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 논리학 총정리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학] 논리학 총정리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산성이다.
그러므로, 알카리성도 아니고, 중성도 아니다.
b. 부정에 의한 긍정의 방식.
대전제: 배재적 선언판단으로 된다.
소전제: 한가지 선언지를 제외한 나머지 선언지를 전부 부정한다.
결론: 남은 한개의 선언지를 긍정한다.
P라면 q이다.
q가 아니다.
그러므로, P이다.
ex) 황제는 천국으로 가거나 지옥으로 간다.
황제는 천국으로 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황제는 지옥으로 간다.
규칙: 일부 선언지를 긍정했다면 다른 선언지를 부정.
일부 선언지를 부정했다면 다른 선언지를 긍정.
2) 결합적 선언추리.
전제가운데 결합적 선언 판단이 있는 선언추리.
그러므로, 일부 선언지를 부정한다면, 일부 선언지를 긍정한다.
그런데, 일부 선언지를 부정했다고, 다른 선언지도 부정이 될 수 없다.
일부 선언지를 긍정했다면, 다른 선언지는 부정할 수 없다.
a. 부정에 의한 긍정방식.
P이거나 q이다.
q가 아니다.
그러므로, P이다.
ex) 조사보고에 오류가 생기게 된 것은 구체적 사실에 대한 조사가 부족했거나 관점 이 정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조사보고에 오류가 생기게 된 것은 관점이 정확치 못했기 때문이 아니다.
그러므로, 조사 보고에 오류가 생기게 된 것은 구체적 사실에 대한 조사가 부족 했기 때문이다.
규칙: 일부 선언지를 부정했다면 다른 선언지를 긍정.
일부 선언지를 긍정했다해서 다른 선언지를 부정할 수 없다.
8. 양 도 추리.
선언 추리와 조건추리가 결합되어 추리하는 것.
대전제: 두개의 조건 판단에 의해 구성된다.
소전제: 두개의 선언지를 가진 선언 판단에 의해 구성된 추리를 말한다.
1) 구성식: 대전제로 되는 두개의 조건 판단이 모두 충분 조건의 조건 판단이고, 소전제 로 되는 선언 판단의 각각 선언지가 대전제의 전건을 각각 승인하고, 결론에 서는 대전제의 후건을 승인하게 되는 양도추리의 방식이다.
a. 단순 구성식.
구성식에서 대전제의 두개의 후건이 동일한 것을 단순 구성식이라 한다.
만약 A 라면 C 이다.--+
|(대전제)
만약 B 라면 C 이다.--+
A 이거나 B 이다.(소전제)
그러므로, C 이다.(결론)
ex) 만약 토끼가 범을 건드린다면, 범은 토끼를 잡아 먹으려할 것이다.
만약 토끼가 범을 건드리지 않아도, 범은 토끼를 잡아 먹으려할 것이다.
토끼는 범을 건드리거나, 건드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범은 어쨌든, 토끼를 잡아먹으려 할 것이다.
b. 복합 구성식.
대전제의 두개의 후건이 다른 것을 복합구성식이라 한다.
만약 A 라면 C 이다.
만약 B 라면 D 이다.
그러므로, C 이거나 D 이다.
2) 파괴식.
대전제로 되는 두개의 조건판단이 모두 충분조건의 조건판단이고, 소전제로 되는 선 언 판단의 각각의 선언지가 대전제의 후건을 각각 부인하고, 결론에서는 대전제의 전 건을 부인하게 되는 양도추리의 방식이다.
a. 단순 파괴식.
파괴식에서 대전제의 두개의 전건이 동일한 것을 단순 파괴식이라 한다.
만약 A 라면 C 로 된다.
만약 A 라면 D 로 된다.
C 가 아니거나 D 가 아니다.
그러므로, A 가 아니다.
제4장 귀납추리(논리)
1.귀납 추리: 개별적 사태 혹은 현상으로 부퍼 그 외에 사태, 혹은 현상의 일반적인 결론을 표출하는 추리방법.
2.완전 귀납추리
어떤 부류에 포괄되는 각각의 대상들이 모두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그 부류의 전부가 그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는 결론을 가짐.
S1 은 P 이다. ex) 1 + 2 + 3 + 4 +......100⇒
S2 은 P 이다. 1 + 100 = 101 -+
S3 은 P 이다. 2 + 99 = 101 |50개 101
· 3 + 98 = 101 | × 50
· · | ----------
· · ------+ 5050
Sn 은 P 이다.
그러므로, S 는 P 이다.
전제로 되는 판단들이 옳아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바른 결론을 도출할 수 없음.
그유의 사물의 전체대상이 포괄되어야 한다.
3.통계적 귀납추리.
ex) 두통을 앓는 사람이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발가락을 다쳐 피를 흘리는데, 두통이 시원해졌음.
그때마다 머리가 아프면 발가락을 찔름.
→통계적 귀납추리 중 불완전 귀납추리.
1) 불완전 귀납추리.
어떤 부류에 포괄되는 일부대상들이 어떤 속성을 가지고있다는 것으로부터 그 부류의 대상전체가 그런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추리.
① 통계적 귀납추리.
일련의 같은 종류의 대상들에 동일한 속성이 반복하여 나타나고, 또 그와 모순되는 일에 한번도 부딪힘이 없는 것이 의해 근거하여 같은 종류에 모든 대상들에 그속성이 있다는(있을 것이라는)결론을 도출하는 귀납추리.(필연성이 없고, 개연성이다).
ex) 옛날부터 내려오는 민간요법.
금속은 물에 가라앉는다.
새는 모두 날수 있다.
피는 붉다.
물고기는 다 아가미로 호흡한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꼭,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100 % 확실한 것은 아니다.
② 인과적 귀납추리.
ex) 남색 염료를 제조한 방법.
어떤 학자가 남색염료를 제조하는 곳을 갔는데, 용액을 넣고 끓이는데, 가마솥 속 에 염료와 용액을 넣어 휘저었는데, 삽을 갖고 하는데 저으면 저을수록 남색염료 가 잘나옴.
가마솥과 삽이 마찰할 때, 철 성분이 나옴.
그래서, 철성분의 화확 염료를 넣으면 염료가 잘나온다.
원인에 의해 결과가 나옴.
어떤 부류의 일부대상들이 가지고 있는 필연적 연결을 인식한 기초 위에서 부류전 체에 대한 일괄적인 결론을 끌어내는 귀납추리이다.
ex) 철은 열을 받으면 체적이 팽창한다.
철로 작업을 할때 체적이 팽창한다.
구리는 열 받으면 체적이 팽창한다.
납 열 받으면 체적이 팽창한다.
가열할 때 응집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체적이 팽창한다.
그러므로, 모든 금속은 열을 받으면 그 체적이 팽창한다.
S1 은 P 이다. S 와 P 는 필연적 관계이다.
S2 는 P 이다.
S3 는 P 이다.
.
.
.
Sn 은 P 이다.
그러므로, 모든 S 는 P 이다.
♧.통계적 귀납추리와 인과적 귀납추리의 다른 점?
첫째, 추리의 근거가 다르다.
통 --- 필 ×. 인 ------ 필연적임.
둘째, 추리의 결론의 확실성이 다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