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하는 글
2.구두사회에서 TV까지...(주요 Media의 역사적 변천사)
(1)구두사회에서 현대사회의 매체까지...
(2)흑백TV에서 첨단 디지털 TV까지...(TV의 발전과정)
3.현 TV방송 현황
(1)방송3사의 방송제도
(2)Cable TV, Sky life, 지역방송들의 방송현황
(3)현 TV방송사들의 제도적측면의 문제점.
4.TV가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력
(1)대중매체(Mass Media)로서의 TV
-대중매체(Mass Media)의 개념과 이론들
-TV의 Mass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2)자아 커뮤니케이션(Intrapersonal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
(3)TV의 세계화에 미치는 영향력
4.TV를 통한 Communication의 앞으로의 전망
5.우리가 생각해본 TV가 걸어야할 올바른 길
2.구두사회에서 TV까지...(주요 Media의 역사적 변천사)
(1)구두사회에서 현대사회의 매체까지...
(2)흑백TV에서 첨단 디지털 TV까지...(TV의 발전과정)
3.현 TV방송 현황
(1)방송3사의 방송제도
(2)Cable TV, Sky life, 지역방송들의 방송현황
(3)현 TV방송사들의 제도적측면의 문제점.
4.TV가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력
(1)대중매체(Mass Media)로서의 TV
-대중매체(Mass Media)의 개념과 이론들
-TV의 Mass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2)자아 커뮤니케이션(Intrapersonal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
(3)TV의 세계화에 미치는 영향력
4.TV를 통한 Communication의 앞으로의 전망
5.우리가 생각해본 TV가 걸어야할 올바른 길
본문내용
우리는 TV방송에 따른 Communication의 현황에 대해 조목조목 밝히고 그에 따른 대중(mass), 자아(intrapersonal), 그리고 문화, 국가, 국제 Communication에 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제대로 인식해야만 할 필요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우리가 TV를 보면서 올바른 인식의 자세를 갖추고 시청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리 4조 조원들이 바라고 생각하는 TV방송의 올바른 Communication을 위해 지향해야 할 길을 연구하고 제시하며, 또 시청자들이 올바른 Communication을 위해 바라봐야할 TV시청 자세를 제시하면서 발전된 Communication사회를 열어보고자 한다.
2.구두사회에서 TV까지...(주요 Media의 역사적 변천사)
->요즘 현대정보사회에서는 우리는 수많은 종류의 매체들이 각각의 특성과 목적을 띄고 커뮤니케이션에 이용하고 있다. TV란 매체를 주로 다루기 전에 간략하게나마 우리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도 했던 매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역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앞으로 자세하게 다룰 TV란 매체의 발전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서 그냥 막연히 보던 TV란 매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1)구두사회에서 현대사회의 매체까지
->매체의 발달, 발명은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발달, 발명이라고 일컬을 수 있다. 인간의 다방면의 테크놀러지의 발달은 인간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대문화에서의 벽화를 남길 수 있는 기술, 뼈, 나무 등..에 문자 등을 남길 수 있는 기술들의 발달, 그리고 조금 더 올라와 종이와 먹, 붓의 제조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조금 더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특히 종이의 발달은 커뮤니케이션에 큰 혁명적인 역할을 하였다. 일종의 매체라고 할 수 있었던 말, 돌, 나무, 등은 시간적으로는 비교적 영속적일 수 있지만 공간적 이동이란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열등한 매체이다. 구두사회의 주요 매체였던 말, 돌등은 이러한 단점 등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종이의 발달에 의한 기록문화의 새로운 혁명적인 일은 구두사회의 종결을 불러오는 기반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종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돌, 말 등 보다 내구성은 떨어지지만 엄청난 공간적 편향성을 가졌었고, 이 편향성은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적인 면에서 큰 두각을 드러내었다. 그러면서 15C에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발명 되면서 인쇄물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게 된다. 이 인쇄술이야 말로 앞서 말한 테크놀로지의 혁명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인쇄술의 발달을 헤럴드 이니스(Harold Innis)는 구두사회의 전통을 무너뜨렸으며, 서구사회를 앞서 말한 종이의 특성인 시간중심에서 공간중심의 조직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종교를 바꾸고, 커뮤니케이션의 활동의 많은 부분을 개인화 시켰으며 가치의 비교를 초래했고, 권위의 주체를 교회에서 국가로 이전시키고 강력한 민주주의를 조성시켰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인간의 모든 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는 것들이다.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맥루한은 이러한 미디어의 변천을 이용해 시대구분을 하였는데, 첫째가 구어문화, 둘째가 문자시대, 셋째를 지금 말한 문자시대로 구분 지었으며 끝으로 이제 다룰 전자미디어시대로 구분 지었다. 이 전자미디어의 시대,... 1500년에서 1900년까지의 주 매체를 이룬 것이 인쇄술에 의한 매체들 이었다면, 1900년에서 지금에 이르는 매체들은 전자매체라 가정할 수 있다. 1920-30년대 라디오의 개발과 보급은 또다시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새롭게 주도 하게 된다. 당시 라디오의 등장은 전통사회의 모습들 예를 들어 모두 둘러앉아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던 모습들을 라디오 하나에 둘러앉아 그것에 모두가 집중하고 그것에 대해 예기하는 모습들로 대체되었으며 이로 하여금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문제나 관심거리보다는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새로운 소식들과 흥미로운 오락거리에 더 관심 갖는 상황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것은 대인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급속한 감소와 Mass커뮤니케이션의 급격한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또한 우리는 매체의 발달 즉, 앞서 말한 Technology의 발전이 또 하나의 생활 방식을 가져왔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30년대 후반의 TV의 보급으로 더욱 가속화 된다. 전자미디어를 대표하는 매체 TV! TV의 보급과 발전은 Mass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을 더욱더 두드러지게 하였으며, 인간은 TV로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서 보다 공간적 거리의 문제를 떠나 지구촌생활을 이룩하였다. 또한 녹음, 녹화의 발달은 매체의 영속성을 더욱더 강화하는 역할까지 하였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지금은 최첨단 디지털 사회이다. 요즘 사회에선 인터넷, 핸드폰, PDA등의 첨단 매체들이 계속 해서 나오고 있으며 우리의 커뮤니케이션의 각각의 특성마다 잘 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구어문화에서의 현대사회의 첨단 미디어 사회에 이르기 까지는 끊임없는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발전이 있었으며, 그것은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생활양식을 가지각색으로 크게 바꾸어 놓았음은 확인 할 수 있다.
(2)흑백TV에서 첨단 디지털TV까지...
->TV가 TeleVision이란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의 유래는 아는 사람은 드물다. TeleVision의 Tele는 그리스어로 ‘멀리’란 뜻이며 Vision은 라틴어로 ‘본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1936년 BBC방송국이 처음으로 흑백방송을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1956년 TV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런 흑백TV의 발달에 이어 TV회로의 개발과 1897년 고안 되었던 브라운관을 TV에 응용하면서 1953년 RCA사에서 컬러브라운관을 개발하게 된다. 이것이 일본에 도입되고 일본은 1960년대에 컬러TV방송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서 고품질의 전송방식과 주사방식, 다양한 주파수의 개발 등의 여러 방면의 기술 발전으로 고화질과 저 전력의 TV가 끊임없이 개발되게
2.구두사회에서 TV까지...(주요 Media의 역사적 변천사)
->요즘 현대정보사회에서는 우리는 수많은 종류의 매체들이 각각의 특성과 목적을 띄고 커뮤니케이션에 이용하고 있다. TV란 매체를 주로 다루기 전에 간략하게나마 우리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도 했던 매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역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앞으로 자세하게 다룰 TV란 매체의 발전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서 그냥 막연히 보던 TV란 매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1)구두사회에서 현대사회의 매체까지
->매체의 발달, 발명은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발달, 발명이라고 일컬을 수 있다. 인간의 다방면의 테크놀러지의 발달은 인간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대문화에서의 벽화를 남길 수 있는 기술, 뼈, 나무 등..에 문자 등을 남길 수 있는 기술들의 발달, 그리고 조금 더 올라와 종이와 먹, 붓의 제조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조금 더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특히 종이의 발달은 커뮤니케이션에 큰 혁명적인 역할을 하였다. 일종의 매체라고 할 수 있었던 말, 돌, 나무, 등은 시간적으로는 비교적 영속적일 수 있지만 공간적 이동이란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열등한 매체이다. 구두사회의 주요 매체였던 말, 돌등은 이러한 단점 등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종이의 발달에 의한 기록문화의 새로운 혁명적인 일은 구두사회의 종결을 불러오는 기반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종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돌, 말 등 보다 내구성은 떨어지지만 엄청난 공간적 편향성을 가졌었고, 이 편향성은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적인 면에서 큰 두각을 드러내었다. 그러면서 15C에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발명 되면서 인쇄물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게 된다. 이 인쇄술이야 말로 앞서 말한 테크놀로지의 혁명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인쇄술의 발달을 헤럴드 이니스(Harold Innis)는 구두사회의 전통을 무너뜨렸으며, 서구사회를 앞서 말한 종이의 특성인 시간중심에서 공간중심의 조직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종교를 바꾸고, 커뮤니케이션의 활동의 많은 부분을 개인화 시켰으며 가치의 비교를 초래했고, 권위의 주체를 교회에서 국가로 이전시키고 강력한 민주주의를 조성시켰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인간의 모든 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는 것들이다.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맥루한은 이러한 미디어의 변천을 이용해 시대구분을 하였는데, 첫째가 구어문화, 둘째가 문자시대, 셋째를 지금 말한 문자시대로 구분 지었으며 끝으로 이제 다룰 전자미디어시대로 구분 지었다. 이 전자미디어의 시대,... 1500년에서 1900년까지의 주 매체를 이룬 것이 인쇄술에 의한 매체들 이었다면, 1900년에서 지금에 이르는 매체들은 전자매체라 가정할 수 있다. 1920-30년대 라디오의 개발과 보급은 또다시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새롭게 주도 하게 된다. 당시 라디오의 등장은 전통사회의 모습들 예를 들어 모두 둘러앉아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던 모습들을 라디오 하나에 둘러앉아 그것에 모두가 집중하고 그것에 대해 예기하는 모습들로 대체되었으며 이로 하여금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문제나 관심거리보다는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새로운 소식들과 흥미로운 오락거리에 더 관심 갖는 상황을 가져오게 하였다. 이것은 대인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급속한 감소와 Mass커뮤니케이션의 급격한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또한 우리는 매체의 발달 즉, 앞서 말한 Technology의 발전이 또 하나의 생활 방식을 가져왔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30년대 후반의 TV의 보급으로 더욱 가속화 된다. 전자미디어를 대표하는 매체 TV! TV의 보급과 발전은 Mass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을 더욱더 두드러지게 하였으며, 인간은 TV로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서 보다 공간적 거리의 문제를 떠나 지구촌생활을 이룩하였다. 또한 녹음, 녹화의 발달은 매체의 영속성을 더욱더 강화하는 역할까지 하였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지금은 최첨단 디지털 사회이다. 요즘 사회에선 인터넷, 핸드폰, PDA등의 첨단 매체들이 계속 해서 나오고 있으며 우리의 커뮤니케이션의 각각의 특성마다 잘 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구어문화에서의 현대사회의 첨단 미디어 사회에 이르기 까지는 끊임없는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발전이 있었으며, 그것은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생활양식을 가지각색으로 크게 바꾸어 놓았음은 확인 할 수 있다.
(2)흑백TV에서 첨단 디지털TV까지...
->TV가 TeleVision이란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의 유래는 아는 사람은 드물다. TeleVision의 Tele는 그리스어로 ‘멀리’란 뜻이며 Vision은 라틴어로 ‘본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1936년 BBC방송국이 처음으로 흑백방송을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1956년 TV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런 흑백TV의 발달에 이어 TV회로의 개발과 1897년 고안 되었던 브라운관을 TV에 응용하면서 1953년 RCA사에서 컬러브라운관을 개발하게 된다. 이것이 일본에 도입되고 일본은 1960년대에 컬러TV방송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서 고품질의 전송방식과 주사방식, 다양한 주파수의 개발 등의 여러 방면의 기술 발전으로 고화질과 저 전력의 TV가 끊임없이 개발되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