 한 것은 완전히 상충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6. 기타 - 도시지리학(Urban geography)적 접근 - G.Taylor
1) 소도시의 시대구분
時 代 區 分
內 容
유년기(infantile)
상점과 가옥이 불규칙한 분포를 보이며, 공장은나타나지 않음
소년기(juvenile)
지대의 분화가 시작됨에 따라 상점이 분리됨
청년기(adolescent)
공장은 분산되어 나타나며, 주택지대 가운데 고급주택지대는 분화되지 않은 상태임.
장년기초기(early mature)
고급주택지대가 명료하게 분화됨
장년기(mature)
상업지구와 공업지구가 분리되며,슬럼으로부터 고급주택지대까지 4주택지대가 존재함.
(2) 인구 5만이상 도시의 발달단계
발달단계
발 달 내 용
제1기
도시가 성장됨에 따라 주변의 촌락이 합병되며, 대학이 생겨난다.
외부로부터 용수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제2기
노면철도가 도시 전체로 확산되며, 일간신문과 석간신문이 등장한다.
제3기
위성적인 촌락이 별개의 도시로 성장한다.
제4기
아파트가 도시 속에 확산된다.
제5기
대규모의 고속도로가 교통의 개선을 위하여 건설된다.
제6기
주변의 위성도시들이 모도시로 병합되며 행정구역이 증가한다. 도시계획법이 시행된다.
제7기
도시발생 초기의 관리기구에 대신하여 주의회, 수도행정청 등의 기구가 등장한다.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G. Taylor는 도시의 시대구분이나 발전단계에 있어서 일부 형태적 특징에 대한 변화를 밝히고 있으나, 매우 불충분할 뿐더러 제시된 두 표의 단계가 일치되어지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우며, 도시의 시대구분과 관련한 도시발달에 대한 고찰이 전혀 없다는 단점이 있다.
Ⅲ. 도시의 분포와 계층 체계 관련 이론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1) 중심지와 중심지 기능
농업의 발달(1차 산업)의 발달 이후 각 지역에서는 도시가 발생되어 성장하여 왔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주로 2차산업과 3차 산업활동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도시(중심지)들은 주변 지역과 교류를 통해서 발전하여 왔으며, 주변 지역에 여러 가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중심지란 이와 같이 주변 지역에 재화(goods)와 다양한 서비스(services)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 주는 장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시들은 중심지 역할을 하게되며, 다양한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중심지 기능이란 중심지의 여러 기능 중에서 도소매업, 교통통신업, 행정·교육, 기타 서비스 업과 같은 3차 산업 활동의 기능을 말하며, 중심지가 보유하고 있는 3차 산업의 기능 정도를 그 중심지의 중심성이라한다. 즉 중심지의 인구 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3차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중심성이 크다고 할수 있다. 중심지 이론(centeral place theory)이란 인간의 정주취락의 공간 조직, 특히 3차 산업 활동의 입지를 중심지 개념의 원리로 설명하려하는 이론을 말한다. 중심지 이론의 창시자는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이다.
2)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과 기본 전제
중심지 이론의 창시자는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로서, 그가 1933년에 펴낸 저서 Die zentalen Orte in Suddeutschland는 지금도 중심지 이론의 뿌리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이론은 1950년대에 와서야 비로소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본격적인 연구가 시도되었다. 크리스탈러는 복잡하고 다양한 공간을 연구하기 위해서 공간을 단순화시켰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가정을 이론의 전제로 하고 있다.
1. 지표는 등질적 공간(isotropic surface)으로 간주하며, 공간거리극복에 필요한 교통수단은 오직 하나이며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2. 인구분포는 공간상에 균일하다.
3. 인간은 경제인(ecnomic man)이다. : 경제인이란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3) 중심지 이론의 기본 개념
(1) 최소 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
3-1.
① 최소요구치(threshold)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지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수요수준을 최소요구치라고 한다. 중심지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의 고객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최소요구치란 결국 최소한의 고객의 수 또는 인구수를 의미한다. 이를 공간적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중심지의 기능이 존립할 수 있을 정도의 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공간범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이론의 전제가 등질적으로 분포하는 인구수를 전제로 하였으므로, 최소요구치의 공간범위는 원형을 나타내게 된다.)
②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range of goods and service)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는 중심지가 수행하는 기능이 중심지로부터 미치는 한계거리를 의미한다.(즉 중심지 기능이 수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거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심지 기능(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이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비이다. 즉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교통비가 증가하게 되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되게 되며, 이에따라 수요가 감소하면서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수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지면서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 이 지점까지의 거리가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이다.
* 최소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범위)의 관계
최소 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 범위는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으로서, 최소 요구치는 기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 수준이며,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범위)는 소비자가 물품 구입을 위해 교
바꿔 말하면, 다차원이론이 사회적 차원에서, 다른 세 이론이 토지이용의 차원에서 도시의 지역구조를 설명하려고 한 것은 완전히 상충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6. 기타 - 도시지리학(Urban geography)적 접근 - G.Taylor
1) 소도시의 시대구분
時 代 區 分
內 容
유년기(infantile)
상점과 가옥이 불규칙한 분포를 보이며, 공장은나타나지 않음
소년기(juvenile)
지대의 분화가 시작됨에 따라 상점이 분리됨
청년기(adolescent)
공장은 분산되어 나타나며, 주택지대 가운데 고급주택지대는 분화되지 않은 상태임.
장년기초기(early mature)
고급주택지대가 명료하게 분화됨
장년기(mature)
상업지구와 공업지구가 분리되며,슬럼으로부터 고급주택지대까지 4주택지대가 존재함.
(2) 인구 5만이상 도시의 발달단계
발달단계
발 달 내 용
제1기
도시가 성장됨에 따라 주변의 촌락이 합병되며, 대학이 생겨난다.
외부로부터 용수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제2기
노면철도가 도시 전체로 확산되며, 일간신문과 석간신문이 등장한다.
제3기
위성적인 촌락이 별개의 도시로 성장한다.
제4기
아파트가 도시 속에 확산된다.
제5기
대규모의 고속도로가 교통의 개선을 위하여 건설된다.
제6기
주변의 위성도시들이 모도시로 병합되며 행정구역이 증가한다. 도시계획법이 시행된다.
제7기
도시발생 초기의 관리기구에 대신하여 주의회, 수도행정청 등의 기구가 등장한다.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G. Taylor는 도시의 시대구분이나 발전단계에 있어서 일부 형태적 특징에 대한 변화를 밝히고 있으나, 매우 불충분할 뿐더러 제시된 두 표의 단계가 일치되어지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우며, 도시의 시대구분과 관련한 도시발달에 대한 고찰이 전혀 없다는 단점이 있다.
Ⅲ. 도시의 분포와 계층 체계 관련 이론
1.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1) 중심지와 중심지 기능
농업의 발달(1차 산업)의 발달 이후 각 지역에서는 도시가 발생되어 성장하여 왔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주로 2차산업과 3차 산업활동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도시(중심지)들은 주변 지역과 교류를 통해서 발전하여 왔으며, 주변 지역에 여러 가지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중심지란 이와 같이 주변 지역에 재화(goods)와 다양한 서비스(services)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 주는 장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시들은 중심지 역할을 하게되며, 다양한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중심지 기능이란 중심지의 여러 기능 중에서 도소매업, 교통통신업, 행정·교육, 기타 서비스 업과 같은 3차 산업 활동의 기능을 말하며, 중심지가 보유하고 있는 3차 산업의 기능 정도를 그 중심지의 중심성이라한다. 즉 중심지의 인구 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3차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중심성이 크다고 할수 있다. 중심지 이론(centeral place theory)이란 인간의 정주취락의 공간 조직, 특히 3차 산업 활동의 입지를 중심지 개념의 원리로 설명하려하는 이론을 말한다. 중심지 이론의 창시자는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이다.
2)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과 기본 전제
중심지 이론의 창시자는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로서, 그가 1933년에 펴낸 저서 Die zentalen Orte in Suddeutschland는 지금도 중심지 이론의 뿌리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이론은 1950년대에 와서야 비로소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본격적인 연구가 시도되었다. 크리스탈러는 복잡하고 다양한 공간을 연구하기 위해서 공간을 단순화시켰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가정을 이론의 전제로 하고 있다.
1. 지표는 등질적 공간(isotropic surface)으로 간주하며, 공간거리극복에 필요한 교통수단은 오직 하나이며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한다.
2. 인구분포는 공간상에 균일하다.
3. 인간은 경제인(ecnomic man)이다. : 경제인이란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3) 중심지 이론의 기본 개념
(1) 최소 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
3-1.
① 최소요구치(threshold)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지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수요수준을 최소요구치라고 한다. 중심지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의 고객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최소요구치란 결국 최소한의 고객의 수 또는 인구수를 의미한다. 이를 공간적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중심지의 기능이 존립할 수 있을 정도의 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공간범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이론의 전제가 등질적으로 분포하는 인구수를 전제로 하였으므로, 최소요구치의 공간범위는 원형을 나타내게 된다.)
②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range of goods and service)
중심지 기능의 도달거리는 중심지가 수행하는 기능이 중심지로부터 미치는 한계거리를 의미한다.(즉 중심지 기능이 수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거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심지 기능(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이를 획득하기 위한 교통비이다. 즉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교통비가 증가하게 되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되게 되며, 이에따라 수요가 감소하면서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수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지면서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 이 지점까지의 거리가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이다.
* 최소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범위)의 관계
최소 요구치와 중심지 기능의 도달 범위는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으로서, 최소 요구치는 기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 수준이며, 중심지 기능의 도달 거리(범위)는 소비자가 물품 구입을 위해 교
키워드
추천자료
[신도시개발] 수도권 신도시와 수도권 집중강화의 문제
지역 브랜드와 도시마케팅, 그 개념과 사례(싱가포르 도시마케팅)
동북아지역 도시네트워크화와 항만도시 부산의 대응전략
환경과 인간-도시화와 도시문제-
한국 도시설계의 이념과 민주주의 도시계획적 실천방안
[도시행정론]도시재생사업의 개요와 국내외 사례분석 및 시사점(A+리포트)
[도시계획]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의 구축과 활용 가능성
청주의 환경친화적 도시계획과 독일 프라이부르크의 생태도시계획 비교
[도시계획] 도시계획에 대하여
[도시화] 도시화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친환경도시] 친환경 생태도시의 개발방안
[도시계획개론] 도시의 본질과 정의
[도시사회학] “대구광역시 이미지와 정체성을 위한 제안” - 컬러풀대구,도시마케팅,브랜드마...
한국사회문제C형 2017년 한국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