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평평하다 요약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는평평하다 요약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두가지가 모두 섞인 동기에 끌려 힘을 가진 국가와 정부들은 국가간의 장벽을 허물고 사계를 하나로 묵었다.
세계화 1.0 시기에 주어진 근본적인 질문은 이런 것이었다. 내 나라느 어떤부문에서 세계의 경쟁력을 우위에 서서 기회를 가질 수 있을까? 그리고 국가간의 경쟁과 협력 속에서 내 나라 안에서 나는 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두 번째 중요한 시기는 1800년 무렵에서 대공황과 1, 2차 세계대전에 의해 잠시 방해를 받기는 했지만 대략 2000년까지로 볼 수 있다. 이 시기 세계적 통합을 가져오는 변화의 주체는 국가가 아니라 다국적기업이었다.
다국적 기업들은 처음에는 산업혁명이나 영국과 네덜란드의 합작자본의 형태로 시장과 노동력을 찾아 끊임없이 확장했다. 이 시기 처음 100년 동안 세계화의 진전을 이루게 된 것은 증기기관과 철도 같은 교통수단의 효율성과 그로 인한 비용 하락 덕분이었다. 그리고 그 후 100년 동안은 통신수단의 효율성이 높아진 데 따른 비용 하락에 힘입었다.
바로 전보, 전화, pc, 위성, 광케이블, 그리고 초기 인터넷 덕분이다. 우리는
상품과 정보가 대륙에서 대륙으로 건너가면서 글로벌 경제가 탄생하고 성장을 거듭하며 생산물과 노동력이 세계적 규모로 재배치되는 것을 목격했다. 이때 변화의 강력한 추진력은 초기의 화력선과 기차에서부터 전화와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주로 하드웨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00년 이후의 세계화 3.0 시대는 그렇지 않아도 작은 세계를 더욱 작게 만들고 있다. 그뿐 아니라 게임의 무대를 평평하게 만들고 있다. 3.0 시대의 변화의 주체이자 동력은 개인이다. 개인이 세계화를 해나가는 데 필요한 힘 역시 광케이블을 통한 네트워크와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주어진 근본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나는 이 시대의 세계적 경쟁과 기회의 무대에 과연 적응할 수 있는가?
그 질문은 어떻게 하면 나 스스로 지구상의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고 어떤 일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하지만 세계화 3.0 시대는 세계가 어떻게 작아졌고 어떻게 평평해졌는가, 그리고 개인은 어떻게 힘을 갖게 되는가 하는 부분에서 그전까지와는 전혀 다르다고 얘기할 수 있다. 우선 세계화 1.0과 2.0의 시대는 주로 유럽과 미국의 개인과 기업이 주도했다는 점을 들어야겠다. 물론 19세기 중국은 경제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였음에 틀림없지만 그 시대의 세계화를 주도하고 시스템을 만들어낸 것은 서구의 뛰어난 몇몇 개인과 기업과 국가들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흘러 지금은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세계가 평평해지고 더욱 작아지면서 세계화 3.0시대는 뛰어난 몇몇 개인보다는 더욱 다양해진 개인그룹이 주도하는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평평한 지구에서 개인은 어디에서 살든 과거보다 더 많은 힘을 갖게 되었다. 세계화 3.0은 보다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보다 많은 인종적 다양함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세계가 평평해지고 그에 따른 압박감과 이전 시대와의 단절, 그리고 이에 따른 기회 등으로 사람들이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세계가 평평해지고 있는 지금의 변화에는 이전의 변화와 질적으로 다른 것이 있다. 그 속도와 범위 말이다. 지금 세계가 평평해지는 과정은 놀라운 속도로 진행되면서 지구상의 모든 인류에게 동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시대로의 이행이 더욱 빨라지고 광범위해질수록 주도권은 옛 승자한테서 새로운 승자에게로 부드럽게 넘어가지 않는다. 대신 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 수십 년간 세계가 평평해짐에 따라 시장에서 일어난 급격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하이테크 기업들의 경험은 이러한 변화에 직면한 모든 비즈니스, 제도, 국민, 국가에게 하나의 경고가 될 수 있다. 그들이 변화를 따라잡지 못한 까닭은 리더십, 유연성,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상상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어리석거나 이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변화의 속도가 그들을 압도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는 이러한 변화에 압도당하거나 뒤처지지 않도록 소화해내는 것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우리가 해결해야 할 숙제이자 불가피한 책무이다. 이 책을 쓴 목적은 세계가 평평해지는 데 대해 사고하는 방식과 그것이 우리에게 도움이 되도록 관리할 기본적인 사고의 틀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2장 세계를 평평하게 하는 10가지 동력
평평화 동력1
베를린 장벽 붕괴와 윈도즈 출현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자유시장 자본주의로의 대안에 눈뜨게 만드는 한편 인도, 중국, 브라질, 구소련 같은 지역에 사는 수많은 사람들이 내재된 에너지를 드러낼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른 방식으로 사계를 생각하게 하고 세계를 연속된 전체로 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베를린 장벽은 통행만을 가로막은 것이 아니라 모두의 시야를 가리고 세계를 단일시장, 단일 생태계, 단일공동체로 사고하는 능력을 앗아갔다. 1989년 이전에는 동방정책이나 서방정책을 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방과 서방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를 포괄하는 진정한 세계정책을 생각하기는 어려웠다.
장벽의 붕괴는 다른 지식세계에 접근하는 길만 열어준것은 아니였다. 공통의 표준 채택을 용이하게 만들기도 했다. 경제정책 운용의 표준, 회계관리의 표준, 은행사무의 표준, pc제작의 표준, 경제보고서 서술양식의 표준 등등.
달리 말하면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최상의 관행이 자유로이 확산되도록 도왔다. 경제적, 기술적 표준이 출현해 세계무대에서 우수성이 증명되기만 하면 그 표준은 장벽이 붕괴되기 전보다 훨씬 더 빨리 채택되었다. 유럽만 보
아도 장벽의 붕괴는 유럽연합 결성의 물꼬를 텃고 회원국도 15개국에서 25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유럽공통의 화폐인 유로를 탄생시키고 한때 철의 장막으로 나뉘었던 유럽을 단일경제 지역으로 만들었다.
장벽 붕괴의 긍정적 효과는 금방 드러났지만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나의 원인 때문만은 아니었다. 일정 정도는 체제가 안고 있던 내부모순과 비효율성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