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조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Killian Court에서 Michel Heizer의 조각품의 헌정식을 위한 행사정원으로 350 X 550피트의 장소에 2,000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축제정원을 구성하고 조각물을 너무 부각시킴이 없이 강조하기 위한 디자인을 위해 necco 사탕과 타이어를 소재로 중정을 꾸밈으로 주위로부터 다양한 반응을 불러 일으켰다.
대부분의 사람은 어릴때 캔디를 먹던 경험에 의해 즐거웠으며 또한 중정의 엄격한 정형성과 MIT의 강한 기술성향에 반하는 부드러움을 즐기었다고 하며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고. 반면 MIT라는 공대의 전형적인 이미지, 바로 엄숙하고, 기술적이며 항상 정형적인 이미지와 상반되는 성격이라서 혼란을 느꼈다는 사람 또한 있었다.
그 외 1988년 뉴욕의 회계센터 개막 축하를 위해 조성한 Turf Partterre Garden에서 건물앞 잔디를 건물 입면까지 연결시킴으로 화단과 건물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는 건축물과 자연의 조화를 누리면서 잔디만으로 건축물과 정원의 조화를 이루어 냈다.
[Turf Partterre Garden]
슈왈츠의 작품의 또 다른 특징은 ‘강렬한 색채의 사용’인데 1988년 네오 모더니스트계열의 건축사무실(건축가 Bernardo Fort-Brescia)과 함께 일한후 첫 번째 작품인 Rio Shopping Center 와 1978년 그년의 어머니의 요구로 만든 스텔라 슈왈츠 정원을 보면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Rio Shopping Center 에서는 빨강, 파랑, 검정, 노랑 등의 색체와 유리섬유로 만든 빛의 굴절장치를 연못안에 설치 색채조명으로 신비감과 특수효과를 연출하였고 스텔라 슈왈츠 정원에서는 어둡고 음침한 20 X 20피트의 공간에 생기를 불어 넣어주고 최저의 설치비용과 낮은 유지비가 드는 정원으로 만들기 위해 청녹색의 인조잔디, 수족관에서 사용하는 색자갈, 칼라 plexiglass, 등 원색의 요소를 강하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강렬한 색체 사용의 의도는 정원조성 여건이 안좋은 곳에 정원이라는 강한 이미지를 주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사용한 슈왈츠만의 독특한 기법이다.
[Rio Shopping Center]
[스텔라 슈왈츠 정원]
1986년 설계한 유전자 연구소의 ‘Splice Garden\'은 강렬한 색체와 프랑스 전통정원 양식과 일본식 전통조경 양식을 대비 접합시켜 놓아 유전자의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한 경우로 슈왈츠의 여러 가지 작품적 특징이 골고루 나타내는 좋은 예라 하겠다. 이곳에서 그녀는 짙은 녹색을 사용하므로 연구소라는 거친 대지조건속에서 ’감동‘을 성취하고 콘크리트 공간의 어두운 분위기를 압도하였다. 또한 자연을 인공적으로 창조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벽에 플라스틱 인조목을 고정시키고 과학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를 의도적으로 주기 위한 노력 등에서 그녀의 철학적 메시지도 느낄 수 가 있다.
[Splice Garden]
이러한 특징은 조경이 건축에 비하여 무질서(건축은 기본적으로 수직과 평면적 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하므로 기하학적 패턴을 사용하여 경관속에 체계와 질서를 부여하며 건축물과 대지를 가장 잘 어울리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선, 격자, 원등과 같은 기하학적 패턴을 통하여 경관에 규모감과 방향성을 주어 사람들이 외부공간을 더욱 더 쉽게 판단하며 편안함을 주기위한 의도이다.
슈왈츠의 작품은 모스트모더니즘적인 것을 대표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상과 같다. 사람들은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나 조경의 지위를 단지 건축에 부속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개념을 탈피해 예술적인 작품으로 승화 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옴스테드의 자연주의 경관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손길이 닿아서도 안되고 건물과의 상호 조화적인것도 아닌 틀에 박힌 조경스타일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일으켰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색다른 재료의 도입과 최저가로 최고의 효과를 누릴려고 노력했던 그녀의 실험정신은 작품에 생명력을 더해 줄 것이다.
2) 조지 하그리브스(George Hargreaves)
1977년 조지아대학 조경학과 졸업
1979년 하버드 대학에서 조경학 석사학위
1983년부터 3년간 SWA Group에서 실무경험
1983년 이후 샌프란시스코에 Hargreaves Associates로 독립하여 활동
* 설계철학
조경을 \'문화와 자연의 만남의 장\'이라고 표현
조경 작품에 장소의 물리성과 문화적 담론을 표현하고자 함
\'열려진 구성(open composition)\'이라는 독특한 설계 접근방식을 이용
* 설계 특징
①물리성(Physicality)
②이야기(Narrative)
③생산성(Productivity)
④협동(Collaboration)
⑤자연풍경식의 초월(Transcendence of Picture)
하그리브스는 조경을 ‘문화와 자연의 만남의 장’이라고 표현한다. 이 말은 단지 예술적인 것을 위한 것도 아니고, 건축적인 요소를 위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그것은 인간과 경관에 대한 것이다. 하그리브스의 사무실을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1980년대 미국 조경계의 주목을 받은 몇몇 프로젝트들을 해왔다. 그는 물리적 측면의 조경의 연구를 - 땅, 물, 하늘 - 문화적 이야기의 소재와 서로 결합하여 발전시켰다.
그는 자기완결적 공간질서가 작품에 표현되던 모더니즘과 다르게 외적인 세계에서 구성과 의미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작품에 장소의 물리성과 문화적 담론을 표현해 내는 것을 작품철학으로 삼았다. 포스트모던한 경향의 조경은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포함하는 컨텍스트 표현을 주제로 삼고있다. 다시 말해서, 물리적 환경에 관한 현상학적인 것(자연환경에 관한 컨텍스트 효현)과 인문환경에 관한 문화적인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느데, 물리적 환경에 관한 컨텍스트는 변화하는 자연의 과정과 엔트로피에 대한 관심을 말하며 무엇보다 시간의 개념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인문환경에 관한 문화적 컨텍스트는 작품이 위치하는 장소의 일상적인 삶의 경험의 표현으로부터 작품과 이용자간의 상호교감에 이르기까지의 표현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하그리브스는 장소의 물리성과 문화적 이야기가 결코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