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외국환 개념
1). 외국환의 정의
2). 환거래 계약 등
3). 외국환 관리
4). 환율의 종류
5). 우리나라 환율제도
제2장 외환시장과 환관리
1). 외환시장
2).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구조 및 환율
3). 선물환거래
4). 환리스크 관리기법
5). 환포지션
제3장 쉽게보는 환율과 선물
1). 환율
2). 환율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3). 스왑스프레드
4). 통화스왑
5). 선물과 옵션
1). 외국환의 정의
2). 환거래 계약 등
3). 외국환 관리
4). 환율의 종류
5). 우리나라 환율제도
제2장 외환시장과 환관리
1). 외환시장
2).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구조 및 환율
3). 선물환거래
4). 환리스크 관리기법
5). 환포지션
제3장 쉽게보는 환율과 선물
1). 환율
2). 환율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3). 스왑스프레드
4). 통화스왑
5). 선물과 옵션
본문내용
로 하락 하였다면... 환율 하락전 1000원일때 $100 이면 100,000 원을 갚아야 하는 데 반해 환율이 900원으로 떨어진 다음에는 90,000 원만 갚으면 되어
부채가 10,000원 줄어드는 효과를 볼수 있음.만약 자산이 $100 만은 Long Position 이었다면
10,000원 만큼의 자산이 줄어들어 10,000원의 손해를 봄.
(4) 오픈포지션(Open Position)
; 외환매입초과 포지션과 외환매도초과 포지션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외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환율변동에 따라 환차손익이 발생.
제3장 쉽게보는 환율과 선물
1) 환율 ; 두 나라간의 화폐의 교환비율.
우리나라의 환율은 달러에 교환비율을 맞추고 있으므로 환율의 상승(원화의 평가절하 ; Depreciation - 환율인상)과 하락(원화의 평가절상 ; Appreciation - 환율하락)은 한국돈의 가치가 달러에 비해 낮 아지거나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
2) 환율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환율변동 :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수출이 많아지면 외화가 많이 공급되어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반대로 수입이 많이지면 외화 수요가 높아져서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하락되어 평가절하(환율상승)
주식시장 - 우리나라 주식을 구매할려면 달러를 원화로 바꿔야 하므로 달러 공급이 한국시장에 공급
되어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주식거래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이를 다
시 달러로 환전해서 본국으로 송금해야 하기 때문에 달러 수요가 급증하여 원화의 평가절하(환율상승)
가 된다. 환율변동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출입에 따른 외환거래와 외국인의 주식거래가 가
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음.
환율전광판을 보게 되면 매매기준율, 현찰 팔 때(현금매입율), 현찰 살 때(현금매도율), 송금 받을 때(전 신환 매입율), 송금 보낼 때(전신환 매도율)이 게시되어 있다.
환전을 하게되면 위 게시판에 있는 환율대로 환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입장에서 환전을 한 후 매매기준율을 기준으로 환전수수료를 부과하여 고객이 현찰거래하거나 전신환거래를 할 때, 또는 거래 액수의 다소에 따라서 교환율을 더하거나 뺀다.
환율이 오를 것인가 내릴 것인가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어떤 흐름을 유지할 지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환율의 예측불능의 손해를 방지하고 안전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서 외환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게 되는데 이를 환위험의 회피, 즉 헤지(Hedge)라 한다.
예) 환희기업 -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
3개월 뒤 : 수입대금 USD100,000을 지급예정.
5개월 뒤 : 수출대금 USD100,000 입금예정.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이라고 가정.
환율을 정확히 예측하기 힘드므로 은행과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을 기준으로 3개월 뒤의 환율 로 약정환율로 교환하기로 함. => 선물환계약
현재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에서 생기는 미래의 환율변동에 대해서 서로 손해가 없도록 계약을 해야 하 는데 이를 위한 기준이 금리(이자)이다.
* 스왑(Swap) : 외화와 원화의 서로 다른 금리를 선물환계약에 적용하여 미래에 교환하는 행위
즉, 거래 당사자가 일정 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일정한 원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교환하 기로 하는 계약
* 스왑레이트(Swap Rate) : 외환이 서로 스왑될 때 교환되는 금리.
즉 위 예를 본다면 3개월간 은행이 보유한 외환은 서로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두 통화가 서로 교환될 때는 금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스왑스프레드(Swap Spread)라 한다.
물품
보관비용(창고비용)
3개월간 보관비용 = ?
외환현물가격
금리
이자
달러 = 5%
3개월간 이자 = ?
(USD1=KRW1,000)
원화 = 3%
【표3-2】
3). 환희 기업이 은행에 USD1=KRW1,000의 환율로 원화를 주고 달러를 매입하지 않으면 은행은 원화보다 금리가 2% 비싼이 달러를 3개월간 보관하고 있다가 돌려주므로 환희기업은 2%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이것이 이자이다. 반대로 환희 기업이 3개월 뒤 입금예정인 달러를 현재의 금리를 기준으로 은행에게 매도한다면 은행은 3개월 간 5%의 달러 금리를 부담하지 않고 있다가 매입을 하게 되므로 환희기업에게 2%만큼을 더 보상해줘야 한다. 위 도표에서 금리는 각각5%, 3%이며 금리차이는 2%임.
3개월 뒤의 외환의 변동금리에 따라 가감하여야 할 비율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스왑레이트(교환 비율)라고 한다. 산출된 스왑레이트를 가감할 때 서로 차이가 나는 것을 스왑스프레드라 함.
두 통화를 상대비교 하였을 때 금리가 높은 통화를 고금리통화(Discount)
금리가 낮은 통화를 저금리통화(Premium).
4). 스왑스프레드 (Swap Spread) : 선물환율 - 현물환율
선물환율이 High/Low 이면 좌측환율은 디스카운트통화이고, Low/High이면 좌측은 프리미엄통화임.
예)우리나라의 환율은 직접표시법 : 달러를 기준통화(고시통화)로 하고 원화를 피고시통화로 표기.
달러와 원화의 선물환율 120/100 ; 원화보다 달러의 금리가 높다는 것을 의미. 원화는 달러에 대하여 프
리미엄통화라 함.
위 【표3-2】를 보고 3개월 만기 선물환율을 구하면?
※ Swap Rate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0.03 - 0.05) X 3/12 = -5원
선물환율 = 현물환율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 + 1,000(0.03 - 0.05) X 3/12 = 995원
현물환율 = 1,000 선물환율 = 995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낮음
3개월 뒤 은행과 환희기업은 달러와 원화를 USD1=KRW995원으로 교환함.
현재의 환율상황
USD/KRW
1050.00
USD 3개월 금리
2.5%
KRW 3개월 금리
4.5%
【표3-3】
금리만으로 Swap Rate 구하기
[연습문제] 환희기업은 3개월 뒤 수입대금결제를 위하여 3개월 만기선물환 백만달러를 신한은행과 계약.
1. 【표3-3】을 이
부채가 10,000원 줄어드는 효과를 볼수 있음.만약 자산이 $100 만은 Long Position 이었다면
10,000원 만큼의 자산이 줄어들어 10,000원의 손해를 봄.
(4) 오픈포지션(Open Position)
; 외환매입초과 포지션과 외환매도초과 포지션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외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환율변동에 따라 환차손익이 발생.
제3장 쉽게보는 환율과 선물
1) 환율 ; 두 나라간의 화폐의 교환비율.
우리나라의 환율은 달러에 교환비율을 맞추고 있으므로 환율의 상승(원화의 평가절하 ; Depreciation - 환율인상)과 하락(원화의 평가절상 ; Appreciation - 환율하락)은 한국돈의 가치가 달러에 비해 낮 아지거나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
2) 환율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환율변동 :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수출이 많아지면 외화가 많이 공급되어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반대로 수입이 많이지면 외화 수요가 높아져서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하락되어 평가절하(환율상승)
주식시장 - 우리나라 주식을 구매할려면 달러를 원화로 바꿔야 하므로 달러 공급이 한국시장에 공급
되어 원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상승되어 평가절상(환율하락), 주식거래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이를 다
시 달러로 환전해서 본국으로 송금해야 하기 때문에 달러 수요가 급증하여 원화의 평가절하(환율상승)
가 된다. 환율변동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출입에 따른 외환거래와 외국인의 주식거래가 가
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음.
환율전광판을 보게 되면 매매기준율, 현찰 팔 때(현금매입율), 현찰 살 때(현금매도율), 송금 받을 때(전 신환 매입율), 송금 보낼 때(전신환 매도율)이 게시되어 있다.
환전을 하게되면 위 게시판에 있는 환율대로 환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입장에서 환전을 한 후 매매기준율을 기준으로 환전수수료를 부과하여 고객이 현찰거래하거나 전신환거래를 할 때, 또는 거래 액수의 다소에 따라서 교환율을 더하거나 뺀다.
환율이 오를 것인가 내릴 것인가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어떤 흐름을 유지할 지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환율의 예측불능의 손해를 방지하고 안전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서 외환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게 되는데 이를 환위험의 회피, 즉 헤지(Hedge)라 한다.
예) 환희기업 -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
3개월 뒤 : 수입대금 USD100,000을 지급예정.
5개월 뒤 : 수출대금 USD100,000 입금예정.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이라고 가정.
환율을 정확히 예측하기 힘드므로 은행과 금일 환율 USD1=KRW1,000원을 기준으로 3개월 뒤의 환율 로 약정환율로 교환하기로 함. => 선물환계약
현재환율과 선물환율의 차이에서 생기는 미래의 환율변동에 대해서 서로 손해가 없도록 계약을 해야 하 는데 이를 위한 기준이 금리(이자)이다.
* 스왑(Swap) : 외화와 원화의 서로 다른 금리를 선물환계약에 적용하여 미래에 교환하는 행위
즉, 거래 당사자가 일정 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일정한 원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교환하 기로 하는 계약
* 스왑레이트(Swap Rate) : 외환이 서로 스왑될 때 교환되는 금리.
즉 위 예를 본다면 3개월간 은행이 보유한 외환은 서로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두 통화가 서로 교환될 때는 금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스왑스프레드(Swap Spread)라 한다.
물품
보관비용(창고비용)
3개월간 보관비용 = ?
외환현물가격
금리
이자
달러 = 5%
3개월간 이자 = ?
(USD1=KRW1,000)
원화 = 3%
【표3-2】
3). 환희 기업이 은행에 USD1=KRW1,000의 환율로 원화를 주고 달러를 매입하지 않으면 은행은 원화보다 금리가 2% 비싼이 달러를 3개월간 보관하고 있다가 돌려주므로 환희기업은 2%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이것이 이자이다. 반대로 환희 기업이 3개월 뒤 입금예정인 달러를 현재의 금리를 기준으로 은행에게 매도한다면 은행은 3개월 간 5%의 달러 금리를 부담하지 않고 있다가 매입을 하게 되므로 환희기업에게 2%만큼을 더 보상해줘야 한다. 위 도표에서 금리는 각각5%, 3%이며 금리차이는 2%임.
3개월 뒤의 외환의 변동금리에 따라 가감하여야 할 비율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스왑레이트(교환 비율)라고 한다. 산출된 스왑레이트를 가감할 때 서로 차이가 나는 것을 스왑스프레드라 함.
두 통화를 상대비교 하였을 때 금리가 높은 통화를 고금리통화(Discount)
금리가 낮은 통화를 저금리통화(Premium).
4). 스왑스프레드 (Swap Spread) : 선물환율 - 현물환율
선물환율이 High/Low 이면 좌측환율은 디스카운트통화이고, Low/High이면 좌측은 프리미엄통화임.
예)우리나라의 환율은 직접표시법 : 달러를 기준통화(고시통화)로 하고 원화를 피고시통화로 표기.
달러와 원화의 선물환율 120/100 ; 원화보다 달러의 금리가 높다는 것을 의미. 원화는 달러에 대하여 프
리미엄통화라 함.
위 【표3-2】를 보고 3개월 만기 선물환율을 구하면?
※ Swap Rate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0.03 - 0.05) X 3/12 = -5원
선물환율 = 현물환율 + 현물환율(피고시통화 - 고시통화) X 달수/12
= 1,000 + 1,000(0.03 - 0.05) X 3/12 = 995원
현물환율 = 1,000 선물환율 = 995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낮음
3개월 뒤 은행과 환희기업은 달러와 원화를 USD1=KRW995원으로 교환함.
현재의 환율상황
USD/KRW
1050.00
USD 3개월 금리
2.5%
KRW 3개월 금리
4.5%
【표3-3】
금리만으로 Swap Rate 구하기
[연습문제] 환희기업은 3개월 뒤 수입대금결제를 위하여 3개월 만기선물환 백만달러를 신한은행과 계약.
1. 【표3-3】을 이
추천자료
Chapter 7. The International Trade Data System(ITDS) : 국제무역데이터시스템
UN무역개발회의(UNCTAD)와 국제상품협정
규모에 대한 수익의 증가, 독점적 경쟁과 국제 무역
[미국경제][미국경제정책]미국경제 개관, 미국경제의 시대별 변천사, 미국경제의 전개 과정, ...
[국제무역] '신용장'에 대하여 (특성, 원칙, 이론 등등)
경제성장과 국제무역
세계화와 지역주의가 국제무역환경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무역과 국제수지
[국제무역] 수출대행 사례
2001년(2000년대)의 경제운용과 세계경제, 2001년(2000년대)의 한국경제와 국제수지, 2001년(...
부시행정부의 개입주의, 부시행정부의 군사동맹, 부시행정부의 국제정세, 부시행정부의 NAFTA...
외국인투자(해외직접투자, 외국자본투자) 의미, 역사, 외국인투자(해외직접투자, 외국자본투...
[국제무역] 반덤핑과 관련사례 및 세계경제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학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이 향후 한국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