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학입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의학입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경계 검사

2. 근골격계 검사

3. 전기진단.

본문내용

i sign), 호프만 징후(Hoffmann\'s sign)
(5) 기타 반사
눈 깜박이는 반사(blinking reflex), 탐근 반사(rooting reflex), 빠는 반사(sucking reflex), 수장 반사(palmar grasp reflelx), 몸통 굴곡 반사(trunk incurvacation), 제자리로 되돌아가는 반사(placing reaction)
4) 감각 검사
감각은 자신의 체내 및 체외에 생긴 변화를 감지하는 작용을 말한다.
(1) 표재부 감각
(2) 심부 감각
관절의 위치 감각은 손과 발의 원위부 곤절에서부터 근위부로, 대상자가 정상으로 느낄 때 까지 시행한다.
(3) 대뇌부 감각
두 점 구분 능력(two point discrimination), 입체 감각(stereognosis), 서화 감각(graphesthesia) 등을 평가한다.
5) 고유 감각 기능과 소뇌 기능검사
고유감각 기능에 관여하는 기관은 고유감각기, 소뇌, 척수 후주 그리고 내이의 전정기관 등이다.
소뇌의 기능 부전시 보행실조, 위치감각장애, 근육긴장도 저하, 무력증, 안구 진탕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2. 근골격계 검사
1) 시진
신체의 양쪽이 대칭인지 확인하고 상,하지를 비교하여 위축,종창,피부 색깔의 변화, 관절과 뼈의 변형, 각 근육의 모양 그리고 크기 등을 관찰함.
2) 촉진
근육, 뼈, 관절 등을 촉진하여 국소적 및 전신적 경련, 근육의 긴장도, 종창, 종괴, 열감, 압통 및 압통과 동작의 관련성 등을 알아낸다.
3) 관절운동범위의 측정
관절운동범위(range of motion)는 하나의 관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대의 위치 전환 범위.
각 개인의 발달적, 구조적 차이에 의해서도 다양하다.
하지의 운동범위 상실은 보행 이상을 초래하고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킨다.
상지의 운동범위 상실은 간단한 일상생활동작 수행도 어렵게 할 수 있다.
측정 목적은 초기 진료상태 파악, 치료의 진행 정도 평가, 장애 정도 평가, 대상자의 동기 유발, 도수근력 검사의 등급 기준 제공 등 이다.
기능을 방해하는 요인과, 변형의 정도를 알아내고 기능을 증진시키고 변형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부가적인 범위를 결정한다.
호전과 악화 상태를 기록하고 객관적 측정치를 수립하여 적절한 치료 목표를 결정하고, 치료 방법을 선택하며 필요한 부목과 보장구를 결정하는데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관절각도계로 측정. - 운동팔, 기준팔,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
(1) 관절운동범위의 측정 방법
각도계의 회전축을 신체 관절 중심에 맞추고 각도계의 팔을 관절과 연결된 지절에 일치하게 고정시킨 후 운동범위를 눈금에 따라 읽는다.
운동범위는 도(degree)로 기록하는데 각 관절마다 정상 각도 범위가 측정되어 있다.
관절운동범위 측정 원칙은
해부학적 위치를 정위치로 한다.
측정 방법으로는 해부학적 위치를 0°로 하여 운동범위를 0°에서의 편향 각도로 정하는 kd법을 많이 사용한다.
360°방법도 가끔 사용하는데 미부(caudal)를 180°로 하고 두부(cranium)를 0°로 하며, 회선 운동은 중간 시상면(midsagittal plane)을 0°, 측면(lateral plane)을 180°로 하여 각 운동범위를 기록한다.
모든 각도는 수동적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운동 제한의원인이 되는 긴장, 위약, 경축 혹은 구축 등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기록한다.
측정 위치를 앙와위에서는 S로, 복와위에서는 P로 기록한다.
모든 관절의 운동을 항상 측정할 필요는 없으며 관절운동범위가 대상자의 병리적 혹은 기능적 진단이나 치료 계획에 필요한 경우에만 측정한다.
4) 근력 평가
대부분의 육체적 장애는 근력의 약화를 야기한다.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근력의 손실은 그 약화 정도에 EK라 기능적 역할 수행에 제한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근력 평가를 말초신경질환이나 척수손상과 같은 신경근 병변의 진단은 물론, 치료 계획의 수립에도 필수적이다.
근력검사를 위해 Lovett가 시작한 도수 근력 측정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중력과 저항, 관절운동범위 세 가지로 검사하는 방법이다.
도수 근력 검사는 대상자의 협조와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장애의 평가에서는 3등급(grade 3)의 근력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대상자의 동작이 중력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3등급 정도의 근력이 있으면 중력을 이기고 움직일 수 있으나 3등급 이하인 경우에는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근력이 3등급 이하인 근육이 지나가는 관절은 구축이 잘 일어난다.
(1) 근력 평가의 목적
① 치료의 기초선을 설정하고 근력의 이용 정도를 결정한다.
② 근력의 약화 정도를 판별하여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조절한다.
③ 근력 불균형으로 인한 변형을 예방한다.
④ 보장구의 필요성을 결정한다.
⑤ 대상자의 능력 범위 안에서 수행 가능한 활동을 선택한다.
⑥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여 가장 정확한 치료 방법을 선택한다.
(2) 근력 평가의 기준
도수 근력 측정법을 사용한 근력 평가의 기준은 다음과 같아.
5
100%
Normal(N)
중력과 충분한 저항 하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
4
75%
Good(G)
중력과 어느 정도의 저항 하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
3
50%
Fair(F)
중력을 이기도 능동적 관절운동
2
25%
Poor(P)
중력 제거 상태에서 능동적 정상 관절운동
1
10%
Trace(T)
수축은 가능하나 능동적 관절운동 불가능
0
0%
Zero(Z)
근육 수축의 증거가 없음.
(3) 근력 측정기
① 등장성 근수축력 측정기
Bench Press
Leg Press
Nicholas manual muscle tester
② 등척성 근수축력 측정기
Back-leg-chest dynamometer
약력계
수지의 근력계(pinch gauge)
③ 등속성 근수축력 측정기
④ 근지구력 측정기
동적 근지구력 측정
정적 근지구력 측정
3. 전기진단.
전기진단(electrodiagnosis)은 침 근전도 검사(needle electromyography)와 신경전도 검사(nerve conduction study)로 크게 나누며, 관례적으로 전기진단보다 근전도로 통용됨
근전도는 운동단위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2.26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