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슈미트트리거
2. Reset회로
3. Latch 회로
4. Rs232와 Rs422비교
5. 74HC573과 74HC574에 대한 비교 분석
6. ADDRESS Decoder 분석
2. Reset회로
3. Latch 회로
4. Rs232와 Rs422비교
5. 74HC573과 74HC574에 대한 비교 분석
6. ADDRESS Decoder 분석
본문내용
슈미트 트리거란? ( Schmitt trigger )
TTL 슈미트 트리거(Schmitt-trigger) 입력에 대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 그래프
- 입력 전압이 상승하여 1.8V에 도달하기 까지는 출력은 0 또는 LOW를 유지.
- 상위 임계점(upper threshold)에 도달하면, 출력은 논리 상태 1로 갑자기 상승.
- 입력 전압이 하위 임계점(lower threshold)인 0.8V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는 출력은 논리 상태 1.
- 하위 임계점(lower threshold)에 도달하면, 출력은 논리 상태 0로 갑자기 하강.
- 상위 임계점과 하위 임계점의 차이를 슈미트 트리거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라고 함.
사인파 같은 파형을 정형화시키기 위해 히스테리시스현상을 가지는 슈미트-트리거를 사용
- 입력 전압이 상승하여 상위 임계점을 통과하게 되면 출력 전압의 논리상태가 변화.
- 입력 전압이 하위 임계점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 입력 전압이 접지 이하로 0.7V만 내려감.(클램핑 회로에 의해 절단)
- 1에서 0으로 변할 때는 0.8V에서 0으로 인식하고, 0 에서 1로 변할때는 2.5V에서 1로 인식하는 것. 대표적으로 쓰이는 TTL Library로 74LS14를 사용.
- 슈미트 트리거 이론은 이동통신의 기지국간에도 이용.
ReSET 회로 .
1. RESET 회로를 만들어보고, 리
TTL 슈미트 트리거(Schmitt-trigger) 입력에 대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 그래프
- 입력 전압이 상승하여 1.8V에 도달하기 까지는 출력은 0 또는 LOW를 유지.
- 상위 임계점(upper threshold)에 도달하면, 출력은 논리 상태 1로 갑자기 상승.
- 입력 전압이 하위 임계점(lower threshold)인 0.8V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는 출력은 논리 상태 1.
- 하위 임계점(lower threshold)에 도달하면, 출력은 논리 상태 0로 갑자기 하강.
- 상위 임계점과 하위 임계점의 차이를 슈미트 트리거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라고 함.
사인파 같은 파형을 정형화시키기 위해 히스테리시스현상을 가지는 슈미트-트리거를 사용
- 입력 전압이 상승하여 상위 임계점을 통과하게 되면 출력 전압의 논리상태가 변화.
- 입력 전압이 하위 임계점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
- 입력 전압이 접지 이하로 0.7V만 내려감.(클램핑 회로에 의해 절단)
- 1에서 0으로 변할 때는 0.8V에서 0으로 인식하고, 0 에서 1로 변할때는 2.5V에서 1로 인식하는 것. 대표적으로 쓰이는 TTL Library로 74LS14를 사용.
- 슈미트 트리거 이론은 이동통신의 기지국간에도 이용.
ReSET 회로 .
1. RESET 회로를 만들어보고, 리
추천자료
검류계 내부저항측정, Osilloscope의 사용법.
플립플롭(Flip-Flop)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측정
각각의 상태변화에 따라 동작을 변화시키는 신호등을 구현한다.
멀티플렉서, 디 래치 디 플리프랍
디지털공학실험 플립플롭 예비보고서
80c196kc 각 핀에 대한 설명
RS와 D플립플롭의 실험 예비보고서
실험 15. 플립플롭의 기능(예비보고서)
[결과]실험15. D래치 및 D 플립-플롭
베릴로그를 이용한 벤딩머신(자판기) Vending Machine
화학공학 실험 - 열풍온도제어기를 통하여 피드백제어와 피드포워드제어의 특성 알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결과) 실험 07: 7-Segment 표현 시계 (7세그먼트)
디지털실험 - 실험 9. 플립플롭의 기능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