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가학습지 1 마취종류, 마취제, 근육이완제
1. 수술전 투약
2. 마취의 단계
3. 마취의 종류
4. 전신마취의 종류
5. 국소마취의 종류
6. 근육 이완제
자가학습지 2 봉합사 및 봉합침 사용법
봉합침
봉합침
자가학습지 3 안전간호
1. counting의 목적 및 방법
2. needle & sharps count
3. instrument count
자가학습지 4 Scrubbing, Gloving, Gowning
1. scrubbing
2. gloving & gowning
자가학습지 6 수술실 및 기구소독. 검사물 취급시 간호
1. 수술전 투약
2. 마취의 단계
3. 마취의 종류
4. 전신마취의 종류
5. 국소마취의 종류
6. 근육 이완제
자가학습지 2 봉합사 및 봉합침 사용법
봉합침
봉합침
자가학습지 3 안전간호
1. counting의 목적 및 방법
2. needle & sharps count
3. instrument count
자가학습지 4 Scrubbing, Gloving, Gowning
1. scrubbing
2. gloving & gowning
자가학습지 6 수술실 및 기구소독. 검사물 취급시 간호
본문내용
야한다
⑦마취가 시작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짧고 작용시간은 적당해야 한다.
8) 국소 마취제의 부작용
⑴국소반응: 국소 마취제 주입부위의 혈종, 신경손상, 부종, 염증, 농양, 괴사 및 괴저 등이 있을 수 있다.
⑵전신중독 반응: 중추신경계에서는 가벼운 두통, 착란, 일시적 의식 소실, 안면근경련이 일 어나며 호흡기에서는 전형적인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⑶Allergy반응: 국소 마취제에 의한 진정한 알레르기 반응은 드물게 일어나며 atopy성 알레 르기성 피부염이 있을 수 있다
9) 종류
대부분의 국소마취제는 중간연쇄(intermediate chain)와 방향산군 (aromatic group)을 연결하는 결합 형태에 따라서 ester 결합(-COO-)일 때는 ester형 그리고 amide(-CONH) 결합일 때는 amide형이라고 각각 구분한다.
→ Ester형 국소마취제
① Cocaine
국소마취제중 유일한 비합성 천연제품으로서 혈관수축작용이 있어서 출혈을 감소시키고 울혈된 점막을 수축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혈관수축작용은 cocaine이 신경말단에서 norepinephrine의 재흡수를 차단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4-10% 용액으로 코, 인두와 기관지의 표면마취에 사용하고 있으나 각막의 혼탁을 일으키고 각막 표피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므로 안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국소마취제와는 달리 습관성이 되기 쉽다.
② Procaine
표면마취효과는 없으나 국소를 자극하는 증상이 없고 축적과 전신의 독성반응이 적으며 소독이 쉽고 작용시간이 짧다. 혈장 cholinesterase에 의해서 분해된다.
③ Chlorprocaine
Procaine에 비해서 독성은 적고 효력은 강하며(2배) 작용발현시간이 빠르고 조직내로 확 산을 잘하나 작용시간이 짧다. Procaine처럼 표면마취효과는 없으나 혈장내에서 cholinesterase에 의해서 procaine보다 쉽게 가수분해되므로 독성반응이 가장 적은 국소 마취제이다.
④ Tetracaine
척추마취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마취작용이 강하고 작용시간이 긴 편이나 혈중 에서 분해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신독성반응의 발생 빈도가 높다. 인두와 기관지의 표면마취시에도 많이 사용한다.
→ Amide형 국소마취제
Ester형에 비해서 대사가 느리고 축적작용이 있어서 전신독성반응이 잘 나타난다.
① Lidocaine(Xylocaine)
작용발현시간이 빠르고 국소조직을 자극하는 증상이 없으며 procaine에 비해서 강도가 높고 작용시간이 길다. 또한 표면마취효과가 있으며 알러지 반응이 거의 없다. Lidocaine은 대부분이 microsomal enzyme에 의해서 서서히 분해되므로 procaine에 비해서 독성이 두배 정도 강한 편이며 현재 국소마취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② Bupivacaine
Lidocaine이나 mepivacaine보다 마취작용이 강력하며 작용시간도 긴 편인데 이것은 bupivacaine이 국소마취제중 단백질과의 결합률이 가장 높은 특성 때문이라고 보여진다.주로 침윤, 전달 및 경막외마취에 사용되며 정맥 및 척추마취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Tetracaine과 독성이 비슷하며 태반관문을 쉽게 통과하지 않는다.
6. 근육 이완제
1) 효과
① 근육이완제와 같이 투여하면 보다 적은 양의 전신 마취제를 투여해도 됨.
② 근섬유로 향해가는 신경 충동의 전이를 차단 시켜 호흡 조절근을 포함하는 모든 수의근을 일시적으로 마비 시킴. 다라서 기계호흡을 반드시 필요.
2) 종류
-Curare
-Pancuronium
_Succinylcholine
자가학습지 2 봉합사 및 봉합침 사용법
봉합침
1. 봉합사
수술 창상의 봉합에 주로 이용되는 봉합사는 창상자체를 지지해 주어 창상 회복에 영향을 미치나 수술창상의 회복 과정인 교질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봉합사는 혈관을 결찰하여 지혈효과를 가져오거나 손상받은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봉합사는 사용전에 반드시 멸균 소독해야 한다.
2. 봉합사의 선택
치유기간에 맞는 봉합사를 선택하며, 가늘고 질겨야 하고,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이물작용이 없어야 한다. 특히 봉합사의 굵기가 흡수 속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조직반응이나 조직자극에 영향을 미쳐 굵은 봉합사보다는 가는 봉합사를 사용할 때 상처치유가 빠르고 조직반응이 적게 든다.
3. 이상적인 봉합사
-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수 있어야 함.
- handling이 우수하고 부드러워야 함.
- 최소한의 조직반응.
- 높은 인장강도.
- 매듭이 강하고 안정적이어야 함.
- 적절한 시기에 흡수되어야 함 :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난 뒤에 빠른 흡수가 이상적임.
- 조직에 손상을 적게 주어야 함 : 봉합침과의 사이즈 matching이 잘되어야 함.
4. 자연사(natural)와 합성사(synthetic) 비교
분류
자연사
합성사
handling
좋은편
좋은편이나 자연사보다 나쁨
diameter
일정 지름으로 압출이 어려움
일정 지름 압출이 용이함
tensile strenth
인장강도는 합성사보다 약함
인장강도 좋음
tissue reaction
체내의 염증반응이 다소 있음
체내반응이 자연사에 비해 적음
product
silk, chromic, steel wire
vicryl, PDS, ethilon, dexon, maxon
5. 복선사와 단선사 비교
분류
복선사
단선사
character
부드럽고 유연함
유연성이 다소 떨어짐
매듭
매듭의 안전성이 좋음
매듭의 안정성이 떨어짐
장점&단점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있음-봉합사가 꼬인 틈새 사이
박테리아 기생공간이 적음
surface
표면이 다소 거침-이를 보안하기 위해 복선사는 coating처리함
표면이 매끄러움
product
vicryl, ethibond, dexon, silk
prolene, ethilon, PDS, Monocryl
6. 흡수사(absorbable)와 비흡수사(non-absorbable) 비교
분류
흡수사
비흡수사
chracter
- 일정기간의 인장강도를 유지한후 상처가 더 이상 봉합사의 지탱을 필요로 하지
⑦마취가 시작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짧고 작용시간은 적당해야 한다.
8) 국소 마취제의 부작용
⑴국소반응: 국소 마취제 주입부위의 혈종, 신경손상, 부종, 염증, 농양, 괴사 및 괴저 등이 있을 수 있다.
⑵전신중독 반응: 중추신경계에서는 가벼운 두통, 착란, 일시적 의식 소실, 안면근경련이 일 어나며 호흡기에서는 전형적인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⑶Allergy반응: 국소 마취제에 의한 진정한 알레르기 반응은 드물게 일어나며 atopy성 알레 르기성 피부염이 있을 수 있다
9) 종류
대부분의 국소마취제는 중간연쇄(intermediate chain)와 방향산군 (aromatic group)을 연결하는 결합 형태에 따라서 ester 결합(-COO-)일 때는 ester형 그리고 amide(-CONH) 결합일 때는 amide형이라고 각각 구분한다.
→ Ester형 국소마취제
① Cocaine
국소마취제중 유일한 비합성 천연제품으로서 혈관수축작용이 있어서 출혈을 감소시키고 울혈된 점막을 수축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혈관수축작용은 cocaine이 신경말단에서 norepinephrine의 재흡수를 차단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4-10% 용액으로 코, 인두와 기관지의 표면마취에 사용하고 있으나 각막의 혼탁을 일으키고 각막 표피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므로 안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국소마취제와는 달리 습관성이 되기 쉽다.
② Procaine
표면마취효과는 없으나 국소를 자극하는 증상이 없고 축적과 전신의 독성반응이 적으며 소독이 쉽고 작용시간이 짧다. 혈장 cholinesterase에 의해서 분해된다.
③ Chlorprocaine
Procaine에 비해서 독성은 적고 효력은 강하며(2배) 작용발현시간이 빠르고 조직내로 확 산을 잘하나 작용시간이 짧다. Procaine처럼 표면마취효과는 없으나 혈장내에서 cholinesterase에 의해서 procaine보다 쉽게 가수분해되므로 독성반응이 가장 적은 국소 마취제이다.
④ Tetracaine
척추마취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마취작용이 강하고 작용시간이 긴 편이나 혈중 에서 분해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신독성반응의 발생 빈도가 높다. 인두와 기관지의 표면마취시에도 많이 사용한다.
→ Amide형 국소마취제
Ester형에 비해서 대사가 느리고 축적작용이 있어서 전신독성반응이 잘 나타난다.
① Lidocaine(Xylocaine)
작용발현시간이 빠르고 국소조직을 자극하는 증상이 없으며 procaine에 비해서 강도가 높고 작용시간이 길다. 또한 표면마취효과가 있으며 알러지 반응이 거의 없다. Lidocaine은 대부분이 microsomal enzyme에 의해서 서서히 분해되므로 procaine에 비해서 독성이 두배 정도 강한 편이며 현재 국소마취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② Bupivacaine
Lidocaine이나 mepivacaine보다 마취작용이 강력하며 작용시간도 긴 편인데 이것은 bupivacaine이 국소마취제중 단백질과의 결합률이 가장 높은 특성 때문이라고 보여진다.주로 침윤, 전달 및 경막외마취에 사용되며 정맥 및 척추마취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Tetracaine과 독성이 비슷하며 태반관문을 쉽게 통과하지 않는다.
6. 근육 이완제
1) 효과
① 근육이완제와 같이 투여하면 보다 적은 양의 전신 마취제를 투여해도 됨.
② 근섬유로 향해가는 신경 충동의 전이를 차단 시켜 호흡 조절근을 포함하는 모든 수의근을 일시적으로 마비 시킴. 다라서 기계호흡을 반드시 필요.
2) 종류
-Curare
-Pancuronium
_Succinylcholine
자가학습지 2 봉합사 및 봉합침 사용법
봉합침
1. 봉합사
수술 창상의 봉합에 주로 이용되는 봉합사는 창상자체를 지지해 주어 창상 회복에 영향을 미치나 수술창상의 회복 과정인 교질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봉합사는 혈관을 결찰하여 지혈효과를 가져오거나 손상받은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봉합사는 사용전에 반드시 멸균 소독해야 한다.
2. 봉합사의 선택
치유기간에 맞는 봉합사를 선택하며, 가늘고 질겨야 하고,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이물작용이 없어야 한다. 특히 봉합사의 굵기가 흡수 속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조직반응이나 조직자극에 영향을 미쳐 굵은 봉합사보다는 가는 봉합사를 사용할 때 상처치유가 빠르고 조직반응이 적게 든다.
3. 이상적인 봉합사
-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수 있어야 함.
- handling이 우수하고 부드러워야 함.
- 최소한의 조직반응.
- 높은 인장강도.
- 매듭이 강하고 안정적이어야 함.
- 적절한 시기에 흡수되어야 함 :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난 뒤에 빠른 흡수가 이상적임.
- 조직에 손상을 적게 주어야 함 : 봉합침과의 사이즈 matching이 잘되어야 함.
4. 자연사(natural)와 합성사(synthetic) 비교
분류
자연사
합성사
handling
좋은편
좋은편이나 자연사보다 나쁨
diameter
일정 지름으로 압출이 어려움
일정 지름 압출이 용이함
tensile strenth
인장강도는 합성사보다 약함
인장강도 좋음
tissue reaction
체내의 염증반응이 다소 있음
체내반응이 자연사에 비해 적음
product
silk, chromic, steel wire
vicryl, PDS, ethilon, dexon, maxon
5. 복선사와 단선사 비교
분류
복선사
단선사
character
부드럽고 유연함
유연성이 다소 떨어짐
매듭
매듭의 안전성이 좋음
매듭의 안정성이 떨어짐
장점&단점
박테리아가 기생할 공간이 있음-봉합사가 꼬인 틈새 사이
박테리아 기생공간이 적음
surface
표면이 다소 거침-이를 보안하기 위해 복선사는 coating처리함
표면이 매끄러움
product
vicryl, ethibond, dexon, silk
prolene, ethilon, PDS, Monocryl
6. 흡수사(absorbable)와 비흡수사(non-absorbable) 비교
분류
흡수사
비흡수사
chracter
- 일정기간의 인장강도를 유지한후 상처가 더 이상 봉합사의 지탱을 필요로 하지
추천자료
유아교육계획안 파워포인트
감염환자 간호관리
[독후감/서평/요약] 하루일과계획
요리수업 지도안 (알록달록 오색수제비) & 12가지 요리 활동 계획안
만 3세를 대상으로 일일보육계획안 작성하기
(방통대) 실습일지 15일치 내용 (장애인센터)
여성간호학 PROM 조기양막파열
만0세) <일일보육계획안> 9월17일 - 대주제 : 놀이는 재미있어요Ⅰ / 주제 : 구멍이 있는 놀잇...
만0세) <일일보육계획안> 9월6일 - 대주제 : 놀이는 재미있어요Ⅰ / 주제 : 움직이는 놀잇감 1...
만2세일일보육계획안
3월4주
2주 보육일지
5주 보육일지
보육과정)기본생활 신체운동 사회관계 의사소통 자연탐구영역 중에서 선택하여 만 2세(표준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