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보주의란 무엇인가?
2. 진보주의와 교육 원리
3. William H. Kilpatrick
4. 의의
5. 한계
6.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비교
2. 진보주의와 교육 원리
3. William H. Kilpatrick
4. 의의
5. 한계
6.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비교
본문내용
한 수업을 낳을 우려가 있고, 현재의 생활을 중시한 나머지 어린이가 장차 살아야 할 미래에 대한 감각을 키우지 못했고, 학교는 특수한 교육기관이 되어야 할 텐데 도리어 바람직하지 못한 현재의 사회생활의 복사판이 되기 쉬었고 다수의 협동을 강조한 나머지 우수한 소수의 지도성을 발휘하지 못했고, 민주주의 이외의 사상체계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소홀히 했다.
- 비판을 정리하면
1) 기본적 기술이나 능력의 습득에 소홀
2) 아동의 자유 중시하고 사회적 훈련과 전통 경시함으로써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이나 전통을 체계 있게 학습하기 어려움
3) 흥미 중시 -> 본질적 지식의 습득 기회가 적어지므로 지적 무능한 인간을 양산하는 결과
4) 교육의 준비성 결여(미래), 고정된 교육목표 희박.
5) 생활양식의 민주방식과 가치의 상대성을 과신함으로써 아동으로 하여금 이기적, 찰나적, 자기중심적인 인간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사회공통의 복지 향상에 대해 기여도가 떨어진다.
- 1930년대를 기점으로 진보주의 교육사상은 비판을 받게 되지만 미국뿐만 아니라, 20세기 들어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대한 주된 비판은 다음의 본질주의 및 항존주의 교육사상가의 주장에서 잘 나타난다. 우리나라에도 해방 이후에 미군청의 학무국에 의해 새 교육이란 이름으로 소개되고 학교교육에 적용하고자 시도되었으나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채 끝났다.
6.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비교
진보주의
본질주의
철학적 배경
실용주의에 기초하여 현재 생활의 유용성과 도구성을 강조하여 교육은 이러한 변화와 현재 생활에 잘 적응하고 순응하는 아동을 양성해야 한다는 사상
우주의 궁극적인 실체를 찾는 관념론과 실재론이 철학적 배경이기 때문에 전통에 충실할 것을 주장
교육목적
교육은 생활의 과정이므로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을 통해 아동을 성장시키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문화유산을 후세에 전달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교육과정
아동의 흥미, 필요, 요구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인류가 쌓아 놓은 문화적 유산 가운데 본질적인 것만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비판
교육이념을 민주화 시키고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학제 수립에 공헌했으나 아동의 자유를 너무 강조하여 사회적 통제를 무시하고 개인주의 경향은 사회적 요구를 도외시 하고 문화적 전통 무시
진보주의에 경종을 울려 주었지만 너무 보수적이고 정적이어서 참여의식과 사회 개혁 의지 결여
- 비판을 정리하면
1) 기본적 기술이나 능력의 습득에 소홀
2) 아동의 자유 중시하고 사회적 훈련과 전통 경시함으로써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이나 전통을 체계 있게 학습하기 어려움
3) 흥미 중시 -> 본질적 지식의 습득 기회가 적어지므로 지적 무능한 인간을 양산하는 결과
4) 교육의 준비성 결여(미래), 고정된 교육목표 희박.
5) 생활양식의 민주방식과 가치의 상대성을 과신함으로써 아동으로 하여금 이기적, 찰나적, 자기중심적인 인간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사회공통의 복지 향상에 대해 기여도가 떨어진다.
- 1930년대를 기점으로 진보주의 교육사상은 비판을 받게 되지만 미국뿐만 아니라, 20세기 들어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대한 주된 비판은 다음의 본질주의 및 항존주의 교육사상가의 주장에서 잘 나타난다. 우리나라에도 해방 이후에 미군청의 학무국에 의해 새 교육이란 이름으로 소개되고 학교교육에 적용하고자 시도되었으나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채 끝났다.
6.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비교
진보주의
본질주의
철학적 배경
실용주의에 기초하여 현재 생활의 유용성과 도구성을 강조하여 교육은 이러한 변화와 현재 생활에 잘 적응하고 순응하는 아동을 양성해야 한다는 사상
우주의 궁극적인 실체를 찾는 관념론과 실재론이 철학적 배경이기 때문에 전통에 충실할 것을 주장
교육목적
교육은 생활의 과정이므로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을 통해 아동을 성장시키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문화유산을 후세에 전달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교육과정
아동의 흥미, 필요, 요구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인류가 쌓아 놓은 문화적 유산 가운데 본질적인 것만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비판
교육이념을 민주화 시키고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학제 수립에 공헌했으나 아동의 자유를 너무 강조하여 사회적 통제를 무시하고 개인주의 경향은 사회적 요구를 도외시 하고 문화적 전통 무시
진보주의에 경종을 울려 주었지만 너무 보수적이고 정적이어서 참여의식과 사회 개혁 의지 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