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e-learning 등장의 배경
e-learning의 정의
e-learning의 장점
e-learning 특수교육에의 시사점
Ⅱ. 본론
정서 및 행동장애 학습자를 위한 e-learning의 실례
활용의 한계점
대책
Ⅲ. 결론
* 참고문헌
e-learning 등장의 배경
e-learning의 정의
e-learning의 장점
e-learning 특수교육에의 시사점
Ⅱ. 본론
정서 및 행동장애 학습자를 위한 e-learning의 실례
활용의 한계점
대책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사가 다수의 아이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소리를 지르거나 울기, 때리기, 물건 집어던지기, 자해행동 등의 심한 문제행동으로 대항한다. 따라서 교사는 e-learning에 참여하기 힘든 이런 아동들을 위한 다른 방법을 고안해 내야 할 것이다. 다른 아이들이 e-learning 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이 아동은 보조교사나 자원봉사자의 도움 하에 다른 활동을 하도록 계획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 활동은 아동을 수업에서 배제시키거나 아동을 방치시키는 것이 아닌 다른 아이들이 배우는 내용과 연관 된 중도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의 수준과 요구에 알맞은 활동이여야 한다.
또 다른 현장에서의 문제점은 전이시간의 문제이다. 여러 e-learning자료들을 활용하려다 보면 활용 전에 컴퓨터를 키고, e-learning자료를 찾고, 트는 데 걸리는 시간과, 활용 중에 컴퓨터의 특성과 관련하여 자료의 로딩시간이나, 중간에 컴퓨터가 멈추는 경우와, 활용 후에 자료를 끄고 수업활동으로 옮겨가는 시간의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은 이런 전이시간에 산만해지거나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교사는 이런 전이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잘 활용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먼저 교사는 미리 컴퓨터를 켜서 자료를 준비해 놓고, 수업을 철저하고 정확하게 계획한다면 전이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이시간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 때에 교사는 전이시간을 아이들이 산만해지거나 문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잘 활용해야 한다. 전이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동요를 틀어 주고 아이들이 따라 부르며 율동을 하도록 한다던지 명상을 하도록 한다던지 e-learning자료에서 배운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준다던지 등의 교사 나름대로의 여러 가지 창의적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e-learning을 수업시간을 때우기 위한 편리하고 간단한 수단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며 e-learning자료의 지나친 사용은 지양되어야 한다. e-learning을 집중도가 낮은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을 위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의 수단으로 도입자료로 활용한 뒤 수업활동으로 이용한다던가, 수행도가 낮은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이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e-learning을 통한 간단하고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서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할 수 있도록 숙제로 내주는 방법 등을 통하여 수업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런 방법을 위해서는 부모의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e-learning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을 제한하는 또 다른 이유로 여러 물리적인 조건의 문제도 있을 것이다. 컴퓨터의 성능, 스크린 크기, 스피커 성능 등의 문제나 여러 교실의 물리적, 환경적 조건들의 문제들의 개선을 위한 국가, 학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e-learning자료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도 중요하다.
Ⅲ. 결론
하루가 다르게 정보기기가 발달하는 요즘 e-learning을 이용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관련 자료에 대한 정보를 많이 확보하고 있어야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다양하고, 흥미 있는 수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료의 범위가 너무 넓고, 내용 또한 너무 방대해서 학생 특성, 수업 환경 등 조건에 적절한 활용을 하는 데는 교사가 미리 그것들에 대해 잘 파악하고 후에 선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e-learning이 정서 및 행동장애아에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할 때에도 어떠한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한지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여러 e-learning 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이 결과는 대체적으로 무료사이트와 유료사이트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용대상 또한 학부모, 교사, 아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무료사이트는 대체로 교과학습에 자료가 많았고, 유료사이트는 놀이 및 게임에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학부모가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사이트는 가정에서도 쉽게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방과 후나, 방학 때에도 아이들의 학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교사든지 e-learning이 제공하는 자료 형태 그대로를 활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본다. 물론 굉장히 질이 높고 좋은 자료들이 많지만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아동의 특성에 따라 변형할 수 있고, 적절한 맥락에서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e- learning을 대하는 교사들의 준비된 자세이다.
도입부분에서 설명 했듯이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특수학급 안에만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작은 강도라도 일반학교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보일 수 있는 행동 특성이다. 따라서 앞서 조사한 자료들이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을 위한 e-learning이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전반적으로 모든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주의집중 방법, 문제해결 감소가 가능한 전략 중 하나라고 여기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 참고문헌
1. 인터넷 사이트 주소
http://www.arisuedu.co.kr/
http://www.paradise.or.kr/
http://kr.kids.yahoo.com
http://jr.naver.com
http://pullip.ktdom.com
http://www.yuanet.com
http://www.withkid.com
http://www.genikids.com
http://www.edpia.com
http://www.edunet4u.com
http://www.chocham.com
http://www.tnara.net
http://special.new21.org
http://www.kysenet.org
http://isori.net
http://www.dgedu.net
http://www.eduable.net
http://www.kyseclass.net
2. 참고문헌
ICT 활용을 위한 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 총람 2004,아리수미디어
ICT 활용을 위한 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 총람 2005,아리수미디어
또 다른 현장에서의 문제점은 전이시간의 문제이다. 여러 e-learning자료들을 활용하려다 보면 활용 전에 컴퓨터를 키고, e-learning자료를 찾고, 트는 데 걸리는 시간과, 활용 중에 컴퓨터의 특성과 관련하여 자료의 로딩시간이나, 중간에 컴퓨터가 멈추는 경우와, 활용 후에 자료를 끄고 수업활동으로 옮겨가는 시간의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은 이런 전이시간에 산만해지거나 문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교사는 이런 전이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잘 활용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먼저 교사는 미리 컴퓨터를 켜서 자료를 준비해 놓고, 수업을 철저하고 정확하게 계획한다면 전이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이시간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 때에 교사는 전이시간을 아이들이 산만해지거나 문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잘 활용해야 한다. 전이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동요를 틀어 주고 아이들이 따라 부르며 율동을 하도록 한다던지 명상을 하도록 한다던지 e-learning자료에서 배운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준다던지 등의 교사 나름대로의 여러 가지 창의적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e-learning을 수업시간을 때우기 위한 편리하고 간단한 수단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며 e-learning자료의 지나친 사용은 지양되어야 한다. e-learning을 집중도가 낮은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을 위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의 수단으로 도입자료로 활용한 뒤 수업활동으로 이용한다던가, 수행도가 낮은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들이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e-learning을 통한 간단하고 반복적인 활동을 통해서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할 수 있도록 숙제로 내주는 방법 등을 통하여 수업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런 방법을 위해서는 부모의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e-learning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을 제한하는 또 다른 이유로 여러 물리적인 조건의 문제도 있을 것이다. 컴퓨터의 성능, 스크린 크기, 스피커 성능 등의 문제나 여러 교실의 물리적, 환경적 조건들의 문제들의 개선을 위한 국가, 학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e-learning자료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도 중요하다.
Ⅲ. 결론
하루가 다르게 정보기기가 발달하는 요즘 e-learning을 이용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관련 자료에 대한 정보를 많이 확보하고 있어야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다양하고, 흥미 있는 수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료의 범위가 너무 넓고, 내용 또한 너무 방대해서 학생 특성, 수업 환경 등 조건에 적절한 활용을 하는 데는 교사가 미리 그것들에 대해 잘 파악하고 후에 선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e-learning이 정서 및 행동장애아에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할 때에도 어떠한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한지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여러 e-learning 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이 결과는 대체적으로 무료사이트와 유료사이트로 구분할 수 있었고, 이용대상 또한 학부모, 교사, 아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무료사이트는 대체로 교과학습에 자료가 많았고, 유료사이트는 놀이 및 게임에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학부모가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사이트는 가정에서도 쉽게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방과 후나, 방학 때에도 아이들의 학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교사든지 e-learning이 제공하는 자료 형태 그대로를 활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본다. 물론 굉장히 질이 높고 좋은 자료들이 많지만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아동의 특성에 따라 변형할 수 있고, 적절한 맥락에서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e- learning을 대하는 교사들의 준비된 자세이다.
도입부분에서 설명 했듯이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특수학급 안에만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작은 강도라도 일반학교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보일 수 있는 행동 특성이다. 따라서 앞서 조사한 자료들이 정서 및 행동 장애 아동을 위한 e-learning이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전반적으로 모든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주의집중 방법, 문제해결 감소가 가능한 전략 중 하나라고 여기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 참고문헌
1. 인터넷 사이트 주소
http://www.arisuedu.co.kr/
http://www.paradise.or.kr/
http://kr.kids.yahoo.com
http://jr.naver.com
http://pullip.ktdom.com
http://www.yuanet.com
http://www.withkid.com
http://www.genikids.com
http://www.edpia.com
http://www.edunet4u.com
http://www.chocham.com
http://www.tnara.net
http://special.new21.org
http://www.kysenet.org
http://isori.net
http://www.dgedu.net
http://www.eduable.net
http://www.kyseclass.net
2. 참고문헌
ICT 활용을 위한 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 총람 2004,아리수미디어
ICT 활용을 위한 우수 교육용 소프트웨어 총람 2005,아리수미디어