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목차
[목차]
1. 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
1) 교육철학의 개념
(1)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2) 교육목적론으로서의 교육철학
(3) 철학적 지식의 응용으로서의 교육철학
(4) 학문적 의미로서의 교육철학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2) 평가적 기능
(3) 사변적 기능
(4) 통합적 기능
2. 교육의 개념
1) 서양의 두가지 교육관
(1) 주형관
(2) 성장관
2) 교육개념의 정의방식
(1) 규범적 정의
(2) 서술적 정의
(3) 조작적 정의
(4) 기능적 정의
3) 규범적 정의의 여러 유형
(1) 주입(主入)으로서의 교육
(2) 주형(鑄型)으로서의 교육
(3) 도야(陶冶)로서의 교육
(4) 계명(啓明)으로서의 교육
(5) 성장(成長)으로서의 교육(루소의 입장)
(6) 성장으로서의 교육(듀이의 교육관)
4) 서술적 정의의 여러 유형
(1) 행동변화로서의 교육
(2) 문화와 지식의 전달
(3) 사회화 과정
(4) 경험의 개조 및 습관의 변화
5)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
(1) 피터스의 교육관
(2) 교육개념의 준거
(3) 교육과 훈련
(4) 교육과 교화
3. 교육의 목적
1) 교육목적의 의의
(1) 교육이념, 목적, 목표
(2) 교육목적의 기능
2) 교육목적의 차원
(1)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2) 교육의 개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
3)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1) 교육기본법의 규정
(2) 각 학교의 교육목적
4.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1) 지식의 유형
(1) 지식의 원천에 따른 분류
(2) 지식의 형태에 따른 분류
2) 명제적 지식의 종류
(1) 사실적 지식
(2) 논리적(형식적) 지식
(3) 규범적(평가적) 지식
3) 지식의 구성원리
(1) 귀납적 방법
(2) 연역적 방법
5. 교육의 유형
1) 형식적, 무형식, 비형식적 교육
2) 자유교육
3) 전인교육
4) 인성교육
6. 전통적 교육철학
1) 관념론(Idealism)과 교육
2) 실재론(Realism)과 교육
3) 자연주의 교육철학
4) 실용주의
7.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1) 듀이(John Dewey, 1859 ∼ 1952)의 교육철학
2) 진보주의(Progressivism)
3) 본질주의(Essentialism)
4) 항존주의(Perennialism)
5)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8. 현대의 교육철학
1) 실증주의
2) 분석적 교육철학
3) 현상학(Phenomenology)
4) 해석학(Hermeneutics)
5) 실존주의(Existentialism)
6) 비판이론(Critical Theory)
7) 구조주의(Structuralism)
8)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
9) 홀리즘(Holism)
1. 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
1) 교육철학의 개념
(1)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2) 교육목적론으로서의 교육철학
(3) 철학적 지식의 응용으로서의 교육철학
(4) 학문적 의미로서의 교육철학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2) 평가적 기능
(3) 사변적 기능
(4) 통합적 기능
2. 교육의 개념
1) 서양의 두가지 교육관
(1) 주형관
(2) 성장관
2) 교육개념의 정의방식
(1) 규범적 정의
(2) 서술적 정의
(3) 조작적 정의
(4) 기능적 정의
3) 규범적 정의의 여러 유형
(1) 주입(主入)으로서의 교육
(2) 주형(鑄型)으로서의 교육
(3) 도야(陶冶)로서의 교육
(4) 계명(啓明)으로서의 교육
(5) 성장(成長)으로서의 교육(루소의 입장)
(6) 성장으로서의 교육(듀이의 교육관)
4) 서술적 정의의 여러 유형
(1) 행동변화로서의 교육
(2) 문화와 지식의 전달
(3) 사회화 과정
(4) 경험의 개조 및 습관의 변화
5)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
(1) 피터스의 교육관
(2) 교육개념의 준거
(3) 교육과 훈련
(4) 교육과 교화
3. 교육의 목적
1) 교육목적의 의의
(1) 교육이념, 목적, 목표
(2) 교육목적의 기능
2) 교육목적의 차원
(1)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2) 교육의 개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
3)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1) 교육기본법의 규정
(2) 각 학교의 교육목적
4.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1) 지식의 유형
(1) 지식의 원천에 따른 분류
(2) 지식의 형태에 따른 분류
2) 명제적 지식의 종류
(1) 사실적 지식
(2) 논리적(형식적) 지식
(3) 규범적(평가적) 지식
3) 지식의 구성원리
(1) 귀납적 방법
(2) 연역적 방법
5. 교육의 유형
1) 형식적, 무형식, 비형식적 교육
2) 자유교육
3) 전인교육
4) 인성교육
6. 전통적 교육철학
1) 관념론(Idealism)과 교육
2) 실재론(Realism)과 교육
3) 자연주의 교육철학
4) 실용주의
7.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1) 듀이(John Dewey, 1859 ∼ 1952)의 교육철학
2) 진보주의(Progressivism)
3) 본질주의(Essentialism)
4) 항존주의(Perennialism)
5)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8. 현대의 교육철학
1) 실증주의
2) 분석적 교육철학
3) 현상학(Phenomenology)
4) 해석학(Hermeneutics)
5) 실존주의(Existentialism)
6) 비판이론(Critical Theory)
7) 구조주의(Structuralism)
8)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
9) 홀리즘(Holism)
본문내용
의 결합 추구
인간관
절대적 이성을 지닌 존재
로서의 인간의 보편성 강조
사회와 독립되어 활동할 수
있는 인간 존재 강조
인간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가는 존재
인간의 다양성 인정
지식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
계몽사상, 실증주의적
보편성, 거대담론
지식의 현실성, 가치지향성,
역사성 인정
지식의 상대성, 주관성, 변화
가능성 강조
(3)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이론
① 학습자 중심교육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보편적인 지식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닌 가치에 따라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보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내세운다.
② 전 생애적 교육(평생교육)의 강조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교육이 학교라는 제한된 울타리를 넘어서서 전 생애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③ 전인적인 교육의 중시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의 경험이 인간을 변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인간이 하는 모든 경험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특성은 조화롭게 발달되어야 한다고 본다.
④ 공동체에 관심
인간이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삶이 형성되는 공간인 공동체에 관심을 둔다.
⑤ 지식과 신념체계의 비판적 파악
인간의 지식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지식과 신념체계가 어떤 동기, 관심, 가정, 전제하에 형성된 것이며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길어야 한다고 본다.
(4) 푸코(Micheal Moucault, 1926 ~ 1984)의 훈육론
① 지식-권력(Knowledge-power)관계
프랑스의 유명한 후기 구조주의 사상가인 푸코는 지식과 권력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파헤치려 하였다.
봉건적 군주국가와는 달리 근대국가에서는 폭력에 의한 지배가 상당 부분 효율성을 상실하게 되자, 새로운 통제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이데올로기, 즉 지식을 통한 내면적 통제이다. 그래서 권력은 끊임없이 지식(이데올로기)을 생산해 낸다.
그런데 지식(또는 지식인)은 자신의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 권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권력과 지식은 뗄 수 없는 공범관계가 된다.
② 훈육론
권력은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길들여진 인간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권력이 이를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기법과 전술을 통틀어서 푸코는‘규율(훈육)’이라고 표현하였으며, 즉, 교육이 바로 이러한 훈육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규율적 권력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소는 감옥이다. 그런데 이러한 규율적 권력은 감옥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로 확산되어 길들여진 사회를 위해 군대, 학교, 병원, 공장, 회사 등을 통제 하에 둔다.
③ 훈율을 위한 도구
관찰
- 규율이 효과적으로 행사되기 위해서는 그 구성원들을 관찰하고 감시하는 체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병영, 학교, 감옥 등은 일종의 관측소로 간주될 수 있다.
- 푸코는 학교의 구조가 건물 안에 있는 사람들을 눈에 잘 띄게 감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원형감시감옥인 ‘파놉티콘(Panopticon)'과 유사하다고 설명한다.
규범적 판단
- 모든 규율 체제에서는 벌칙을 사용하여 구성원들을 길들인다. 일정한 규범을 정하고 이에 벗어났을 때 처벌을 가하는 방식으로구성원을 통제하는 것이다.
시험(검사)
- 푸코는 측정(또는 시험)을 “모든 사람들을 동일한 사람과 다른 사람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계산 가능한 모습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한다.
- 시험을 통하여 인간을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사람들을 기존의 규율 질서에 순응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파놉티콘(Panopticon)
1. Panoptic 이란 ‘모든 것이 한 눈에 보인다.’라는 의미인데, 파놉티콘은 벤담이 설계한 원형
감옥을 말한다. 이는 여러 방으로 나누어진 둥그런 고리 모양의 건물 중앙에 높은 탑이 세워져
있으며, 각 방의 죄수들은 좁은 창을 통해서만 건물 밖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방의 죄수들은 벽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격리되어 있으며, 방안에서는 보이지 않는 감시탑의
간수에 의해서 늘 감시당하게 되어 있다.
2. 푸코는 근대 사회의 규율 질서에 의한 감시와 처벌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빌려 왔다.
9) 홀리즘(Holism)
(1) 홀리즘(Holism) - 공존과 상생의 중요성!!
① 생명의 전체적 조화 강조
홀리즘은 ‘전일적’, ‘전 연관적’ 등으로 번역되는 희랍어 ‘홀로스(Holos)'를 어원으로 하는 것이고, 생명의 전체적인 조화의 상태를 강조하는 이론이다.
② 생태학적 사고
홀리즘은 세계를 전체적 관계망(Holistic Network)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생태학적 사고와 일치한다.
(2) 홀리스틱 교육의 기본 입장
① 전인적 발달에 관심
- 홀리스틱 교육은 아동들이 지니고 있는 지성적, 정서적, 사회적, 창의적, 미적, 영성적 잠재력의 발달에 관심을 둔다.
② 관계성 및 공동체 의식에 관심
-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간의 관계성과 어린이와 성인간의 관계성을 중시한다. 특히 교사와 학생의 관게가 전연관적인 바탕에서 동등하고 개방적이며 상호역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중시한다.
③ 삶의 이해와 의미 탐구 강조
- 홀리스틱 교육은 학생들에게 지구의 전체적 관저, 지구상의 삶, 세계 공동체의 등장을 소개함으로써, 삶에 의미와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④ 삶의 맥락에 대한 비판적 접근
- 홀리스틱 교육은 지식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창조된 것이며, 사실에 대한 공유된 관점 그 이상의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학생들이 그들 삶의 문화적도덕적정치적 상황을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⑤ 영적 지식의 강조
- 영성 교육은 생명에 대한 ‘외경’과 개개 생명체간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 나와 이웃, 지구인, 동식물, 무생물 모든 것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인간관
절대적 이성을 지닌 존재
로서의 인간의 보편성 강조
사회와 독립되어 활동할 수
있는 인간 존재 강조
인간 이성의 절대성과 객관성
부정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가는 존재
인간의 다양성 인정
지식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
계몽사상, 실증주의적
보편성, 거대담론
지식의 현실성, 가치지향성,
역사성 인정
지식의 상대성, 주관성, 변화
가능성 강조
(3) 포스트모더니즘적 교육이론
① 학습자 중심교육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보편적인 지식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닌 가치에 따라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보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내세운다.
② 전 생애적 교육(평생교육)의 강조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교육이 학교라는 제한된 울타리를 넘어서서 전 생애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③ 전인적인 교육의 중시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의 경험이 인간을 변화시킨다고 보기 때문에 인간이 하는 모든 경험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특성은 조화롭게 발달되어야 한다고 본다.
④ 공동체에 관심
인간이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삶이 형성되는 공간인 공동체에 관심을 둔다.
⑤ 지식과 신념체계의 비판적 파악
인간의 지식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이러한 지식과 신념체계가 어떤 동기, 관심, 가정, 전제하에 형성된 것이며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길어야 한다고 본다.
(4) 푸코(Micheal Moucault, 1926 ~ 1984)의 훈육론
① 지식-권력(Knowledge-power)관계
프랑스의 유명한 후기 구조주의 사상가인 푸코는 지식과 권력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파헤치려 하였다.
봉건적 군주국가와는 달리 근대국가에서는 폭력에 의한 지배가 상당 부분 효율성을 상실하게 되자, 새로운 통제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이데올로기, 즉 지식을 통한 내면적 통제이다. 그래서 권력은 끊임없이 지식(이데올로기)을 생산해 낸다.
그런데 지식(또는 지식인)은 자신의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 권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권력과 지식은 뗄 수 없는 공범관계가 된다.
② 훈육론
권력은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길들여진 인간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권력이 이를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기법과 전술을 통틀어서 푸코는‘규율(훈육)’이라고 표현하였으며, 즉, 교육이 바로 이러한 훈육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규율적 권력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소는 감옥이다. 그런데 이러한 규율적 권력은 감옥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로 확산되어 길들여진 사회를 위해 군대, 학교, 병원, 공장, 회사 등을 통제 하에 둔다.
③ 훈율을 위한 도구
관찰
- 규율이 효과적으로 행사되기 위해서는 그 구성원들을 관찰하고 감시하는 체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병영, 학교, 감옥 등은 일종의 관측소로 간주될 수 있다.
- 푸코는 학교의 구조가 건물 안에 있는 사람들을 눈에 잘 띄게 감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원형감시감옥인 ‘파놉티콘(Panopticon)'과 유사하다고 설명한다.
규범적 판단
- 모든 규율 체제에서는 벌칙을 사용하여 구성원들을 길들인다. 일정한 규범을 정하고 이에 벗어났을 때 처벌을 가하는 방식으로구성원을 통제하는 것이다.
시험(검사)
- 푸코는 측정(또는 시험)을 “모든 사람들을 동일한 사람과 다른 사람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계산 가능한 모습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한다.
- 시험을 통하여 인간을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사람들을 기존의 규율 질서에 순응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파놉티콘(Panopticon)
1. Panoptic 이란 ‘모든 것이 한 눈에 보인다.’라는 의미인데, 파놉티콘은 벤담이 설계한 원형
감옥을 말한다. 이는 여러 방으로 나누어진 둥그런 고리 모양의 건물 중앙에 높은 탑이 세워져
있으며, 각 방의 죄수들은 좁은 창을 통해서만 건물 밖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방의 죄수들은 벽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격리되어 있으며, 방안에서는 보이지 않는 감시탑의
간수에 의해서 늘 감시당하게 되어 있다.
2. 푸코는 근대 사회의 규율 질서에 의한 감시와 처벌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빌려 왔다.
9) 홀리즘(Holism)
(1) 홀리즘(Holism) - 공존과 상생의 중요성!!
① 생명의 전체적 조화 강조
홀리즘은 ‘전일적’, ‘전 연관적’ 등으로 번역되는 희랍어 ‘홀로스(Holos)'를 어원으로 하는 것이고, 생명의 전체적인 조화의 상태를 강조하는 이론이다.
② 생태학적 사고
홀리즘은 세계를 전체적 관계망(Holistic Network)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생태학적 사고와 일치한다.
(2) 홀리스틱 교육의 기본 입장
① 전인적 발달에 관심
- 홀리스틱 교육은 아동들이 지니고 있는 지성적, 정서적, 사회적, 창의적, 미적, 영성적 잠재력의 발달에 관심을 둔다.
② 관계성 및 공동체 의식에 관심
- 홀리스틱 교육은 학습자간의 관계성과 어린이와 성인간의 관계성을 중시한다. 특히 교사와 학생의 관게가 전연관적인 바탕에서 동등하고 개방적이며 상호역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중시한다.
③ 삶의 이해와 의미 탐구 강조
- 홀리스틱 교육은 학생들에게 지구의 전체적 관저, 지구상의 삶, 세계 공동체의 등장을 소개함으로써, 삶에 의미와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④ 삶의 맥락에 대한 비판적 접근
- 홀리스틱 교육은 지식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창조된 것이며, 사실에 대한 공유된 관점 그 이상의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학생들이 그들 삶의 문화적도덕적정치적 상황을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⑤ 영적 지식의 강조
- 영성 교육은 생명에 대한 ‘외경’과 개개 생명체간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 나와 이웃, 지구인, 동식물, 무생물 모든 것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추천자료
- 현대 교육철학의 관점
- 17세기 서양의 철학주의 교육사상
- 전통적 교육철학과 현대 교육철학
- 전통적 교육철학과 현대 교육철학
- 율곡 교육사상의 성립배경과 현대적 의의
- 현대의 고전적 교육철학(진보주의, 본질주의, 영원주의, 재건주의) 비교<표 포함>
-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 교육의 철학-교육학의 필요성,교육학에 대한 철학,교육 철학의 정의,교육철학의 성격과 역할,...
-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교육사상 (敎育思想)]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교육사상 배...
- [최한기 교육사상 (崔漢綺 敎育思想)] 최한기의 생애와 세계관과 인간관, 교육사상과 최한기 ...
- 인간과교육) 1.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인간...
-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 인간과교육 2017년)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