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의 정의와 역사
2. 배드민턴의 발전과 보급
3. 한국 배드민턴의 역사와 발전
4. 배드민턴의 시설 및 용구
(1) 코트
(2) 포스트
(3) 셔틀콕
(4) 네트
(5) 라켓
5. 게임의 개요
6. 배드민턴의 경기방법
(1) 시합의 승부
(2) 셋팅
(3) 체인지 엔드
(4) 득점
(5) 반칙(폴트)
(6) 단식 경기방법
(7) 복식 경기방법
7. 라켓을 잡는 방법
(1) 이스턴 그립
(2) 셰이크 핸드 그립
(3) 웨스턴 그립
8. 배드민턴의 종목 특징
9. 배드민턴 기술 (서브)
(1) 셔틀의 잡는 법
(2) 서브의 종류
(3) 서비스 종합정리
10. 배드민턴 기술 (리시브)
11. 배드민턴 기술 (풋워크)
(1) 풋워크의 핵심
(2) 풋워크의 유의점
(3) 풋워크의 효용
(4)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12. 배드민턴 기술 (스트로크)
(1) 오버 헤드 스트로크
(2) 사이드 핸드 스트로크
(3) 언더 핸드 스트로크
(4) 라운드 헤드 스트로크
13. 배드민턴 기술 (플라이트)
(1) 클리어
(2) 스매시
(3) 드롭 샷
(4) 드라이브
(5) 푸시
(6) 헤어핀
14. 배드민턴의 운동효과
15. 배드민턴의 전술
(1) 구체적 전술 개요
(2) 마인트 컨트롤
(3) 남자복식의 전술
(4) 여자복식의 전술
(5) 혼합복식의 전술
16. 배드민턴에서 지켜야 할 예절
17. 배드민턴 스트레칭
18. 배드민턴 복장
19. 배드민턴 용어정리
20. 참고자료
2. 배드민턴의 발전과 보급
3. 한국 배드민턴의 역사와 발전
4. 배드민턴의 시설 및 용구
(1) 코트
(2) 포스트
(3) 셔틀콕
(4) 네트
(5) 라켓
5. 게임의 개요
6. 배드민턴의 경기방법
(1) 시합의 승부
(2) 셋팅
(3) 체인지 엔드
(4) 득점
(5) 반칙(폴트)
(6) 단식 경기방법
(7) 복식 경기방법
7. 라켓을 잡는 방법
(1) 이스턴 그립
(2) 셰이크 핸드 그립
(3) 웨스턴 그립
8. 배드민턴의 종목 특징
9. 배드민턴 기술 (서브)
(1) 셔틀의 잡는 법
(2) 서브의 종류
(3) 서비스 종합정리
10. 배드민턴 기술 (리시브)
11. 배드민턴 기술 (풋워크)
(1) 풋워크의 핵심
(2) 풋워크의 유의점
(3) 풋워크의 효용
(4) 풋워크의 기본적 요령
12. 배드민턴 기술 (스트로크)
(1) 오버 헤드 스트로크
(2) 사이드 핸드 스트로크
(3) 언더 핸드 스트로크
(4) 라운드 헤드 스트로크
13. 배드민턴 기술 (플라이트)
(1) 클리어
(2) 스매시
(3) 드롭 샷
(4) 드라이브
(5) 푸시
(6) 헤어핀
14. 배드민턴의 운동효과
15. 배드민턴의 전술
(1) 구체적 전술 개요
(2) 마인트 컨트롤
(3) 남자복식의 전술
(4) 여자복식의 전술
(5) 혼합복식의 전술
16. 배드민턴에서 지켜야 할 예절
17. 배드민턴 스트레칭
18. 배드민턴 복장
19. 배드민턴 용어정리
20. 참고자료
본문내용
(게임 카운트가 1대 1이 되고, 3번째 게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게임 중간에서 다시 한번 코트를 교체하게 되어 있다. 그 시기는 11점 게임인 경우는 6점, 15점 게임의 경우는 8점 을 어느 쪽이든 한 쪽의 플레이어가 먼저 득점을 취득한 경우 한 번만 실시한다.
(4) 득점
배드민턴의 득점은 마치 6인제 발리볼과 마찬가지로 리시브쪽이 반칙한 경우에는 서비스쪽에 1점씩 가산시키며, 서비스쪽이 반칙한 경우에는 어느 쪽의 득점도 되지 않고 서비스권이 이동한다. 즉 서비스권을 가지고 있는 쪽에만 득점 찬스가 있다.
(5) 반칙(폴트)
1) 서비스에 관한 반칙
1. 오버 웨스트
서버가 서비스를 할 때 셔틀을 허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셔틀이 라켓에 맞는 순간 셔틀의 위치, 즉 타점이 벨트 라인 (허리 맨 위의 선) 보다도 아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오버핸드
서버가 서비스를 한 순간에 라켓 헤드의 일부가 라텟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타구 순간 라켓 헤드 전체가 라켓을 잡고 있는 손(손목에서부터 앞 전체) 보다도 완전히 아래에 있어야 한다. 손의 아래 부분과 라켓의 머리 부분을 연결한 선이 수평인 경우에도 반칙이라고 판명된다.
3. 라인 크로스
a. 서비스의 경우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하여 서비스를 실시해야 하는데 그 때 라인을 밟거나 넘거나 하는 것.
b. 리시브의 경우 리시버는 리시브 코트 내에 정지하여 위치를 잡아야 하는데 그 때 라인을 밟거나 넘거나 하는 것은 반칙으로 판정된다.
4. 풋폴트
a. 서비스의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의 두 발의 일부가 바닥에 정지해 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특히 초보자는 서비스의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두 발을 바닥에 붙이고 있지만, 타구 때 뒷발은 앞쪽으로 끌어당기듯이 하여 이동시키거나 뒷발을 바닥에서 떼어 뒷 쪽으로 차올리듯 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b. 서비스의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이란, 서버가 서비스를 위해 자세를 취한 때부터 셔틀이 서버의 라켓에서 쳐진 순간까지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리시버는 서비스를 위해 셔틀이 쳐진 후에는 1. 리시브 코트 밖으로 나가 리시브한다. 2. 또는 바닥에서 발을 떼어 타구하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5. 아웃
서비스의 셔틀이 바르게 리시브 코트 안으로 들어가지 않은 것을 말한다. 단,
a. 셔틀이 네트에 닿아도 리시브 코트에 들어간 경우에 인정한다.
b. 셔틀이 리시브 코트 라인 위에 낙하한 경우에 인정한다.(센터 라인은 좌, 우 양쪽의 코트로 겸용된다.
c. 셔틀이 리시브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와, 셔틀이 리시버의 라켓이나 신체에 닿는 경우 인정한다. 그러나 리시버가 셔틀을 치려고 라켓을 흔들었으나 헛친 경우는 아웃이라고 판정한다.
6. 보크
서비스 때 서버나 리시버가 의식적으로 상대를 혼란시키는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서버가 서비스 자세를 취한 후 리시버가 불리해질 정도로 오랜 시간동안 셔틀을 치는 것을 일부러 늦추거나 도중에서 서비스 동작을 중단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7. 더블스의 리시브 경우
정해진 리시버의 파트너가 리시브하거나, 또는 파트너의 신체에 셔틀이 닿는 경우는 반칙이다.
8. 서버가 코트를 잘못 잡아 서비스하거나 더블스에서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한 경우로,
a. 서비스쪽이 이긴 경우에는 1. 다음 서비스가 있기 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 그 플레이는 무효가 되고 서비스를 바르게 고친다. 2. 또 다음의 서비스가 있은 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에는 서버쪽의 득점은 그대로 인정되고 게임은 계속한다. 이 경우 플레이어의 위치는 잘못한 대로의 순서로 실시하고 그 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 된다.
b. 서비스쪽이 진 경우에는 그 플레이는 인정되고 서비스권이 다음으로 이동되며 플레이어의 위치는 그 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 된다.
c. 서로 셔틀을 치는 도중에서 위의 반칙이 발견된 경우에는 서로 치기가 끝나기를 기다려 앞에서 말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더블스에서 리시브쪽이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를 리시브한 경우
8의 서비스쪽이 잘못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즉
a. 리시브쪽이 이긴 경우 1. 다음의 서비스가 있기 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는 그 플레이는 무효이고 다시 친다. 2. 또 다음 서비스가 있은 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에는 그 플레이는 인정되고 게임은 그대로 계속된다.
b. 리시브쪽이 진 경우 그 플레이는 유효가 되고 서비스특의 득점이 된다. 그 때 잘못한 플레이어의 위치는 그대로의 순서로 계속하고 계속하던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된다.
2) 그 외의 반칙
아웃, 오버 더 네트, 터치 더 네트, 홀딩(슬링), 드리블, 더블 터치, 터치 더 바디, 인터페어 등이 있다.
(6) 단식 경기방법
싱글스의 경기 방법에 대해 게임의 순서를 따르면 다음과 같다. 여자 싱글스의 경우는 플레이어 a와 b가 한 게임을 실시했다고 가정하자.
a. 토스에서 이긴 쪽은 1. 최초에 서비스를 한다. 2. 최초에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 3. 엔드(코트) 를 선택한다. 의 3가지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한다.
b. 토스에 진 쪽은 나머지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토스의 결과 a가 서비스, b가 엔드를 선택했다고 하자.
1. 게임 개시
a. 주심은 ‘인 사이드 a, 아웃사이드 b, 러브올 플레이’ 라고 말하고 게임은 개시된다. 배드민턴에선 0을 러브라고 한다.
b. a는 서비스 코트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 쪽 리시브 코트에 서비스를 실시한다.
c. b는 오른 쪽 리시브 코트에 들어가 리시브한다.
2. 서로 치기 도중 b가 반칙했을 때
서버 a의 득점이 되며 주심이 ‘폴트 포인트 원 러브(1-0) 라고 부른다.
3. 서로 치기의 도중 a가 반칙했을 때
어느 쪽도 득점이 되지 않고 서브권만 b로 넘어간다.
4.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플레이를 계속하여 11점을 먼저 취득한 플레이어가 그 게임의 승자가 된다.
(7) 복식 경기방법
더블스의 경기 방법은 ㄱ. 2인조인 것 ㄴ. 코트의 옆폭이 넓어진 것 ㄷ. 롱 서비스 라인이 새로이 늘었다 라는 점을
(4) 득점
배드민턴의 득점은 마치 6인제 발리볼과 마찬가지로 리시브쪽이 반칙한 경우에는 서비스쪽에 1점씩 가산시키며, 서비스쪽이 반칙한 경우에는 어느 쪽의 득점도 되지 않고 서비스권이 이동한다. 즉 서비스권을 가지고 있는 쪽에만 득점 찬스가 있다.
(5) 반칙(폴트)
1) 서비스에 관한 반칙
1. 오버 웨스트
서버가 서비스를 할 때 셔틀을 허리보다 높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셔틀이 라켓에 맞는 순간 셔틀의 위치, 즉 타점이 벨트 라인 (허리 맨 위의 선) 보다도 아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오버핸드
서버가 서비스를 한 순간에 라켓 헤드의 일부가 라텟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타구 순간 라켓 헤드 전체가 라켓을 잡고 있는 손(손목에서부터 앞 전체) 보다도 완전히 아래에 있어야 한다. 손의 아래 부분과 라켓의 머리 부분을 연결한 선이 수평인 경우에도 반칙이라고 판명된다.
3. 라인 크로스
a. 서비스의 경우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하여 서비스를 실시해야 하는데 그 때 라인을 밟거나 넘거나 하는 것.
b. 리시브의 경우 리시버는 리시브 코트 내에 정지하여 위치를 잡아야 하는데 그 때 라인을 밟거나 넘거나 하는 것은 반칙으로 판정된다.
4. 풋폴트
a. 서비스의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의 두 발의 일부가 바닥에 정지해 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특히 초보자는 서비스의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두 발을 바닥에 붙이고 있지만, 타구 때 뒷발은 앞쪽으로 끌어당기듯이 하여 이동시키거나 뒷발을 바닥에서 떼어 뒷 쪽으로 차올리듯 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b. 서비스의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이란, 서버가 서비스를 위해 자세를 취한 때부터 셔틀이 서버의 라켓에서 쳐진 순간까지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리시버는 서비스를 위해 셔틀이 쳐진 후에는 1. 리시브 코트 밖으로 나가 리시브한다. 2. 또는 바닥에서 발을 떼어 타구하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5. 아웃
서비스의 셔틀이 바르게 리시브 코트 안으로 들어가지 않은 것을 말한다. 단,
a. 셔틀이 네트에 닿아도 리시브 코트에 들어간 경우에 인정한다.
b. 셔틀이 리시브 코트 라인 위에 낙하한 경우에 인정한다.(센터 라인은 좌, 우 양쪽의 코트로 겸용된다.
c. 셔틀이 리시브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와, 셔틀이 리시버의 라켓이나 신체에 닿는 경우 인정한다. 그러나 리시버가 셔틀을 치려고 라켓을 흔들었으나 헛친 경우는 아웃이라고 판정한다.
6. 보크
서비스 때 서버나 리시버가 의식적으로 상대를 혼란시키는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서버가 서비스 자세를 취한 후 리시버가 불리해질 정도로 오랜 시간동안 셔틀을 치는 것을 일부러 늦추거나 도중에서 서비스 동작을 중단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7. 더블스의 리시브 경우
정해진 리시버의 파트너가 리시브하거나, 또는 파트너의 신체에 셔틀이 닿는 경우는 반칙이다.
8. 서버가 코트를 잘못 잡아 서비스하거나 더블스에서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한 경우로,
a. 서비스쪽이 이긴 경우에는 1. 다음 서비스가 있기 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 그 플레이는 무효가 되고 서비스를 바르게 고친다. 2. 또 다음의 서비스가 있은 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에는 서버쪽의 득점은 그대로 인정되고 게임은 계속한다. 이 경우 플레이어의 위치는 잘못한 대로의 순서로 실시하고 그 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 된다.
b. 서비스쪽이 진 경우에는 그 플레이는 인정되고 서비스권이 다음으로 이동되며 플레이어의 위치는 그 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 된다.
c. 서로 셔틀을 치는 도중에서 위의 반칙이 발견된 경우에는 서로 치기가 끝나기를 기다려 앞에서 말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더블스에서 리시브쪽이 순서를 잘못 잡아 서비스를 리시브한 경우
8의 서비스쪽이 잘못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즉
a. 리시브쪽이 이긴 경우 1. 다음의 서비스가 있기 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는 그 플레이는 무효이고 다시 친다. 2. 또 다음 서비스가 있은 후에 잘못이 발견된 경우에는 그 플레이는 인정되고 게임은 그대로 계속된다.
b. 리시브쪽이 진 경우 그 플레이는 유효가 되고 서비스특의 득점이 된다. 그 때 잘못한 플레이어의 위치는 그대로의 순서로 계속하고 계속하던 게임이 끝날 때까지 정정해서는 안된다.
2) 그 외의 반칙
아웃, 오버 더 네트, 터치 더 네트, 홀딩(슬링), 드리블, 더블 터치, 터치 더 바디, 인터페어 등이 있다.
(6) 단식 경기방법
싱글스의 경기 방법에 대해 게임의 순서를 따르면 다음과 같다. 여자 싱글스의 경우는 플레이어 a와 b가 한 게임을 실시했다고 가정하자.
a. 토스에서 이긴 쪽은 1. 최초에 서비스를 한다. 2. 최초에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 3. 엔드(코트) 를 선택한다. 의 3가지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한다.
b. 토스에 진 쪽은 나머지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토스의 결과 a가 서비스, b가 엔드를 선택했다고 하자.
1. 게임 개시
a. 주심은 ‘인 사이드 a, 아웃사이드 b, 러브올 플레이’ 라고 말하고 게임은 개시된다. 배드민턴에선 0을 러브라고 한다.
b. a는 서비스 코트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 쪽 리시브 코트에 서비스를 실시한다.
c. b는 오른 쪽 리시브 코트에 들어가 리시브한다.
2. 서로 치기 도중 b가 반칙했을 때
서버 a의 득점이 되며 주심이 ‘폴트 포인트 원 러브(1-0) 라고 부른다.
3. 서로 치기의 도중 a가 반칙했을 때
어느 쪽도 득점이 되지 않고 서브권만 b로 넘어간다.
4.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플레이를 계속하여 11점을 먼저 취득한 플레이어가 그 게임의 승자가 된다.
(7) 복식 경기방법
더블스의 경기 방법은 ㄱ. 2인조인 것 ㄴ. 코트의 옆폭이 넓어진 것 ㄷ. 롱 서비스 라인이 새로이 늘었다 라는 점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